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나도 혹시 유해한 반려동물 용품을 사용하고 있는건 아니겠지?'

by 16기김태은기자 posted Nov 26, 2020 Views 139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동물과 의약품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2020년 11월 7일부터 2020년 11월 22일까지 SNS를 통해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의 주제는 총 3가지를 진행하였고 각각 동물 실험에 대한 인식, 동물 의약품에 대한 인식, 반려동물 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내용이었다.  설문조사에는 총 28명이 참여하였다. 40대가 13명, 50대가 2명, 10대가 13명이 참여하였다. 남성이 16명, 여성이 12명 참여하였다.


  첫 번째 주제에 대해서는 2가지 질문을 제시했다.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거나 키워본 적이 있다.'라고 답한 내용에서는 '예'가 20명, '아니오'가 8명에 해당했다. '나는 동물 실험을 통해서 약품을 개발하는 것에 대해'라는 질문에는 '찬성한다'가 21명, '반대한다'가 7명에 해당했다. 반려동물을 키운 적이 있는지와는 상관 없이 '찬성한다'와 '반대한다'가 골고루 선택되었다. 


설문조사 1-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김태은기자]


<의약 동물 관련 설문 1-1 나는 동물 실험을 통해서 약품을 개발하는 것에 대해>


찬성 측 의견

-우리가 더 안전하니까 안전하게 믿고 쓸 수 있어서

-결국 사람을 위한 일이므로

-보다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인간을 실험하는 것보다 낫다

-의약품 개발은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 그때마다 검증 없이 사람들에 적용한다면 그 부작용은 끔찍할 것이다. 등


반대 측 의견

-인간의 이익을 위해서 동물들에게 해를 주기 때문에

-동물들도 똑같이 고통을 받아서

-동물은 실험의 대상이 아니다

-사람과 동물은 다르고, 좋은 재료를 썼다면 굳이 동물 실험할 필요가 없다

-동물 학대이다. 등


  두 번째 주제에 대해서는 3가지 질문을 제시하였다. '나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약을 나의 반려동물에게 사용한 적이 있다.'라는 질문에는 '없다'가 23명, '있다'가 5명에 해당했다. '있다'를 선택한 사람 중 2명이 소독약을 각각 한 명씩 연고와 항생제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1명은 .을 찍어서 표시를 하였다. '나는 사람이 사용하는 약을 반려동물에게도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한다.'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안 된다'가 15명, '된다'가 2명, '중간'이 11명의 선택을 받았다.

 

설문조사 2-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김태은기자]


<의약, 동물 관련 설문 2-2 나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약을 반려동물에게도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된다 측 의견

-사람의 약이 동물의 병에 효과가 있다면 당연히 써도 괜찮다.

-반려동물의 생명도 고귀하다


중간 측 의견

-될 때도 안 될 때도 있다고 생각한다

-잘 모름

-단순 치료는 가능하다고 판단

-간단한 소독은 상관없고 증상에 따라 맞는 약이라면 무처방보다는 낫다. 등


안 된다 측 의견

-동물에게 투여하면 어떤 부작용을 일으킬지 알 수 없다.

-사람과 동물은 각자 다른 점이 있고 그에 따른 효능이 담겨있는 약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람과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

-효과와 용량을 알 수 없다

-약은 사용 전에 의사 진료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등

 

  '나는 반려동물의 약의 성분과 사람의 약의 성분을 비교해본 적이 있다'라는 질문에는 '있다'가 4명, '없다'가 24명에 해당했다.


  세 번째 주제에 대해서는 1가지 질문을 제시하였다. '나는 반려동물 탈취제를 사용해본 적이 있다.'라는 질문에 대해 '없다'가 25명, '있다'가 3명에 해당했다. 3명 중 2명이 '뉴벨버드 파워 클린 탈취제'를 사용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명은 '안티백 탈취제'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약품 개발을 위한 동물 실험에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답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의 절반은 사람이 쓰는 약 중 일부는 동물에게 사용해도 된다는 반응을 보였고, 나머지 절반은 그러면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약물] 소동물 치료 약품 사용지침 - 사용법과 사용량을 중심으로(2010)'라는 논문을 살펴보면, 반려동물의 종별로, 몸무게 별로 처방되는 약의 용량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이 사용하는 약 중에서도 사람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성분의 약들이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오메프라졸'이라고 하는 약품은 사람용과 동물용에서 모두 사용이 된다. 하지만 복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에게 사용하는 만큼 동물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 사람이 사용하는 약을 동물에게 사용하려고 한다면 사전에 수의사를 통해서 복용량을 알아보는 것이 좋으며 최선은 반려동물이 아플 경우 빠르게 동물 병원에 데려가는 것이다.


