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by 15기정미강기자 posted Oct 05, 2020 Views 231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00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정미강기자]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지구 반대편 사람들과 기분을 공유하고 패션을 뽐내는 우리는 가만히 앉아 세상의 모든 것을 접하고, 느낀다. 누리소통망(SNS)의 등장이 전 세계 사람을 한곳에 모은 것이나 다름이 없다. 댓글이라는 짧은 글 무리를 서로 쓰고, 공유하며 사람들은 점점 하나로 연결되어 간다. 그렇지만 사람의 생각은 모두 다르기에 하나로 연결되어가는 것이 사람들의 생각이 하나로 통일된다고 볼 순 없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우리는 인터넷상에서의 수많은 댓글을 보며 일명 선플과 악플이라는 꼬리표를 만들어 구별하며 읽는다.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여 조화시키는 선플에 반해 서로의 생각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배척하는 악플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연예인들의 잇따른 자살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악플의 사회적 무게감은 더욱 막중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을 벼랑 끝에 몰아넣는 악플을 사회에서 분리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악플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알아야 한다. 이러한 악플은 서로의 생각 차이에서 일어난다. , 서로의 생각을 억지로 끼워 맞추지 않는 한 해결될 수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IT기업들은 악플의 생성을 막을 수 없다면, 악플의 노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악플을 사회에서 분리하기로 하였다.

 

예전에는 사람이 하나하나 분류하거나, 컴퓨터가 간단히 키워드를 가지고 분류하는 정도에 그쳤다. 하지만 요즘에는 AI(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해 사람이 아닌 AI(인공지능)가 악플을 선별, 삭제하는 일명 악플 제거 AI’가 인터넷에 적용되고 있다.

 

악플 제거 AI가 활동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악플제거AI 10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정미강기자]


1단계, AI가 악플을 학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악플 제거 AI가 악플을 분류할 수 있도록 미리 이미 악플로 분류한 댓글들을 악플 제거 AI에게 학습 시켜 악플 제거 AI가 제거해낼 악플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2단계, 악플 제거 AI가 악플을 학습했다면, 미리 준비되어 있는 악플 목록을 가지고 악플 제거 AI가 악플을 걸러낸 결과를 사람이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사람이 악플을 제거한다.

 

3단계, 악플 제거 AI가 사람이 검토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알고리즘들에 중요도를 부여하거나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실제 악플 제거를 위한 기반을 다진다.


악플제거AI 10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정미강기자]


4단계, 특정 부분(연예, 뉴스 등)의 댓글로 악플 제거 AI를 실제 환경에 시범 적용하여 악플 제거 AI의 정확도나 분류하지 못하는 댓글들을 파악한다.


5단계, 4단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하여 실제 환경에 정식으로 적용되었을 때 악플을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한다.

 

6단계실제 환경에 정식으로 적용하여 악플들을 제거해 나감과 동시에 악플 제거 AI가 정확히 처리하지 못하는 댓글은 사람이 검토할 수 있도록 따로 분류하여 악플을 걸러낸다.

 

악플제거 AI 007.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정미강기자]


7단계, 사람이 검토한 정보를 분석하여 기존 알고리즘의 문제점과 개선 사항을 스스로 보완하여 학습해 다양한 유형의 악플에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악플은 효율적으로 걸러내게 된다.

 

위의 악플 제거 AI를 사용한 대표적인 사례는 인스타그램과 네이버다. 인스타그램은 2년 전부터 머신러닝 댓글 필터라는 악플 제거 AI에 한국어 지원을 시작해서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며, 사람이 최종 판단하여 처리하기에 정확도가 95%에 달한다. 최근에는 부적절한 댓글 작성 시 작성자에게 알림을 주는 댓글 경고 또한 추가되면서 악플 방지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인스타그램이 사람이 최종 판단하여 정확도를 올리는 데 집중했다면, 네이버는 클린봇이라는 악플 제거 AI를 도입하였다. 기존 악플 제거 AI들이 단어를 보고 파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클린봇은 문맥을 읽고 판단하며, 이모티콘과 같이 악의적으로 필터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댓글 또한 잡아내는데, 놀라운 점은 이 모든 과정에 사람의 개입이 최소화되었다는 것이다. 정확도 문제를 피하고자 인스타그램은 사람의 판단을 대책으로 세웠지만, 네이버는 이용자가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도록 해 이용자가 직접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악플을 제거하고 있다.

