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by 16기임윤재기자 posted Nov 19, 2020 Views 74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작년 말, 중국 우한 시로부터 전파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현재 전 세계로 퍼진 상태이다. 세계적으로 여전히 하루에 4,000명가량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도 여전히 하루 평균 200명 수준의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을 막기 위한 백신 개발에 중요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대한민국 정부가 국내 인구의 60% 수준인 약 3,000만 명 분량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임상 3상이 진행 중인 9개의 백신 중 4개가 중국산이고, 그중 한 정부 관계자는 현재 중국 제약사 시노팜(國藥集團)의 백신을 적극 도입 검토 중이라고 발언하여 화제이다.


KakaoTalk_20201118_09152710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임윤재기자]


각각의 백신들의 면모에 대하여 파헤쳐 보자면 우선 중국 측의 4개의 불활화 백신은 국영 제약사 중국의약집단(시노팜) 산하 중국생물기술집단(CNBG)과 베이징과흥생물제품(시노백 바이오테크), 강희락생물(칸시노 바이오로직스)이 각각 개발한 것이다. 그중 CNBG와 시노백의 백신은 이미 중국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긴급 사용 허가가 났고, 또한 칸시노의 백신은 중국 군인들을 대상으로 현재 접종 중이다. 이 백신들은 모두 중국 국외에서 실험된 것으로 중국 내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외국에서 참가자들을 섭외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중 칸시노가 개발한 백신 후보 물질은 ‘Ad5-nCoV’는 일반 감기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다수의 과학계 전문가들은 많은 사람이 일반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Ad5-nCoV의 효과가 크지 않다고 본다. 하지만 칸시노는 이러한 지적을 반박하였고, 이는 충분한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도 백신은 개발 중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여러 백신에서 부작용들이 검출되며 난항을 겪고 있다. 현재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사의 아데노 바이러스를 활용한 백신은 임상 참가자에게 희소 질환인 척수염이 발견되어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외에도 mRNA를 활용한 미국의 모더나 사의 백신, 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한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V 백신, 그리고 현재 실제 사용되고 있는 렘데시비르, 덱사메타손, 올루미언트 등이 있다.


이렇듯 위와 같이 많은 국가들이 코로나19 백신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코로나 감염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지만, 코로나 종식 전까지 경계심을 잃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  기본적인 생활 수칙을 계속해서 지켜나가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임윤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1.30 14:09
    아무쪼록 좋은 품질의 좋은 백신이 국민에게 접종 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85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623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9440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090
떠오르는 세월호 떠올라야 할 진실 file 2017.03.25 김지원 9876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file 2017.03.25 노태인 10446
나라 싸움에 등터지는 학생들 file 2017.03.25 김윤혁 12818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256
유럽 최초의 평화의 소녀상! 세계의 소녀상의 위치는? 2017.03.25 강지오 13992
'런던 테러' 배후에 선 IS file 2017.03.24 류혜돈 10515
미국과 중국의 총알 없는 전쟁 file 2017.03.24 김미성 10890
중국인 관광객, 있다 없으니까 4 file 2017.03.24 이동욱 10648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행보 1 file 2017.03.24 윤희수 10687
세월호 인양, 현재 상황과 의혹들 1 file 2017.03.24 민병찬 11631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0819
평택 평화의 소녀상, 힘과 마음을 합치면 하늘을 이긴다. 3 file 2017.03.24 장수임 11014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607
이화여대 총장 선출, 학생들의 정당한 권리를 위해 2 file 2017.03.23 박하연 10813
잊혀지지 않을 참사, 세월호 참사 3주년을 앞두고 되짚어 보는 팽목항의 비극 3 file 2017.03.23 박아영 11821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6 file 2017.03.23 박민서 15285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file 2017.03.23 김경미 10166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9313
꺼지지 않는 촛불들이 가져온 승리 file 2017.03.22 김예찬 10545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169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104
문재인의 번호와 참여정치 2 file 2017.03.22 최우혁 10127
'장미대선'을 앞둔 안철수의 교육정책,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다 file 2017.03.22 홍정민 17915
국민을 위한 공약제안 '대선공약 더불어 온라인 국민제안' file 2017.03.22 박천진 10744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9901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256
대학원 조교들의 현실 2 file 2017.03.22 최동준 13392
좌파가 정말 몰락하고 있을까? -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유럽의 반발 file 2017.03.21 신연수 10953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137
피의자 신분 박 전 대통령의 첫 검찰 수사 1 file 2017.03.21 최지오 11065
세월호 인양작업... 또 다시 지연 2017.03.21 황서영 9786
헌법기관 vs 헌법기관...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file 2017.03.21 박찬웅 12066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181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file 2017.03.21 정단비 16286
뜨겁게 불타올랐던 133일의 끝, 마침내 봄이 오다 1 file 2017.03.21 4기류지현기자 63486
야자 폐지, 석식 중단, 꿈의 대학, 과연 꿈의 교육 실현 가능할까? 2 file 2017.03.20 윤익현 13607
“사람이 다스리지 말고 법이 다스리게 하라” 1 file 2017.03.20 이윤영 10910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9336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9792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119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439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1708
손학규 대선 출마 선언 “국민주권의 시대, 우리가 열어가야 할 미래” file 2017.03.19 황예슬 11816
미국 국무장관 "일본은 가장 중요한 동맹…한국은 중요 파트너" file 2017.03.19 정승민 11578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0788
혁신학교, 시스템을 체계화 해야... file 2017.03.19 김영민 11451
국민의 힘은 과거나 현재나 모두 같다. 1 file 2017.03.19 신해인 119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