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by 16기유서연기자 posted Oct 29, 2020 Views 77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가 재유행하는 시기, 의사들이 집단 휴진에 들어가며 '의료계 총파업'이 발생했다. 이 총파업에는 국내 5대 병원까지 참여하며 의료 공백이 발생했고, 의사 파업 속 응급실을 찾다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숨진 사례가 연이어 발생하기도 하였다. 환자를 살리는 것이 직업인 의사들이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국가적 위급 상황인 현재, 이렇게 총파업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 정부와 의사 협회(이하 의협) 간의 의견 충돌로 인해 의료계는 총파업을 하였다. 의대 정원 확대, 공공 의대 설립, 첩약 급여화 시범 사업, 비대면 진료의 4개의 논제에 대해 정부와 의협은 팽팽한 논쟁을 벌였고, 그중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논쟁이 가장 컸다. 
대한의사협회.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유서연기자]

 
 보건복지부는 7월 23일, 의대 입학 정원을 2022년부터 10년간 약 4,000명의 의사를 추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수도권과 지방 간의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정원의 상당수를 '지역의사제 특별전형'으로 뽑아 재학 중 장학금을 주는 대신 의사 면허 취득 후 10년간 지역 병원에서 의무 종사하게 하고, 역학 조사관, 중증 외상 등의 특수 분야 종사자, 그리고 기초과학, 제약, 바이오 등의 의과학 분야 전문가 수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2.4명에 불과해 OECD 국가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데다가 수도권의 의사가 편중되어 있어서 수도권과 지방 간의 의료 격차가 크며, 특정과 기피 현상이 심한 우리나라에서 전공의 10만 명 중 감염내과 전문의는 277명, 소아외과 전문의는 48명에 불과할 정도로 특수 분야 의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를 주장했지만, 의협은 이러한 정부의 방식에 대해 반발을 일으켰다.

 공공 의대 설립에 대해서는 정부가 국가와 공공이 필요로 하는 필수 분야 중심 인재를 양성하는 일종의 의무 사관학교를 추진하겠다고 나선 데 대해 의협은 정부가 설립하려는 공공 의대가 정말 충분히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첩약 급여화 시범 사업에 대해서는 정부는 한의 치료에 대한 국민 부담을 덜기 위해 신청 조건을 충족하는 한의원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시스템도 구축하려 하였으나 의협은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며 반대했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진료에 대해서는 정부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지난 2월부터 전화를 이용한 상담과 처방이 가능하도록 허용하였고, 지난 5월엔 비대면 진료 체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하였다. 그러나 의협은 비대면 진료 시 소통의 제한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보장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부와 의협 간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의료계 총파업은 의사들의 정당한 투쟁일까, 아니면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려고, 즉 자신들의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해 환자들을 외면한 의사들의 집단 이기주의가 불러일으킨 사태일까. 이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하고 확실히 말할 수는 없지만, 이로 인해 피해를 겪는 것은 결국 환자들이다. 그러므로 정부와 의협 간의 논의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유서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825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92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9116
우리 사회의 문제, 평균 결혼 연령 상승의 원인은? file 2019.05.07 서민영 19491
간호사들의 악습, '태움 문화' 1 file 2018.03.02 김고은 19504
대책위 보성-서울 도보순례, 광주지역에서도 백남기 농민 쾌유 빌어 13 file 2016.02.17 박하연 19507
4차 산업혁명···기계들이 꿰차버릴 일자리? 4 file 2017.02.03 박혜신 19511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529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19531
슬럼 투어리즘, 어떻게 봐야 하나 file 2019.05.07 이채빈 19579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580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592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19623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19689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690
이례적인 공약...문재인 동물을 말하다 1 file 2017.02.24 정무의 19698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724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727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751
장애인 복지와 인권, 그 이상과 현실 4 file 2017.02.01 최서영 19754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줄줄 새는 혈세 7 file 2016.02.24 정현호 19798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19823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19846
주인 없는 길고양이들.. 밥은 언제 먹나요? 5 file 2016.03.24 김보현 19885
교복이 마음에 드나요? 10 file 2016.04.03 유승균 19899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19908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935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936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945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19967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19972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19982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어떤 영향이 있을까? 2017.02.24 김태욱 19983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046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054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069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072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090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20104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156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172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174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189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273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290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299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306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316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327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346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