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IT 기술의 발달과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

by 17기류현우기자 posted Jan 27, 2021 Views 98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들어 사용자 맞춤 서비스가 발달함에 따라 개인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개인 정보 유출과 관련된 사건 사고 역시 잇달아 일어나고 있는데, 올해 1월에도 스캐터랩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챗봇 이루다와 카카오맵에서 이러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인공지능 챗봇 이루다는 출시 직후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으로 많은 사용자를 불러 모았지만 곧 여러 논란에 휩싸이며 서비스를 종료했다. 뿐만 아니라 스캐터랩 애플리케이션 연애의 과학회원 가입 시 수집한 사적인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적절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공지능 학습에 사용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용자들이 집단 소송까지 제기하였다카카오맵에서는 원하는 장소를 즐겨찾기에 추가하고 전체 공개할 경우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민감한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 또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와 같은 사건 사고들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려면 개인 정보의 정의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개인정보란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아래의 내용 중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를 뜻한다.


.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

.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 이 경우 쉽게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는 다른 정보의 입수 가능성 등 개인을 알아보는 데 소요되는 시간, 비용, 기술 등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 가목 또는 나목을 제1호의2에 따라 가명처리 함으로써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 정보의 사용ㆍ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

 

위의 조항을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지난해 1월 통과된 데이터 3법에서 개인 정보를 개인정보/가명정보/익명정보 세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에 해당하는 정보를 개인정보, ‘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명정보라고 한다. 익명정보는 추가적인 익명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른 정보와 결합시킨다 해도 더 이상 개인을 구분할 수 없게 조치된 정보를 뜻한다. 앞서 이야기한 이루다와 카카오맵에서 문제가 된 개인 정보는 가명정보에 해당한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으로 가명정보는 정보 소유자의 사전 동의 없이 통계 작성, 공익적 기록 보존, 연구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가명정보를 사용할 때에는 적절한 안전장치와 통제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이루다의 경우 가명처리가 완전하지 못해 챗봇 메시지에 실제 이름, 주소 및 계좌 번호가 포함되어 있었다. ,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집된 개인 정보를 충분한 사전 설명 없이 인공지능 학습에 사용했으며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받을 때 각각의 세부 조항들을 구분하여 동의를 구하지 않았다. 이는 각각의 세부 사항을 안내하고 명시적으로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한 것이다.


카카오맵의 경우 즐겨찾기 저장 시 나타나는 정보 공개 여부 항목이 휴대전화 자판에 가려져 확인하기 어렵고 기본 설정이 '공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정보를 노출시켰다고 추측되고 있다. 카카오맵의 기본 설정과 달리 개인정보 수집 가이드라인에서는 개인정보 수집 동의는 기본 설정을 '비공개'로 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때문에 현재 개인 정보 보호위원회는 카카오맵이 정보량을 늘리기 위해 고의성을 가지고 이와 같이 운영한 것인지 확인 중에 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류현우기자]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류현우기자] 


데이터 3법 통과 이후 IT 업계에서는 가명정보 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늘어나 IT 산업이 크게 발달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수집 목적과의 상당한 관련성’, 수집정황 및 처리 관행에 비춘 예측 가능성 등의 요건이 불분명하다는 걱정이 공존했다. 또한 가명정보의 과학적 연구 목적 활용 확인장치·가명정보 판매 제지 수단·가명정보 목적 달성 후 삭제요건의 부재와 목적 외 이용 및 제공 범위 확대 문제 등에 관한 시민단체의 지적이 있었는데,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사건들도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발생한 사고로 볼 수 있다. 추가적인 사고들을 미리 예방하고 IT 산업의 빠른 발전을 위해서는 조속히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7기 류현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591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292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6253
재조명되는 여성인권, 청소년들이 말하는 성매매특별법 위헌 file 2016.05.26 류나경 19443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9421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411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9408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9407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393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390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9375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369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356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339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337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302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301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293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9240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9236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228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9226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9213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917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167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9157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914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139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129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106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097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096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07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067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9059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059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9049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034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996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992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8980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964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8933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933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926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921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916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897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889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881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88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