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by 디지털이슈팀 posted Dec 21, 2020 Views 82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美 국무부 IVLP 80인에 진선미 의원 '한국인 첫 선정'

여성임원 비율 확대, 소수자 제도개선 정책 해외서 인정 사례

진 의원 "앞으로도 낮은 곳에 있는 이웃들 위해 보답할 것"


363.jpg


더불어민주당 소속 진선미 국회의원(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서울시 강동구갑)이 8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미국 국무부의 대표적인 공공외교 프로그램인 IVLP(International Visitors Leadership Program), 즉 국제 방문자 리더십 프로그램을 빛낸 80인에 선정되었다. 한국인으로는 진선미 국회의원이 첫 번째 선정자가 돼 눈길을 끈다. 


진 의원은 지난 12월 14일(월)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실에서 Ms. Anneliese Reinemeyer 공보참사관, 김성식 전문위원 등 주한 미국대사관 관계자들의 방문을 받고 환담을 나누었으며, 감사패와 기념선물을 전달받았다.


역대 IVLP를 빛낸 80인에는 Ms. Jacinda Ardern 현 뉴질랜드 총리, Tony Blair 전 영국 총리, Margaret Thatcher 전 영국 수상 등이 선정되었다. 


진선미 의원은 지난 2007년, 변호사 연수대상자로 초청 받아 IVLP를 이수했으며, 19대 국회에 비례대표로 정치권에 입문해 서울 강동갑 지역에서 재선, 삼선을 연임하며 여성 등 사회적 소수자들의 권리 신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과 제도개선에 앞장서 왔다.


특히 지난 2018년 여성가족부 장관 재임기간 동안 실질적인 성평등사회 구현에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것이 인정되어 IVLP를 빛낸 80인에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진선미 의원은 “13년 전, 변호사 신분으로 IVLP 프로그램을 이수할 수 있었던 것도 큰 행운이었는데, IVLP를 빛낸 80인에 선정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낮은 곳에 있는 이웃들을 위한 선한 정치를 통해 국민들께서 보내주신 사랑에 보답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지난 1940년 시작된 IVLP는 미국 국무부가 전 세계의 정치・경제・사회・교육・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해 전문성을 교류하는 미국 공공외교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상호 이해를 넓히기 위한 문화체험 등을 제공하며 국제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올해 2020년은 IVLP 80주년을 기념하여 다양한 사회활동으로 공헌한 전 세계 80인의 자랑스러운 교류 동문을 선정해 알리는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아래는 미 국무부가 밝힌 진선미 의원 선정 사유 전문.


Sun-mee Jin is an advocate for underrepresented group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As a lawyer, she led the case to repeal the patriarchal Hoju (family head) system and later as th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from 2018 to 2019, she increased gender diversity in business. In 2020, she was elected as the chair of the National Assembly's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mittee.


Jin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Visitor Leadership Program (IVLP) in 2007, spurring her interest in politics as an advocate for women’s rights after a meeting with the female Chief Justice of Montana’s Supreme Court. Five years after her IVLP, Jin was elected to the ROK National Assembly and became widely known for filibustering for nine hours against a controversial anti-terror bill.


In 2018, Jin led MOGEF in researching gender diversity in the workplace and found that women executives are a rarity at the ROK's top 500 corporations at 3 percent. In response, Jin said, "The level of women representativeness in Korea is little short of reprehensibl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country’s economy. Based on the survey’s result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ll make constant and conscious efforts to expand the number of women executives in cooperation with private organizations."


To promote gender diversity in business, Jin urged companies to voluntarily increase the percentage of women executives and worked with the government to develop a skills-development program for women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careers, called the Women Leader Academy.


As a champion for underrepresented groups, Sun-mee Jin is building a more inclusive society in the Republic of Korea.


※ 번역문(번역. 국회의원 진선미 의원실)

진선미는 대한민국의 소외계층을 지지하는 사람이다. 변호사로써, 그녀는 가부장적인 호주제 폐지를 주도했고, 이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일하면서, 비즈니스에서의 성 다양성을 증진시켰다. 2020년에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진선미는 2007년 국제 방문자 리더십 프로그램(IVLP)에 참여했으며, 몬태나주의 여성 대법원장과의 면담 이후 여성 인권 지지자로써의 정치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IVLP 수료 5년 후, 대한민국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9시간에 걸친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로 널리 알려졌다.


2018년, 진선미는 여성가족부를 이끌며 직장내 성 다양성을 연구하였고, 대한민국의 500대 기업에서 여성 임원의 비율이 겨우 3%로 매우 드물다는 것을 밝혔다. 이에 그녀는“경제 규모를 고려했을 때 한국의 여성 대표성은 매우 부끄러운 수준이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조사에 따라서 기업에서의 여성 임원들의 수를 늘리기 위해 지속적이고 의식적인 노력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진선미는 기업에서의 성 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여성 임원 비율을 늘릴 것을 촉구했고, 정부와 협업하여 ‘여성인재 아카데미’라는 직업에 있어서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소외계층의 지지자(champion)로써, 진선미는 대한민국을 보다 포용적인 사회로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디지털이슈팀

news@youthpress.net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166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10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423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8265
설 세뱃돈, 어디에 쓰나 10 file 2016.02.15 이민정 18283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286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8298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1 file 2016.05.23 김도윤 18299
"어르신, 노란조끼 왔어요~" 9 file 2016.02.20 김민지 18302
인터넷 신문의 과도한 광고 22 file 2016.02.24 문채하 18318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8319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Alpa Go) 9 file 2016.03.13 서지민 18346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346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8349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356
백만 촛불의 간절한 외침 1 file 2016.11.24 박민서 18375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8375
‘고령화 사회’ 중심의 서있는 대한민국,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4 file 2017.02.21 황현지 18409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424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8429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8433
[사설] '돌아보는 대한민국 4년'_'작성자가 자리를 비웠습니다' 7 file 2017.01.23 이주형 18476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8480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481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8502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8526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8528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532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533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534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560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576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579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631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631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8632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635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639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8662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8663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679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09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8715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73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755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8762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8764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765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8774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779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88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