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by 16기나은지기자 posted Sep 03, 2020 Views 84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래통합당이 8월 31일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당명을 '국민의힘'으로 바꾸기로 최종결정했다고 밝혔다. 김수민 홍보본부장은 당명 개정 브리핑에서 미래통합당은 새로운 당명 최종 후보안으로 '국민의힘'을 선정하였고, 이를 오는 9월 2일 전국위원회에 상정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미래통합당은 8월 13일 목요일부터 22일 금요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당명 공모를 진행하였는데, 당명 제안 16,941건 중에서 '국민의힘'은 이번 공모에서 가장 많이 제안되었던 국민을 중심으로 탄생한 당명이다. '국민의 힘'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힘, 국민을 위해 행사하는 힘, 국민을 하나로 모으는 힘 총 세 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회의 직후 인터뷰에서 "국민이라는 단어 자체가 우리나라 헌법정신에도 거의 합당하지 않나...  그렇게 생각해요."라고 답하며 새로운 당명이 헌법정신에 부합한다는 취지를 밝혔다. 



캡처.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나은지기자]


이번 당명 개정은 미래통합당으로 바뀐 지 약 7개월 만이다. 거대 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유독 잦은 당명 개정으로 대중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하였다. 1990년 2월~1995년 12월 민주자유당, 1995년 12월~1997년 11월 신한국당, 1997년 11월~2012년 2월 한나라당, 2012년 2월~2017년 2월 새누리당, 2017년 2월~2020년 2월 자유한국당, 2020년 2월~8월 미래통합당, 그리고 2020년 현재 국민의힘으로 바뀐 것이다. 

 

보통 당명을 변경하는 것은 과거와 단절하고 새로운 출발을 하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시행된다. 하지만 여론의 반응은 갈리고 있다. 몇몇 네티즌들은 단기간에 여러 번 바뀌는 당명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내놨고, 몇몇 네티즌들은 이름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6기 나은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067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728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0573
재조명되는 여성인권, 청소년들이 말하는 성매매특별법 위헌 file 2016.05.26 류나경 19345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9329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324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323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9317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315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9294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291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9289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270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252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251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230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206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203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145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9138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9135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9115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9113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910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089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060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058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9053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024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019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9016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015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013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8991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988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8982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976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894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933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8907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901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889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850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849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849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838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829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8816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801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796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87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