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백신 안전성...결정의 기로에 놓인 프랑스 국민들

by 정은주대학생기자 posted Jan 26, 2021 Views 835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10125_124135972.jpg[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은주 대학생기자]


  지난 2020년, 전 세계가 코로나로 인해 혼란에 휩싸였다. 특히 미국과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걷잡을 수 없는 유행이 퍼졌고 지금까지 수많은 사망자를 냈다. 한편, 2020년은 여러 국가들이 백신 연구 및 개발에도 힘쓴 한 해였다. 작년 말부터 몇몇 국가에서 본격적인 백신 접종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까?


  유럽 국가 중 하나인 프랑스의 사례를 살펴보자. 프랑스 정부는 지난해 3월과 11월에 각각 1차, 2차 봉쇄령을 내려 대규모 확산을 막고자 하였다. 또한 오후 6시부터 오전 6시까지 야간 통행을 금지하였다. 하지만 12월부터 봉쇄 조치가 완화되면서 코로나 유행을 확실하게 잡지 못했고, 심지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까지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프랑스는 골머리를 앓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난해 12월 말부터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개발한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프랑스 정부는 올해 8월까지 전 국민에게 접종 완료를 목표로 했지만, 프랑스 국민의 백신 접종률은 7일 기준 0.03%로, 저조한 편이었다. 또한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따르면, 프랑스는 60%의 백신 거부율을 보였고, 이는 조사국 중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프랑스 국민들이 백신 접종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백신의 안전성 논란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프랑스에서는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139명이 사망했다. 또한 코비드 백신접종전략위원회 의 알랭 피셰는 위원장으로서 백신 접종을 무조건적으로 장려하지 않고, 오히려 과학자로서 백신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냈다. 또한 백신을 맞지 않으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다는 법안을 강제적으로 추진했던 정부에 대한 불신이 있다. 위 법안은 결국 철회되었지만, 프랑스 국민들에게 적지 않은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외에도, 백신을 맞을 자유를 중시하는 문화, 백신 공급 지연, 접종 간격에 대한 논란이 프랑스 국민들의 저조한 접종률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 예상된다. 


  다행히도, 프랑스 국민들의 백신 접종률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연구통계웹 아워월드인데이터의 통계에 따르면, 20일 기준 1.02%로 100만 8천여 명이 백신을 맞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현재 프랑스에서는 야간 통행 금지만 시행되고 있지만,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가 문제시되자 3차 봉쇄령을 시행할지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적절한 통제와 활발한 백신 연구를 통해 바이러스 대 인간의 관계에서의 주객전도가 절실해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기 대학생기자 정은주]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161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845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1615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8797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8591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542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074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517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783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14130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9718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511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9989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289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054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163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3822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9830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665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9589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5209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534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236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313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126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16057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4647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085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076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9613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0968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512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0856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29641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360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3739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304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5909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2333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0736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0964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268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419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052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10003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1849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152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519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9816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555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4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