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인터넷만 있어도 뚝딱 만드는 카드뉴스, 너도 만들 수 있어!

by 16기송민서기자 posted Dec 09, 2020 Views 190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카드뉴스란 짧은 글과 여러 장의 이미지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콘텐츠의 형태이다. 일반적인 뉴스 기사와는 달리, 짧은 글이 있는 여러 컷의 이미지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미지마다 문구가 삽입되어 있어, 이미지들을 순서대로 읽는 스토리 형식의 뉴스라고 볼 수 있다.

기존 신문은 줄글로 되어있으며 핵심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지 않고, 내용 또한 너무 길고 지루하여 현대 한국인의 니즈와 맞지 않는 상품이라는 비판이 많지만, 카드뉴스는 신문과 같은 텍스트 중심 기사에서 탈피하여 이미지화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카드뉴스는 현대인에게 뉴스를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언론사의 입장에서도 카드뉴스는 자신들의 뉴스를 빠르게 제작하여 배포하고 홍보하는 데에 제격이기에 카드뉴스의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고 있다. 카드뉴스는 줄글의 긴 신문 기사를 단축한 형태이기 때문에 빠르게 요점을 파악할 수 있는데, 이를 SNS에서 활발하게 이용하며 시민들에게 뉴스를 전달한다.

또한 제작하는 사람 입장에서도 간단한 이미지 편집 기술과 뉴스의 요약 능력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뉴스 영상이나 신문 기사보다 제작하기도 수월하다. 간단한 양식을 통해 누구나 만들 수 있으며, 누구나 사람들에게 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일반인들의 뉴스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고 있다.


요즘은 1인 미디어의 시대이며 개인 저널리즘의 시대이다. 고착화된 뉴스만 보고 읽을 것이 아니라 나만의 뉴스를 만들고 나만의 언론 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 시대이기도 하다. 현대 뉴스의 각종 문제점을 고쳐 나가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우리부터 자세를 바로 고치고 우리의 이야기로 뉴스를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카드뉴스는 누구나 만들 수 있고 진입 장벽이 낮으며 접근성도 좋기 때문에 누구나 자기만의 개인 저널리즘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트나 템플릿을 활용한 자신만의 뉴스를 만들어보자. 뉴스를 보고 받아들이는 데에서 멈추는 게 아니라 자신만의 뉴스를 만드는 것이 현대인이 언론을 받아들이는 보다 현명한 자세이기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로 지루한 일상들이 오래 지속되고 있으니 한 번쯤은 자신만의 뉴스, 자신의 관심거리에 대한 뉴스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4.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송민서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송민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413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178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2304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태어난 '82년생 김지영'의 고통 2 file 2017.05.25 이세림 18860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8857
우리가 곧 현실이라는 것을 알려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017.08.17 권오현 18853
세계 최대 규모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성황리에 마무리 3 file 2017.04.23 김지환 18842
서울의 얼굴 광화문, 그 색상을 찾아서 file 2017.08.29 김태헌 18835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8834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9일간 벚꽃길을 펼치다 2 file 2017.03.30 박재완 18831
느껴보자! 울릉도의 맛과 멋 그리고 즐거움까지 2 file 2017.08.11 정은희 18830
차근차근 알아보는 2017년의 IT 트렌드 file 2017.09.13 한동엽 18829
청소년의 방학, 휴식 시간인가? 4 file 2017.08.27 박재현 18829
밝은 미래를 향한 노력의 중심,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2 file 2017.03.28 신온유 18828
2019 양산웅상회야제 file 2019.06.03 김서현 18826
[클래식 음악 소개] 쇼팽 3 file 2017.09.18 김기현 18803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열리다!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이용하는 사람들 file 2017.08.09 박서영 18801
어린이 화장품 출시, 과연 옳은 일인가? 16 file 2017.01.23 안수현 18799
2016년 제주 수학축전 2 file 2016.10.07 이서연 18794
작지만 큰 나라, 대만 3 file 2016.03.21 조혜온 18794
환경을 생각하는 텀블러, 리유저블 텀블러 4 file 2019.10.24 박효빈 18787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8786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18785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8779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8775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 연구의 장,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file 2018.09.05 신온유 18774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8774
영화'택시운전사'가 알려준 그 시대의 사실들 7 file 2017.08.08 이윤지 18773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8770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8768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8763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8753
서울시립과학관에서 만나는 과학 file 2019.04.01 봉하연 18751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8750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18746
빠르고 편리한 비대면 키오스크, 과연 소외계층에게도 '편리'할까? 2 file 2021.03.25 남서영 18739
기존의 수학은 잊어라! KYMA 대한청소년수학회 학술대회 개최 12 file 2017.02.09 최기영 18736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8732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8725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8725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8706
알프스의 꽃, 만년설이 녹아내리다 5 file 2017.09.14 김정환 18698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8694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8692
'글로리데이'청춘의 아픔을 그려낸 청춘영화 file 2016.03.25 홍경희 18690
[베스트셀러 추천 도서] 국내 베스트셀러 1위, ‘돌이킬 수 없는 약속’ 2 file 2018.10.26 정하현 18679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8676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8671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8670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18670
니콜라 테슬라, 거의 모든 것을 발명한 남자 file 2017.07.25 김도연 186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