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by 16기최성민기자 posted Sep 09, 2020 Views 958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홍준표 무소속 의원(대구 수성을)이 지난 5일 집단 휴진을 중단하고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진들에 대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홍준표 의원은 "나는 여론의 역풍에도 불구하고 의료진 파업을 처음부터 옳다고 보고 적극 지지했던 사람입니다."라며 자신이 의료계 파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협 회장단 정부·여당과의 합의를 파기하고 다시 거리에 나가야 한다는 주장도 일리가 있습니다만 지금은 의료계가 하나로 뭉칠 때라고 봅니다. 일단 합의된 안이 지켜지지 않을 때 그때는 대대적으로 대정부 투쟁을 해도 늦지 않습니다."라며 합의가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하여도 늦지 않았다며 우선 의료계 복귀를 말하였다.


홍준표1.jpg

[이미지 제공=이승현,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홍준표 의원은 "한 번에 모든 것을 다 얻을 수도 없고 상대방을 완벽하게 굴복시킬 수도 없는 것이 세상사입니다."라면서 "그래도 문 정권 출범 후 좌파정권의 패악을 최초로 굴복시킨 것을 야당이 아닌 바로 여러분들입니다. 여러분들이 아니었으면 의료 개악이 지난번 부동산 정책 개악처럼 무댓보로 국회를 통과 했을 겁니다."라며 이번  의료계와 정부·여당의 합의는 야당의 덕이 아닌 의사들 덕분이라고 말하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우회하여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두 하나로 뭉쳐 의료 개악을 저지합시다. 저도 계속 여러분들을 지지하겠습니다."라며 앞으로도 의료진들을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보름째 이어지던 의료계 집단 파업은 지난 3일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에 관하여 원점으로 돌아가 재검토하기로 의사협회와 정부·여당이 합의하여 의료계 집단 파업이 끝이 났지만, 일부 전공의들은 합의에 대해 반발하며 파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6기 최성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74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58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786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177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해서 file 2019.07.02 송수진 12702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6770
점차 진화하는 불법 촬영, 적극적인 대책 시급해 1 file 2019.03.11 안서경 12815
점진적인 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프랑스 file 2021.05.10 김소미 8020
점점 활기를 잃어가는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 재논의가 필요한 시점 2017.11.30 신유진 10896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태극기 집회 6 file 2017.02.20 송선근 14395
점점 잊혀져가는 세월호, 광화문에서 마주한 현실 2017.11.28 고은빈 10114
점점 삭막해져가는 이웃들 file 2016.06.05 박채운 17417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307
점점 불편해지는 교복, 이대로 괜찮을까? 5 file 2019.02.07 고유진 25018
점점 더 극심해지고 있는 사회 양극화 현상 3 file 2019.05.07 송수진 13794
점보기의 몰락 file 2020.08.21 이혁재 9871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299
절대 침몰하지 않을 그날의 진실 5 file 2017.03.15 조아연 13722
전통시장의 몰락,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2.24 황은성 15170
전쟁의 변화 속 고찰 2 file 2020.01.16 최준우 9102
전자파의 엄청난 영향 file 2019.06.25 오윤주 12616
전안법,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2.27 박아영 15615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1891
전세계의 마트와 가게 텅텅...우리나라는? 1 file 2020.05.04 허예지 8567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2 file 2017.06.08 이종은 10849
전세계가 랜섬웨어에게 공격당하고 있다. 2017.07.24 최민영 9188
전북 전주 고준희 양 실종 한 달째····경찰 수사 역경에 처해 3 file 2017.12.20 허기범 14297
전례없는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파나마 페이퍼스(Panama Papers) 사건 4 file 2017.01.30 이소영 14837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8642
전기자동차, 떠오르는 이유는? 1 file 2019.03.25 김유민 10189
전기안전법, 개정안 시행 논란과 1년 유예 5 file 2017.01.25 정지원 16992
전국에 내려진 폭염경보, 건강관리는 어떻게? 2020.08.24 윤소연 8249
전국 학생들이라면 모두 받을 수 있는 '농산물 꾸러미' file 2020.06.29 하늘 7945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0984
전 세계적으로 겪는 문제, '코로나19와 겹친 금값 폭등' 1 file 2020.05.21 허예진 8985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보안 기술, 양자역학의 원리 속에? 1 file 2020.07.15 서수민 20977
전 세계에 창궐해있는 코로나19, 그 이후의 세계는? 2 2020.08.31 유서연 9636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8076
전 세계를 뒤흔든 김정남 독살! 배후는 누구인가? 2 file 2017.02.20 정유리 15435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7915
전 세계가 패닉! 코로나는 어디서 왔는가? file 2020.03.02 차예원 13507
전 세계가 감탄한 대응책 중 하나,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24 박아연 8052
전 세계, 한국을 뛰어넘다? file 2020.07.20 이다빈 13570
전 세계 학교 상황은 어떨까? 1 file 2020.04.01 여승리 8395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13509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578
저출산과 고령화,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은? 7 file 2018.08.22 윤지원 28978
저출산/고령화현상 이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file 2017.02.24 신규리 14518
저출산 문제,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3.26 강민성 9363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도보 이동권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개선 방안 공유 file 2022.07.15 이지원 6983
저버린 이성, 다시 확산된 코로나 2020.08.26 박성현 72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