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by 17기김하영기자 posted Oct 29, 2020 Views 88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년째 아마존 산불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2019 8월에 발생한 산불은 소를 키우고 콩을 경작하기 위해 열대우림을 파괴하고 경작지 조성을 위해 또는 해마다 소가 뜯어 먹을 목초를 생산하기 위해 숲에 불을 지르는 행위가 원인이 되었다. 또한, 브라질의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반환경적 정책을 펼치면서 산림 벌채, 벌목 및 광산업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더 많은 숲을 파괴하는 것도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19 5월에 국제앰네스티가 브라질 정부가 방침을 바꾸지 않으면 아마존 우림과 선주민들은 더는 견딜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브라질 정부의 정책은 바뀌지 않았고 결국 아마존 산불이라는 결과를 불러왔다. 이에 브라질 대통령은 아마존 우림에서 산불이 저절로 나지 않는다라며 원주민들이 산불을 지르고 있으며 그것은 그들의 문화라고 말했다. 더하여 국내외 여론이 아마존 우림 산불의 피해를 과장해 브라질의 대외 이미지를 망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14D72978-0CEA-4087-BB65-6F80A56783CC.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김하영기자]


그는 아마존 산불 진화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G7에서 아마존 산불 진화를 돕기 위해 2,000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했을 때 그는 브라질과 지구를 생각하기보다는 자신의 모욕감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이 자신을 거짓말쟁이로 묘사했다며 사과를 받기 전까지는 지원금을 받지 않겠다고 했다. 그런 그는 입장을 다시 바꿨고 기금에 대한 통제권을 모두 브라질에 넘겨준다면 지원금을 받겠다고 했다. 결국 진화를 위해 군이 투입되었지만, 아마존 우림의 넓이가 엄청나고 이미 커진 불길 때문에 진화는 쉽지 않았다. 그리고 올해까지도 아마존의 불길은 꺼지지 않고 있다.

 

아마존의 불이 꺼지지 않는다면 이산화 탄소의 방출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상이변이 잦을 것이고 온도가 급상승할 것이다. 실제로 올해 브라질의 여름은 이례적 폭염이었다. 많은 전문가가 아마존 산불로 인해 연기가 도시의 온도를 상승시켰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아마존 산불을 빨리 진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아마존의 산불은 지구온난화를 악화시키고 지구온난화는 우리의 처지를 악화시킨다. 악순환을 막기 위해서 우리는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7기 김하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전민영기자 2020.11.05 19:12
    아마존에서 일어나는 산불이 결국 우리 모두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을 기억하겠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479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175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5037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3940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8303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1775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004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520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322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3935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5898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630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648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536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3659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5335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9499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2211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634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7751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255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9221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020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7838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7391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450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5227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470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684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294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572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986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7289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533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2188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567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328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575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527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2073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369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796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5805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19601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317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3549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417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574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257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321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34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