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by 18기이수미기자 posted Nov 12, 2020 Views 122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바이러스가 세상을 휩쓴 마당에 우리들의 주거 단지에서의 층간 소음 문제가 수면위로 떠 오르고 있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집에만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외출을 하는 것이 현저히 적은 것이 이유이다. 물론 이것은 아파트나 공용 주택에서 일어나는 일이지 단독 주택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우선 층간 소음이란,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 아랫집에 들리는 윗집의 생활 소음을 말하며 벽간 소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IMG_20201025_1748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이수미기자]


이런 층간 소음으로 인해 사람들 간에 불화가 생기고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층간 소음으로 인한 갈등 사례를 알아보자. 


울산에 사는 A 씨 2020년 3월 10일 오후 11시 경남 한 아파트 공동 현관 앞에서 평소 층간 소음 문제로 다툼이 있었던 위층 거주자 B 씨를 불러냈다. 그는 B 씨를 주먹과 발로 여러 차례 때려 상해를 입힌 혐의로 기소됐다. 울산 지방 법원 김경록 판사는 상해 혐의로 기소된 A 씨에게 벌금 200만 원을 선고했다.


끊이지 않는 층간 소음,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엇일까? 

첫째, 층간 소음 매트 혹은 층간 소음 방지 매트를 집에 설치하는 것이다. 층간 소음 매트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 소음을 줄이는 완충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매트를 설치하면 층간 소음이 발생하여도 층간 소음을 약 60% 저감시켜주는 획기적인 매트이다.


둘째, 정부가 '사후 확인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정부는 아파트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해 시공 이후에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을 확인하는 ‘사후 확인 제도’를 곧 도입한다.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정확하게 반영되도록 측정 방식도 바꾼다고 한다. 먼저 30가구 이상의 공동 주택에 대해서는 사용 검사 전에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 측정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그리고 국토부는 층간 소음 측정 방식인 타이어를 떨어트리는 방식에서 배구공 크기의 공을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그러한 방식이 일상에서 발생하는 생활 소음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셋째, 우리가 집에 있을 때 각별한 신경을 쓰는 것이다. 집에서 이동할 때 발소리를 작게 내려고 노력하고 늦은 시간에 세탁기, 드라이기 및 전자 기구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층간 소음이 조금은 줄어들 것이다.


층간 소음 문제는 늘 끊이지 않았지만 요즘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서로서로 주의한다면 여러 사건 사고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더 평화로울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 나와 더불어 다른 입주민들의 입장도 고려하는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이수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675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427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4620
참 언론의 참 기능, 영화 <스포트라이트> 2 file 2016.03.20 임하늘 15389
참된 되살림의 현장, 안양 교복은행 나눔장터 3 file 2017.02.18 김효림 17391
참신한 최신 스마트기기가 궁금하다면 스마트 디바이스 쇼로! file 2017.08.16 이승아 13830
참여와 소통을 통한 화합의 장을 마련하다, '2017 오송읍 주민화합 한마음 축제' file 2017.06.13 김다빈 15044
참외씨, 먹어야 할까? 2017.07.25 박수연 17580
창동 예술촌으로 놀러오세요~ file 2016.04.02 이서연 15783
창문으로 넘어오는 담배 냄새 싫어요! 1 file 2017.08.29 김예닮 27713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5867
창원서, '전국특례시시장협의회' 개최 file 2021.04.26 김진영 9654
창조경제 도시 포항, 포항운하로 여행을 떠나요~ file 2016.07.25 권주홍 14136
채식으로부터 오는 모든 것 file 2019.03.20 김지현 17820
책 <조선 국왕의 일생>을 통해 조선시대 왕들의 삶을 보다 file 2018.12.03 이태권 15452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6153
책과 과학의 만남 1 file 2022.02.14 현예린 9479
책과 함께, 경의선 책거리 file 2018.05.30 최금비 13978
책나눔터가 뭔지 알아? 4 file 2017.03.01 김경민 14964
책소개 - 미움 받을 용기 1 file 2016.09.26 이지은 17200
책으로 떠나는 '언택트 피크닉' 5 file 2021.02.25 정다빈 13969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7055
책을 꾸준히 읽을 수 있는 좋은 습관, '독서 마라톤' 4 file 2017.03.11 최영인 19412
책의 도시, 군포시! file 2014.10.23 이효경 22714
책읽어주는 언니오빠와 함께 알아가는 책 읽는 즐거움 1 file 2017.02.22 곽문주 15012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 2016-2017 KCC프로농구 올스타전! 3 file 2017.01.22 김다정 18409
천고마비의 계절, 독서와 함께 마음을 살찌우자! 2 2017.10.31 홍서영 13090
천년의 역사 속 무지개 행렬, 전주 퀴어 문화 축제 file 2018.04.20 김수인 15647
천사가 될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방법? 10 2017.03.03 하영서 16398
천안시, 빵의 도시를 위한 새로운 발돋움...베리베리 빵빵데이 개최 file 2023.03.24 박상연 6457
천안에 도시락 배달 천사들이 떴다! 1 2017.08.25 오세민 15154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서울오케스트라와 업무협약 체결 file 2023.03.07 디지털이슈팀 7434
천재교육, 그 이념과 목표의 깊이에 대해 알아보다. file 2017.05.25 김해온 16435
천진 모의유엔 2019 file 2019.11.22 김수진 18500
천헤의 속살, 천지연 폭포를 바라보다 file 2016.06.12 박도은 15728
첨단 의과학캠프의 현장으로 file 2017.08.12 김민지 12445
첫 '남녀부 분리 운영'의 V-리그, 무엇이 달라졌을까 1 file 2018.11.12 김하은 14461
청년 수당, 본격 시행되다 file 2017.05.24 송다원 12911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file 2018.08.08 이승철 17039
청년 예술가를 찾아서! file 2021.09.27 김동은대학생기자 10963
청년들에게 희망을,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 1 file 2017.11.06 오소현 16221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키워줄 'MBN Y 포럼 2019' 2019.02.12 오승엽 13661
청년들이 세상을 바꾼다! 제5회 '청년의 날' 축제 개최 file 2021.11.08 최우석 8819
청년들이 제작하는 국내 최초 환경 용어 뉴스레터, '이유있는 기후식' 2021.11.30 지혜진 14027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0782
청년의날 축제, 여의도공원서 성황리 마무리 file 2023.09.30 박도현 4999
청년의정, 7월 30일 의정부 청년센터에서 ‘도보 7분 쉐어하우스’ 낭독극 개최 file 2022.07.29 이지원 8802
청년희망적금 걱정 잇따라.. 1 file 2022.03.28 박서빈 16686
청라국제도시의 새로운 교통망, GRT 2 file 2018.02.28 고동호 17787
청소년 기후활동가 에코디자이너, 업사이클링 작품 전시회 개최 file 2022.12.09 이지원 8264
청소년 댄스 밴드 경연대회 PUNK&DREAM! 1 2017.06.14 조성민 188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