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

by 15기정미강기자 posted Jun 26, 2020 Views 10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33.png

[이미지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정미강기자]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 끝없이 알 수 없는 미래라는 하나의 방향을 향해 달려가며 쉬지 않는다.

 

 인류의 역사 속 새로운 변화는 늘 있어왔다. 전체 우주의 흐름 약 138억 년 중, 지구가 차지하는 부분은 약 1/3 45억 년, 그중에서도 인간이 차지하는 것은 몇만 년도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몇만 년이라는 시간이라는 짧고도 긴 시간 동안 우리는 변화했고, 나아갔기에 지금의 생활이 있을 수 있던 것이다. 지금까지 인류 사회의 변화는 크게 2종류가 존재한다. 사회·문화적 변화와 과학·기술적 변화가 있다. 그중 우리는 과학·기술적 변화의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는 미래로 향하기 위해 준비할 수 있도록,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방향 몇 가지를 이야기해볼 것이다.

 

 현재 과학의 시선은 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킨 코로나바이러스에 집중되어있다. 하루가 지날수록 가파른 상승세와 좋지 않은 소식들만 들려오는 심각한 상황인데, 이에 그치지 않고 점점 인간의 이기적인 태도로 인한 자연과의 잡음이 들리기 시작했다. 기후변화는 물론 더 강력해지고 다양한 재해들이 들이닥치기 시작할 거란 얘기도 나온다.

 

 자연과 인간의 마찰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는 것이 앞으로의 과학의 임무이자 숙명이다. 인류가 살아남으려면 끝없는 연구와 예측으로 자연의 선제공격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단 이야기다. 그렇지 못한다면 인류는 급격히 쇠퇴할 수밖에 없다. 자원도 고갈되어가는 와중에 세계적인 해까지 들이닥친다면, 대처 능력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과학은 끝없는 학문이다. 끝이 없기에 무한하며 잦은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끝없는 학문의 끝을 찾아내는 것, 그것이 미래 인류의 목적이자 목표일 것이다.

 

 이 또한 새로운 변화의 시작점이기에 기술 역시 변화에 맞춰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지금 주변에 있는 물건들과 지금의 삶이 10년 뒤에도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단 하나의 사건만으로 큰 혼란과 충격이 덮쳐 오기 때문에 당장 근 1년만 해도 어떠한 변화가 생길지 아무도 모르기에, 기술은 자연스럽게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대표적인 것은온라인이다. 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바뀌고 있다. 학교, 기업, 정부 등 너나 할 것 없이 점점 연결되고 있다. 마치 하나의 유기체처럼 연결되고 또 합쳐지며 세상을 연결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그 시기가 매우 빨라졌을 뿐, 예정된 변화였다. 안전한이라는 공간 안에서 온라인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위험으로 보호받는 것은 미래사회에서 당연한 일이 될 것이기에, 지금은 그 과도기에 서 있는 것이다.

 

 온라인이 다는 아니다. 변화의 파도는 인류의 보호를 중심으로 거대한 해일이 되어 휩쓸 것이다.

 

 온라인이 세상과 인류의 연결을 담당하였다면, A.I가 인류의 사고를 담당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끝없이 안전함과 편리함을 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A.I는 사회 전반적으로 인간의 업무를 대신 처리하게 되어 우리는 여가에 더 집중하게 될 것이다. 행복감과 만족감 등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들이 최고의 가치로 자리 잡을 것이다. 그에 따라 인간의 여가와 관련된 기술들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게 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A.I 덕분에 남은 시간을 여가생활로 보내기 위해 여가와 관련된 예술과 관련된 분야는 끝없이 발전할 것이다. 인간의 콘텐츠 소비가 급속하게 늘게 되면, 그걸 처리하는 IT 기술들의 발전은 당연한 수순이다. 예를 들면 OTT 산업이 발달하면 디스플레이, 즉 시각적 기술과 같이 감각 기술에 대한 발전 또한 연결된다는 것이다. 단독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

 

 인류의 사고와 연결이 모두 대체되었다. 인류의 육체 역시 대체된다. 로봇으로 말이다. 인류는 더 이상 위험한 도박을 하지 않는다. 안전하지 못한 것은 로봇이 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그에 따라 무인 기술인 드론, 로봇과 같이 인간의행동을 대체하는 기술의 발전은 당연하다.