 

악플은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그렇다고 방치할 수 없다. 그렇기에 악플 제거 AI가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악플을 달지 않았다면, AI가 악플을 제거할 필요가 있었을까?”라는 질문을 피할 순 없을 것이다.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오늘 사람을 살린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정미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문청현기자 2020.10.26 20:12
    댓글은 인격입니다. 악플은 범죄이고요!
  • ?
    17기김자영기자 2020.10.26 23:08
    요즘 정말 악성댓글이 문제죠,,
    하루 빨리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가 왔으면 합니다.
  • ?
    16기전민영기자 2020.11.03 21:13
    요즘 갈수록 심각해지는 댓글들을 보면서 마음이 정말 아프네요. 네티즌들이 분별하면서 댓글 다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고 봅니다.
  • ?
    18기김성희기자 2021.01.20 12:57
    댓글로 사람을 죽이거나 살릴 수 있다니 조금 안타까운 마음도 드네요. 제목과 본문의 이미지들이 인상깊었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222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985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9434
한국 근현대사의 보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7.11.07 5기정채빈기자 16900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담아낸 이건희 특별전...울산서 열려 file 2023.05.11 조나영 7054
한국 KBO에 메이저리거가? file 2020.07.21 신준영 15653
한계를 이겨내고 싶다; 축구선수 권윤수 file 2020.02.04 이지훈 14415
한·중·일 초청 청소년 축구대회 "파주 FC 우승" file 2019.08.01 고요한 20719
한·중 청소년들의 화합의 장, 2019 한·중 꿈나무 체육활동 한마음대회 file 2019.06.11 강명지 19284
한-영국 수교 140주년 기념 명화전...거장의 시선, 사람을 향하다 file 2023.08.22 서예영 6387
한 해 풍년을 기원하는 '광주 칠석동 고싸움놀이 축제' 1 file 2019.04.25 조햇살 23802
한 여름밤의 꿀 '달밤 소풍' file 2017.08.21 송주영 16215
한 아이가 웃으면 세상이 바뀐다. 1 file 2017.10.02 김다빈 14960
한 생명을 위한 다른 생명을 이용하는 일, 당신은 동의합니까? file 2016.08.25 전지우 21855
한 사회참여 동아리를 만나다 file 2017.09.26 임규빈 14212
한 마디의 말과 행동보다 더 큰 울림,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7.06.12 오주연 14704
한 도시 한 책 운동(One City One Book)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5 유희은 17210
학원.... 나도 다녀야 하나...? 3 2017.03.26 박소민 17068
학술연구에 열기 속으로, KSCY(한국청소년학술대회) file 2016.04.09 김성현 17949
학생인권을 위한 목소리, 경기도 학생 참여위원회 2 file 2017.05.20 오경서 13457
학생을 위한 정책, 학생으로부터의 정책 1 file 2017.02.28 유성훈 14009
학생을 시민으로, 학교를 시민사회로! file 2017.03.03 김미현 13173
학생은 교복 입은 시민! 아동, 청소년 정책 박람회, Be정상회담! 1 2017.10.30 권오현 15676
학생들이 재구성한 뮤지컬 "God Spell" 하나님을 찬양하다. 3 file 2017.02.20 이찬희 14644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독서토론 문화, '읽다, 나누다, 느끼다' file 2017.09.11 오우택 16467
학생들이 생각하는 원어민 선생님, 원어민 선생님이 생각하는 한국 file 2017.10.24 김지우 23014
학생들의 꿈을 만드는 ‘2016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file 2016.07.25 강기병 17142
학생들을 감동시킨 '필적 확인용' 문구 file 2017.07.27 김수민 31595
학생들은 왜 성당 독서실을 이용하지 않을까...? file 2016.05.22 신정효 19669
학생독립운동기념일 ‘함께 만든 대한민국, 함께 만들 대한민국’ file 2018.11.02 오수환 14962
학생 스트레스와 성적의 상관관계 file 2016.07.22 이유진 20678
학생 선수와 일반 학생이 함께하는 2022 청소년스포츠한마당 스쿼시대회 개최 file 2022.08.08 이지원 8071
학교폭력,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2 file 2017.04.23 김애란 18078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211
학교 종이 땡땡땡 2 file 2018.03.01 김다연 14276
학교 전담 경찰관(SPO)과 함께한 청소년 정책 자문단 file 2020.08.26 박지현 15504
학교 속 우리의 쉼터 Wee클래스, 이대로 괜찮은가요? 3 file 2017.04.01 염주원 21901
학교 별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인기 file 2016.03.22 조하은 23756
학교 2017의 시작, 이쯤에서 알아보는 드라마 학교시리즈가 사랑받는 이유? 4 file 2017.06.08 김혜원 23402
하쿠나 마타타. 지금 시작하라! - MBN Y 포럼 2019 개최 file 2019.02.18 임가영 14992
하자센터, ‘지구의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실험실, 탱탱랩’ 환경프로젝트 진행 file 2022.06.07 이지원 8376
하이원 중학생 원정대의 추억과 교훈 file 2018.03.08 백예빈 15266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file 2016.08.24 노태인 16240
하얗게 물들은 북런던 더비, 토트넘 승리의 핵심은? 2 file 2020.12.10 황동언 17994
하얀 파도와 '성난 서퍼들' 1 2017.08.02 이주은 15373
하얀 꽃비를 맞아보셨나요? 2 file 2016.04.25 김승겸 15170
하시마 섬 1 file 2016.04.24 장우정 16898
하반기 개봉영화 미리보기 1 file 2016.07.24 손지환 16954
하멜은 조선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2017.06.28 김용준 14486
하림 푸드트럭, 동신여고·국제고 방문 무료 시식회 실시 6 file 2017.08.18 디지털이슈팀 14404
하루에 한 발자국씩 「열두 발자국」 file 2019.03.13 황엘림 178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