  반려동물 탈취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반려동물 탈취제를 사용해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의 '반려동물용 탈취제 및 물휴지 안전실태 조사 (2017)'에 따르면 대부분의 탈취제들이 유해물질 함유 기준을 넘는 약의 화학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검출되었다. 설문조사에서 사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이 나온 '뉴벨버드 파워클린 탈취제' 같은 경우 유해물질 함유 기준이 '사용금지'에 해당하는 CMIT, MIT가 각각 검출되었고, 유해물질 함유 기준이 '12mg/kg'인 폼알데하이드는 '547mg/kg'이 검출되었다. 안티백 탈취제 같은 경우에도 CMIT가 검출되었으며, 폼알데하이드는 '8.7mg/kg'으로 검출되어 기준 이하에 해당했다. 유해물질 함유 기준을 넘는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용품을 사용하게 되면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에게까지 호흡기 질환과 피부 질환 등 다양한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만든 용품 같은 경우에는 해당 물품이 유해물질 기준을 넘는 양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지는 않은지 꼭 확인하고 구입하기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김태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03 11:51
    반려견을 키우는 사람으로써 좋은 정보 얻어가는거 같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986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735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7514
제트기류에 대한 모든것! file 2017.07.31 권하민 19513
제3회 한국학포럼, "한국의 매력에 빠져봐~" 1 2017.07.31 김현재 13286
점점 현실화되는 전기차 시대 2017.07.31 이종현 12594
우리의 삶, 철학, 미의식을 담은 그림 민화 file 2017.07.31 석채아 13893
아이들의 천국, 낙양물사랑공원 워터파크 무료 개장! file 2017.07.31 임성은 14516
도시가 더 더운 이유는? 3 file 2017.07.30 김서영 20493
여름을 위한 취미, 컬러링 북 2 file 2017.07.30 임해윤 14422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7506
‘안심 비상벨’ 설치에도 여전히 불안한 남녀 공용화장실 file 2017.07.28 박현규 15380
청소년 지역해설사는 나야나! - 수원시 청소년 지역해설사 교실 현장을 가다 2017.07.28 정지윤 13605
연꽃이 필 무렵 file 2017.07.27 강예린 13378
학생들을 감동시킨 '필적 확인용' 문구 file 2017.07.27 김수민 31274
지구온난화에 대한 궁금증? 2017.07.27 임승연 14204
발전할수록 어려운 문제를 내는 인공지능 file 2017.07.27 장예진 15219
이번 동계올림픽은 평창, 바로 나야나! 2017.07.27 김규리 16188
심각한 동물 학대 file 2017.07.26 황수민 12931
'청소년 자원봉사학교' 개최 file 2017.07.26 김준희 12704
G.M.O.식품 얼마나 알고 먹나요? 4 file 2017.07.26 이주형 16049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4072
인천항 안의 인문학 속으로 file 2017.07.26 유한나 25419
실제 같은 화학 실험 "BEAKER" file 2017.07.26 전제석 16728
인류의 위대한 재산 file 2017.07.26 김하은 12677
핸드메이드코리아, 겨울에 다시 만나요! file 2017.07.26 박미소 13953
네이버 디자이너 윈도, 패션의 세계로... file 2017.07.26 성유진 14438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1. 2. 3 어울림 파크 골프 대회 성황리에 끝마쳐 2017.07.26 정인영 13952
전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다 ‘청년몰’ 1 file 2017.07.25 이한빈 13573
니콜라 테슬라, 거의 모든 것을 발명한 남자 file 2017.07.25 김도연 18545
경쟁하지 않는 토론, 1318 청소년 토론한마당 file 2017.07.25 양현진 13828
국지성 호우, 대체 무엇일까 file 2017.07.25 김가영 14623
갈 곳 잃은 학생인권, 그 방향을 묻는다 1 file 2017.07.25 안옥주 15141
유익한 과학 캠프 file 2017.07.25 차유진 13020
둘리의 부활? 우리 마을에서 만난 공룡 친구들 file 2017.07.25 이가영 12128
대청도 지질 공원 인증 추진... 요새화 사업 본질적 복원 필요 file 2017.07.25 경어진 14155
원주 역사 박물관으로 오세요~ 2017.07.25 차유진 14417
텀블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다? file 2017.07.25 이지우 31706
우리의 삶을 혁신적이게 이끄는 구글의 AI 기술들! file 2017.07.25 김지훈 28416
페트병의 악몽을 깨다. '오호' file 2017.07.25 김민정 14174
시원한 휴식, 남일대 해수욕장에서 어때? file 2017.07.25 공혜은 17869
아이돌학교? 안 예뻐도 돼요! 1 file 2017.07.25 정서희 14697
무더위를 날려버릴 불꽃들의 향연 file 2017.07.25 주은채 13512
송파구 올림픽공원서 청소년 봉사동아리 연합축제 '루리 잔치' 열려 file 2017.07.25 박지현 13881
한국인의 '벙어리 영어', 그 시발점은 어디인가 1 file 2017.07.25 신유정 16749
한국외대 모의국제연합과 함께하는 제41차 HIMUN 총회 file 2017.07.25 이가영 15513
그 많던 은행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1 file 2017.07.25 양현서 19674
홍수 대피 요령 file 2017.07.25 김가빈 16513
참외씨, 먹어야 할까? 2017.07.25 박수연 17602
경기 불황 속 작은 사치 file 2017.07.25 박주연 14116
<클래식 23R - FC서울 VS 전북현대> 그 뜨거웠던 현장 속으로 file 2017.07.25 이아현 143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