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지금 당신이 보는 MBTI 결과는 틀렸다?

by 17기이유진기자 posted Aug 24, 2020 Views 1495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MBTI가 한국의 젊은 층을 뒤흔들고 있다유튜브를 섭렵한 것은 물론 웹툰 상에서도 이것을 주제로 하기까지 하였다. MBTI는 성격유형 검사로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간단하게 10분 내외로 확인할 수 있다검사를 전부 끝내면 영어 알파벳 4글자로 결과가 나오게 되고총 16개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여기에서 이 결과를 신뢰하는 유형과 신뢰하지 못하는 유형으로 사람들은 갈리게 되는데자신과 유형의 특징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신뢰하기도 하고수억 명의 인구를 16개로 토막 썰기 하듯이 분류하는 것은 억지라고 생각해 불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니 MBTI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통해 각자만의 판단 기준을 세워보자.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MBTI의 정의를 알아보자. MBTI는 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마이어스와 그녀의 딸 브릭스가 스위스의 정신분석학자인 카를 융의 심리유형론을 바탕으로 만든 자기보고식 성격유형지표이다카를 융의 심리유형론을 간단히 설명하자면각 개인이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고 결과를 내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때 어떤 태도를 지니는지를 기호에 맞게 구분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은 심리검사가 갖춰야 할 신뢰도와 타당성이 MBTI에 잘 나타나 있다고 말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한국MBTI연구소에서 찾아볼 수 있다.


8월 기사 사진.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유진기자]


 먼저 검사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한국MBTI연구소' 연구소장의 이야기에 따르면우리가 검사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무료 사이트 ‘16personalities'는 영국의 무자격회사가 MBTI 코드를 도용하여 만든 검사체계로 정확한 MBTI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 또한 이 사이트에서 각 유형에 붙인 별칭들이 성격을 오해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한다. 현재 한국에서 전문적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사이트는 MBTI form이나 어세스타  두 가지뿐이다.


 그다음으로는 MBTI의 활용이다보통 사람들은 검사를 통해 자신의 특징을 읽어보고 얼마나 잘 맞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한다하지만 원래의 목적인 그것이 아니라, 자신의 단점을 개선하고 상대와 나의 생각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서로를 이해하고 더욱 돈독한 관계를 쌓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본질적인 목표이다간혹가다 MBTI를 맹신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이는 매우 위험한 방법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결과를 맹신하게 되면 나도 모르게 좋고 나쁜 성격에 대한 선을 나누게 되고 그것은 결국 편파적인 생각을 갖게 유도한다. 결국 나도 모르게 누군가에게 무례한 발언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야매 MBTI 자가진단표'를 예시로 사용하자면, J는 계획적이고, P는 게으르다고 적혀있다. 이 말만 들으면 J가 P보다 더 좋은 성향이라고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P 성향은 세부적인 내용에 집중하기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중시하는 성향으로 좋다 싫다 할만한 간단한 것이 아니다.


  MBTI를 취미처럼 생각하는 것은 좋지만 누군가의 성격이나 성향이 틀에 고정되어 있을 수는 없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는 것이 MBTI의 기존 목적이 부합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5기 이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조예은기자 2020.09.20 20:42
    요즘 mbti가 유행을 타길래 관심을 가져보았는데 이게 정말로 진짜일까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이 기사를 보니 믿을 수 있는 사이트만 참고하여 검사를 해보아야 겠네요. 또 mbti를 맹신적으로 믿으면 안된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알면 좋겠습니다. 꼼꼼하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16기조예은기자 2020.09.20 20:42
    요즘 mbti가 유행을 타길래 관심을 가져보았는데 이게 정말로 진짜일까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이 기사를 보니 믿을 수 있는 사이트만 참고하여 검사를 해보아야 겠네요. 또 mbti를 맹신적으로 믿으면 안된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알면 좋겠습니다. 꼼꼼하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994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9746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18171
5월 5일 어린이날 영월에서는? file 2019.05.13 이지수 16304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외치다,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10 현경선 16305
펴야 할까? 켜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증한 전자책 이용률…종이책 대체 가능할까? file 2021.09.23 정지운 16305
웃음짓는 청년상인, 살아나는 전통시장 1 file 2016.08.25 류지석 16308
3·1절 맞아 대형태극기 게양... 대한독립만세 외치자! 12 file 2017.03.01 조묘희 16312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② ‘세컨더리 보이콧’을 아시나요? 2 file 2017.04.30 오경서 16314
'조선명탐정 : 흡혈괴마의 비밀'. 시리즈의 흥행을 이어가다? 2 file 2018.02.26 이예원 16316
청소년들의 꿈이 있는 곳, 여수 국제 청소년 축제! file 2016.08.22 민유경 16318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6321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6322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6322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6323
전 어디에 가야 하나요? file 2016.08.22 박나영 16326
커피 한잔으로 좋은일 하기, 공정무역카페 file 2018.12.21 정유현 16328
제 16회 부천 복사골 청소년 예술제 개최 file 2016.09.14 백재원 16330
한국영화의 미래, <아이 캔 스피크> 2 file 2017.11.13 김서영 16330
논란 많은 선거인단 제도, 왜 바뀌지 않을까? 1 2020.11.30 이유진 16330
‘장애인의 날’이 무색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개선 시급해... 2 file 2017.04.23 박현규 16331
문화예술 NGO ‘길스토리’ 대표 배우 ‘김남길’ file 2021.03.24 문소정 16333
차별을 향해 날리는 통쾌한 홈런 한 방, 대구퀴어문화축제! file 2017.08.27 고은서 16335
5월, 꼭 봐야할 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18.05.14 오가람 16336
존 카니, 음악과 영화 file 2016.07.22 서지민 16339
힐링이 필요해 2017.11.28 이지혜 16342
일반인들의 우주, 도래할 것인가 file 2022.01.13 현예린 16342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344
별 그대와 책의 바다로, 강릉 독서대전 2 file 2017.09.19 이형섭 16344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6346
플라스틱의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 3 file 2021.01.20 이지민 16348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352
인간이라면, 잊어서는 안 되는 일, 위안부 file 2016.08.25 전지우 16356
청소년들의 의견을 나누어보는 토론,'세발작'개최 3 file 2017.06.04 신지원 16356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6359
현세의 바벨탑, 부르즈 할리파 1 file 2017.11.20 허재영 16360
의령 곤충생태체험관을 소개합니다. file 2016.07.18 이서연 16367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6371
자라나는 미래 경제의 희망, 2018 고교 경제동아리 연구과제 발표대회 1 file 2018.12.14 윤여진 16371
서울시교육청 전자책 서비스 See, 한번 이용해 볼까요? 5 file 2016.02.24 지예슬 16375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6377
방문해보세요, 원전하나줄이기정보센터 file 2016.06.25 김영현 16387
세뱃돈, 낭비하지 말고 경제 흐름 파악하여 목돈 마련하자! 4 2019.02.11 한신원 16388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6388
야구장, 부족한 관중 의식으로 몸살 앓아 file 2017.04.16 김유경 16389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389
[MBN Y포럼] 대한민국 영웅들과 함께 꿈과 비전을 심다! 5 file 2017.02.11 고아연 16390
게임으로 배우는 유전자의 원리! file 2020.11.13 박선주 16390
北과의 화해의 길?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1 file 2018.02.21 김예준 16392
복세편살~ 신조어에 대해 알아보자! 2 file 2018.10.29 현주희 16392
우리 동네에 공용 냉장고가 있다고? 중국 내 무인화 기기 사용 4 file 2020.05.02 김수임 163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