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추석에는 왜 송편을 먹을까?

by 18기김성희기자 posted Oct 05, 2020 Views 140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의 중요한 명절인 추석은 중추절()·가배()·가위·한가위라고도 부르며 음력 8월 15일이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가장 풍성했던 시기인 추수 후에 떡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수확을 감사하고 축하했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인 만큼 다양한 놀이와 맛있는 음식들로 더욱 풍성하고 즐거운 날이다. 그리고 '추석’ 하면 빠지지 않는 송편! 우리는 언제부터 추석에 송편을 먹었을까?


KakaoTalk_20201004_20064607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김성희기자]


송편(松餠, 松䭏)은 한국의 명절인 추석을 대표하는 전통음식이다. 멥쌀가루를 뜨거운 물로 반죽하여 깨·팥·콩·녹두·밤 등의 다양한 소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어 쪄서 만든다. 송편은 추석에 햇과일과 햇곡식을 수확한 뒤 조상과 하늘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만드는 음식이다. 

송편은 아주 오래전부터 먹어왔고 고려 시대에는 거의 일반화되었다.

≪제민요술 ≫이나 ≪목은집 ≫에는 송편으로 추정되는 것들이 나와있다. '제민요술'의 종()과 열(imagefont) 그리고 '목은집'의 팥소를 넣은 차기장 떡도 송편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된다.

≪동국세시기≫에는 정월 보름날 농가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로 집집마다 장대에 곡식 이삭을 매달아 대문간에 세워두었다가 중화절(: 2월 1일)에 이것으로 송편을 만들어 노비에게 나이 수대로 나누어 주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떡은 나이떡이라고도 불렸다. 


또 팔월 추석에 햅쌀로 송편을 빚어 차례를 지내고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를 하는 등의 풍습들은 농사일이 잘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시작되었고 지금까지도 전해져 송편이 추석의 대표음식이 되었다.


예부터 전해져 내려온 소중하고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 추석과 송편! 이번 추석에는 풍요로운 추석에 감사하며 송편을 먹어보는 것은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6기 김성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050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813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7789
가상현실로 이루어진 내 눈 앞에 펼쳐진 풍경 ··· 어디서나 쉽게 체험 가능해 19 file 2017.01.11 이정수 16273
가슴 아픈 역사의 현장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1 file 2017.10.24 이윤지 19590
가슴에 전율이 느껴지는 소리 목포에 울리다 <송승환의 오리지널 난타> 1 file 2017.10.09 염지선 14646
가야왕도의 새로운 비상, 제 41회 가야문화축제 file 2017.04.14 박수지 13662
가요계의 봄 file 2016.03.24 이나현 15669
가을 하면 떠오르는 대명사 은행, 열매가 아니다? file 2021.09.23 김혜성 9137
가을, 책을 읽어볼까요? 6 file 2017.09.22 김수인 14437
가을, 청년들의 고민을 마음껏 비우는 시간 file 2019.09.25 김윤 15605
가을과 코스모스, 연천군 코스모스 축제 file 2017.10.19 이다은 20773
가을과 함께하는 인천대공원 걷기대회 file 2016.11.24 최찬영 15347
가을꽃으로 물들은 2017 고양가을축제 1 file 2017.10.12 최나연 13257
가을엔, 온 가족이 함께하는 2017 목포과학축전 개최로! file 2017.11.06 김영신 17184
가을의 바닷바람이 부는 통영 2 file 2017.10.13 김동연 14904
가자, 국립 고궁 박물관으로! 2017.09.04 전혜리 14630
가자, 축제의 현장으로! 뜨거운 여름, 뜨거운 축제 2 file 2017.05.19 염가은 15069
가장 많이 하는 PC게임 "롤" 혹시 내 자녀도? file 2020.05.06 신준영 19987
가장 작은, 가장 약한 사람들을 위해 일하는 NGO, AMNESTY file 2017.07.20 정재은 12761
가장 필요한 용기 file 2017.03.24 김다빈 12662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통이 살아 숨쉬는 전주로 떠나자! file 2017.07.18 조지원 15977
가정문화의집, 미래를 향한 새로운 출발, 13기 운영위원 선출! 2017.03.22 윤예주 13863
가족과 함께 하는 봉사, 어렵지 않아요! 3 file 2017.03.20 한정원 15595
가족과의 봄나들이, 불암산나비정원 file 2019.03.26 장윤서 18249
가지고만 있어도 부자가 된다는 꽃이 한가득 …. file 2017.03.24 원채윤 15923
가짜가 더 비싼 신발 세상 file 2021.08.04 류태영 13216
각국 주한대사 참가한 '양재플라워 페스타'...한국춘란 경매 큰 호응 file 2023.11.22 박도현 4476
간단한 우리집의 레스토랑, 쿠킹박스 2 file 2020.06.29 송다은 13937
간절했던 소망! 2.8독립선언 98주년기념식 개최 3 file 2017.02.19 김나현 17100
간판 교체, 도로 정비, 배수로 설치...현대화로 한층 새로워진 상계중앙시장 file 2016.08.24 김태경 21823
간편 결제 수단의 시대: PAY 3 file 2021.07.27 전인애 12230
갈 곳 잃은 학생인권, 그 방향을 묻는다 1 file 2017.07.25 안옥주 15389
갈 곳을 잃은 통학생들은 어디로 가야 하나? file 2020.10.27 임은선 12281
갈 길 바쁜 청주 KB스타즈, 분위기 전환 성공 file 2018.01.29 허기범 14670
갈색 지방, 지방이라고 다 같은 지방이 아니다! 1 file 2017.09.22 박광천 20161
감사편지를 통한 아이들의 인성함양,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file 2021.04.01 오지수 11431
감성과 건축을 생각하다...'헤더윅 스튜디오: 감성을 빚다'전 file 2023.09.11 박예찬 7376
감이 익어간다고요? 1 file 2017.11.14 백준채 15112
감정, 너 어디서 왔니? 4 file 2019.10.16 윤지현 15989
감탄문과 감탄사 -무슨 의미인지는 아시나요? file 2014.08.10 최지인 24323
갑자기 사라진 성취도 평가 1 file 2017.07.02 한한나 13583
갓세븐 3주년 팬 미팅 “달빛아래우리”, 추위를 녹이다 8 file 2017.02.13 이지나 15798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 ‘강남구 아동정책참여단’ 정책 제안 활동 진행 file 2022.11.22 이지원 8098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8896
강동고등학교 경제동아리 토정비결, 법무법인 율촌에 다녀오다. file 2016.06.25 류지석 18190
강력 한파로 환자 급증해… 4 file 2017.02.01 이유정 14193
강렬한 음악으로 찾아왔다, '환불원정대' 드디어 데뷔! 2020.10.21 김민채 12070
강릉 경포 벚꽃축제 12일 폐막 file 2017.04.15 김동근 15854
강릉에서 느끼는 조선시대 전통문화 file 2018.03.09 마하경 16088
강미강 작가와 “옷소매 붉은 끝동”의 만남 file 2021.01.19 정주은 308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