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by 16기홍채린기자 posted Sep 08, 2020 Views 760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수도권을 포함한 중부지방에 내린 갑작스러운 집중 호우로 인해 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집중 호우로 인해 한강 수위가 급변하고 물에 잠기면서 지난달 6일 서울시가 잠실, 뚝섬, 망원, 난지를 포함한 11개의 한강 공원의 출입이 전면 통제하였다. 한강 수위가 높아지면서 서울 주요 도로가 통제 중이다. 이날(6) 오전에는 팔당댐에서 초당 최대 18천 톤의 물이 방류되었고, 한강 본류에는 9년 만에 홍수 주의보가 발령되었다

 

충북 단양 남한강 도담삼봉 인근에서 50대로 추정되는 시신이 발견되었다. 갑작스럽게 불어난 물 때문에 휩쓸린 것으로 보고 있으며, 층북소방본부에 따르면 구조 당시 이미 숨져있었다고 한다.

 

부산 동구 초량동 초량제1지하차도 배수작업 중 침수된 차 안에서 50대 남성이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고 부산소방당국과 부산시에서 밝혔다. 이뿐만이 아니라 호우가 200mm 넘게 쏟아진 다음 날 높이 3.5m에 해당하는 지하차도에는 2.5m의 물이 차오르면서 차량 여러 대가 고립되었다. 호우로 인한 피해는 현재까지도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부산시 관계자가 밝혔다.

 

20117월 이후 9년 만에 홍수 주의보가 발령되면서 위 내용의 피해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이재민이 나오고 있다. 계속해서 이어지는 폭우로 인해 인적, 물적으로 피해 규모가 더 커지고 있다. 이재민은 6일을 기준으로 2천 여명이 넘어가고 있다. 복구 작업이 한창 이루어지고 있지만 계속해서 내리는 폭우에 맞설 방법은 아직 없다. 신속한 복구를 위해 피해가 큰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 위한 예비조사가 마무리 단계이지만 7일 이후에 이루어질 것이라는 정부 측 설명이 있다.

 

폭우로 인한 피해는 뉴스와 기사를 통하지 않아도 주변을 살피면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규모가 작은 피해부터 규모가 큰 피해까지 우리 주변엔 폭우로 인한 피해와 불편함이 늘어나고 있다. 밤낮으로 사람들이 다니던 산책로는 밤낮없이 내리던 폭우로 인해 잠겨버렸고, 울퉁불퉁한 아스팔트 도로와 인도는 물이 고이면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8 - 2.jpe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홍채린기자]


코로나19와 폭우가 겹치면서 많은 사람이 힘들어지고 있다. 좋은 결과가 생기길 바라며, 더 많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게 조금 덥고 힘들어도 마스크는 잘 쓰고 다니며, 사람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정부 측에서도 국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하루빨리 복구 작업을 진행하며, 피해가 큰 지역 주민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등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한강 공원뿐만 아니라 주변 곳곳이 물에 잠기는 큰 피해가 나온 만큼 주변을 잘 살피며, 한강 공원이나 물에 잠길만한 곳은 피하고 되도록 외출을 삼가도록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홍채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928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694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0123
욕망과 자유 사이 '리얼돌'에 관하여... 2021.01.27 노혁진 7548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7548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7552
수도권 고3 제외한 유, 초, 중, 고 원격 수업 file 2020.09.01 박정은 7559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7576
미성년자, 성범죄의 가해자가 되는 시대 2 file 2020.05.26 오주형 7587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593
끊이지 않는 아동 성범죄, 사회는 강력한 처벌을 원한다 2020.05.04 한채연 7600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7600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7605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7607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626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7627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7631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7633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7634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7645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7649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7662
미국과 FTA 체결 원하는 대만..미·중 신냉전 체제의 새로운 요소로 급부상 file 2020.08.20 조승우 7670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672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679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7682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692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7698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7701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7710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7715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730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7733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7736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7737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750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7752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7752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762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769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778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778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7781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782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788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788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7792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7796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7803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7808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78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