 

 이제 모든 것이 대체되었다. 더는 인간이 할 일은 많지 않다. 인류의 쇠퇴와 편리함은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 인류가 더 편리해지면 편리해질수록, 인류가 직접 하는 일보다 A.I, 로봇 등과 같은 기술이 하는 일이 점점 더 늘어나게 되기에, 인류는 자연스럽게 소외될 수밖에 없다. 적절한 균형이 중요하다. 과할수록 독이 되는 것이다.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 끝없이 알 수 없는 미래라는 하나의 방향을 향해 달려가며 쉬지 않는다.

 

 인간만이 멈추고 결과만 본다. 부정적 결과가 되지 않도록 미래의 방향에서 시야를 넓혀 그 주변까지 살피며 원인을 보아야 비로소 세상을 멈추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정미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79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28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729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271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9270
선생이라 불렸던 者들 4 file 2017.01.20 김민우 21223
선진국으로부터 독립하겠다! 대한민국을 우주 강국으로 4 file 2018.12.10 백광렬 10897
선진국의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해결 방안 2017.10.02 임승현 27814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8934
설 곳을 잃어가는 고졸채용 1 2019.03.04 장지선 11177
설 세뱃돈, 어디에 쓰나 10 file 2016.02.15 이민정 18273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434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0742
설날에도 웃지 못하는 그들, 지진 피해 직격탄을 맞은 경북 포항시 흥해읍 file 2018.02.19 한유성 11049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080
설탕세 도입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6.04.23 김은형 15404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8413
성 평등 교육, 페미니스트의 참뜻을 실현하기 위하여 2 file 2017.11.28 김현재 12994
성공적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를 기원하며 file 2018.10.15 양나겸 9040
성남시청소년 연합회, 다케시마의 날 철회를 위한 규탄 결의 대회 참석 file 2017.02.26 이가현 14245
성동구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 플래시몹 1 file 2017.08.16 황수현 11371
성범죄자들의 신상공개제도(처벌과, 또 다른 피해자) 1 file 2018.02.22 정준교 15479
성숙한 시민의식 1 file 2020.03.17 전혜은 7412
성폭력, 매분 매초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국제 이슈 file 2019.03.07 배연비 15308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11948
세계 곳곳에서 열린 세월호 3주기 추모행사. 'Remember Sewol' 1 file 2017.04.16 김채원 11736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9969
세계 성평등 지수 국가 7위인 뉴질랜드와 115위인 한국이 바라보는 페미니즘은 다를까? 1 2020.05.19 박혜린 12876
세계는 미투를 외친다 file 2019.09.30 김사랑 9918
세계여성 공동행진, "여성도 사람이다!" 4 file 2017.01.25 김혜빈 16078
세계의 논쟁 거리, (한국의) 개고기 식용 찬반 논쟁 1 file 2017.09.25 김희주 29872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296
세금은 왜 내야 하는 걸까? file 2019.07.11 송수진 14812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 2 file 2016.03.13 백승연 16139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Alpa Go) 9 file 2016.03.13 서지민 18333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홀씨 서포터즈, 그 발대식 현장으로! 2 file 2015.02.23 김다윤 32105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10620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 file 2020.06.26 정미강 10023
세스코 근무 환경, 1년이 지난 지금은? file 2018.01.22 홍수빈 20900
세월호 4주기, '잊지 않겠습니다.' 2018.04.23 노영석 14555
세월호 4주기, 청소년과 교사 함께한 도보 행진 file 2018.04.17 이형섭 9492
세월호 사건 2주기 D-23,여러분의 기억속에서는 안녕하십니까 1 file 2016.03.25 임지호 19192
세월호 인양, 시민들의 생각은? 2 file 2017.04.10 김동현 10138
세월호 인양, 장미대선의 새로운 변수가 될 것인가 file 2017.03.25 최푸른 13230
세월호 인양, 현재 상황과 의혹들 1 file 2017.03.24 민병찬 11551
세월호 인양작업... 또 다시 지연 2017.03.21 황서영 9703
세월호 참사 10년...노란 물결에 동참한 해남고 학생들 file 2024.04.28 유지아 3015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2 file 2016.04.22 이강민 16627
세월호 참사 3주년 기억식 2 file 2017.04.16 최다영 11492
세월호 희생자들 이제 보내드리자 2 file 2017.05.11 김지민 10609
세종시 공공임대아파트 분양전환 갈등 2019.06.27 황수빈 16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