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by 16기최준서기자 posted Nov 17, 2020 Views 120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Microsoft의 창업자이자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회장인 빌 게이츠는 원자력 에너지를 사용한 발전 방식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사람들 중 한 명이다. 그는 테라파워(TerraPower)라는 에너지 기업을 설립해 차세대 원자로 개발에 나섰고, 그의 인지도를 활용해 그간 언론 인터뷰나 직접 출연한 다큐멘터리 등을 통해 원전의 필요성을 설파해왔다. 게이츠 회장이 기존에 하던 일과 관련이 없어 보이는 원전에 관심을 갖고 옹호하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NatriumTechnology.jpg

[이미지 제공=TerraPower,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빌 게이츠 회장이 다른 관련 전문가들과 조금 다른 것은 원전의 필요성을 제일 강조한다는 점이다. 그는 산업의 혁신과 수요의 변화 등으로 인해 매년 늘어나는 에너지 사용량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에너지 생산으로 인한 오염을 최소화하려면 원자력 발전소를 늘려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빌 게이츠 회장은 2019년 자신의 블로그에 "원전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24시간 연속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에너지원"이라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그는 원전을 활용해 친환경적인 전력 생산을 하려면 지금보다 더 안전하고 효율적이면서 저렴한 미래형 원자로를 개발해야 한다고, 다큐멘터리 '인사이드 빌 게이츠'에서 말하였다. 그 신념의 일환으로, 2006년 'TerraPower'라는 신세대 원전 기업을 설립하고, 차세대 소형 원전 개발에 돌입했다. 그 결과, TerraPower는 나트륨(Natrium)이라 불리는 새로운 초소형 원전을 개발하여 상용화할 청사진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지속적인 개발 성과를 인정받아 TerraPower는 2020년 10월에 미국 에너지부(DOE)의 차세대 원자로 개발 프로젝트에 선정되었고, 8천만 달러를 지원받기로 하였다.


TerraPower의 나트륨 원자로는 소듐냉각고속로(SFR)를 사용한다. 액체 나트륨인 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차세대 원자로인데, 액체 나트륨은 기존 냉각수보다 더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어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나트륨 원자로는 기존 재생에너지 발전 방식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였다고 TerraPower는 설명하였다. 특히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언급하며, 날씨와 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 다른 재생에너지와는 달리, 나트륨 원자로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나트륨 원자로의 건설 비용은 10억 달러(약 1조 2천억 원)로 기존의 대형 원전의 1/4 수준에 불과하며, 발전용량은 345MW(메가와트)로, 기존 원전의 1/3 수준이다. 테라파워의 CEO인 크리스 레베스크는 "상용화에 성공하면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소형 원전을 지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과정을 겪고 있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 후보가 대통령이 되어도 원전 개발과 건설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은 원전을 핵심적인 에니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민주당은 탄소 중립화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생산 기조를 발표했는데, 원전의 가동 없이는 이러한 목표 달성이 어렵다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미래의 불확실성이 제거된 TerraPower의 소형 원자로, 나트륨이 상용화될 날이 그리 멀지는 않은 까닭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최준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29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992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169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file 2018.02.21 조승주 11219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7898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0955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332
사법시험의 폐지와 '로스쿨 제도' 5 file 2017.07.25 최서진 11123
사법시험 폐지의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발, 그 이유는? 1 file 2018.01.18 이승민 11051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9996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642
사람이 포켓몬을 잡는 건지 포켓몬이 사람 잡는 건지... 9 file 2017.02.09 이지은 16306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519
사라진 여당 추천위원들… 이대로 세월호 특조위 무력화 되나 9 file 2016.02.25 유진 16130
사라지는 통일의 필요성.. 대책은 무엇인가 3 file 2017.08.17 김정환 11097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5550
사라져가는 프랑스의 엘리트주의 file 2021.04.26 김소미 9713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17770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400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1886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0970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235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373
사드 배치, 황강댐 ‘수공’ 레임덕 완화 도구 1 file 2016.07.18 이민구 14450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6904
사드 반대했더니 불순세력, 사드배치 반대했더니 지역이기주의 file 2016.07.24 조민성 15282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9979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5 2017.09.12 5기김경원기자 11167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17.09.19 호수 10471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641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2059
빈곤과 가난은 옛이야기일까? 1 file 2018.07.04 박상미 11659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3 file 2017.02.20 김민주 17074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2074
비트코인 지속적인 하락세…정부의 대처 눈여겨봐야 2 file 2018.04.02 민솔 10301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439
비추는 대로 봐야하는가, 언론의 신뢰성 문제 3 file 2016.05.25 김영경 16522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모두가 행복할 변화인가? file 2017.05.21 한윤정 10860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누가 차별당하는 것인가 4 file 2017.07.19 윤익현 16896
비어있는 임산부 배려석 찾기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6 file 2017.02.25 박유진 22402
비바람에도 꺼지지않는 촛불, 14차 광주시국 촛불대회 1 file 2017.02.13 정진영 16839
비가 와도 함께한 1271번째 수요일... 일본정부의 진정한 사죄를 촉구하는 수요시위 현장 9 file 2017.02.22 정지윤 15231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10240
블라인드 채용 법 발의 5 file 2017.07.09 송선근 14356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1015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7681
브뤼셀 테러 발생, IS의 테러는 어디까지 5 file 2016.05.24 정가영 14664
브렉시트....현재 진행 상황은? file 2017.12.12 현승현 13091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9975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12 2017.09.06 김나연 12501
불법주차 개선위한 대책마련 시급 1 file 2016.11.17 김지현 179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