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by 18기박지훈기자 posted Jun 02, 2020 Views 86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고등학생들이 사용하는 사회 교과서 및 문제집에 성(性)과 관련해 부정확한 지수가 사용되어 교체가 시급하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배우는 통합사회 과목의 4-3단원 '국제 사회의 인권 문제' 단원은 빈곤 문제, 성차별 문제, 국민의 기본권 침해 문제를 이해하고, 이와 같은 인권 문제 해결에 관하여 탐구하는 단원이다. 문제는 일부 인권 관련 지표가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현실을 잘 반영하지 못했다고 비판받고, 그 신뢰성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가장 문제시되는 것이 세계 경제 포럼(WEF)에서 발표한 '성 격차 지수(GGI)'이다. 2006년부터 세계 경제 포럼은 '경제 활동 참여와 기회'와 '교육', '건강', '정치 권한'  4개 분야를 바탕으로 이 지수를 만들고 있다. 2015년 기준 145개국을 평가한 이 지수에서 북유럽 국가인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핀란드가 각각 1, 2, 3위를 차지하였으며, 이슬람 국가인 시리아, 파키스탄, 예멘이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한국은 115위로, 상당히 낮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분야별로는 '경제 활동 참여와 기회' 순위가 125위, '교육'과 '정치 권한' 순위가 각각 102위, 101위였으며, '건강' 순위는 79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종합순위는 지수가 처음 발표된 해인 2006년에 96위, 2015년 115위, 2020년 115위로 순위가 계속해서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문제는 성 격차 지수에서 사용하는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산출 방식이 부정확하다는 것이다. 20141029JTBC 뉴스룸 팩트체크에서는 성 격차 지수를 비판하며 이 지수의 허점을 드러내는 단편적인 예시 2가지를 들었다. 첫 번째는 문해율(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순위이다. 2014년 지수에서 대한민국의 문해율은 남녀 모두 99%였으나, 레소토의 문해율은 남성 66%, 여성 85%였다. 성 격차가 적은 대한민국이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이 타당하나, 세계 경제 포럼 측은 레소토에 더 큰 점수를 주었다. 두 번째 예시는 한국 남녀의 대학 진학률이다. 세계 경제 포럼 측이 군에 있는 남성들을 대학 진학자에 포함하면서 한국의 남성 대학진학률은 111%라는 황당한 수치가 나왔다


 여성 정책을 관장하는 여성가족부마저도 성 격차 지수가 각국의 정치, 사회, 경제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남녀 격차를 중심으로 상대 평가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성 격차가 개선되었음에도 해당 지수에서의 순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힌 바가 있다. 구체적으로 2016년의 보고서 발표에 대해 여성가족부는, 세계 경제 포럼 측에서 과거 자료의 사용과 잘못된 통계 인용, 주관적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성 격차 지수가 우리나라의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해명했으며, 자료의 출처를 알지 못해 답답하다고 답한 적이 있다.


 한편 유엔개발계획(UNDP)이 발표한 '성불평등지수(GII)'는 성 격차 지수와 완전한 대조를 보인다. 총 189개국을 조사한 결과, 대한민국은 2018년과 2019년 모두 북유럽 국가들과 독일 등에 이어 최상위권인 세계 10위, 아시아 국가 1위에 자리하였다. 이 지수는 유엔에서 발표한 만큼, 세계 경제 포럼이 발표한 성 격차 지수보다 더 권위가 높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다수의 교과서 및 문제집에서 성 격차 지수를 사용하고 있다. 미래엔 출판사의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와 같은 출판사의 '1등급 만들기 통합사회 1050제 (2020년)', 'New 올리드 (Allead) 고등 통합사회 (2020년), 메가스터디BOOKS 출판사의 '메가스터디 N제 고1 통합사회 1207제 (2020년)'에서 해당 지수를 사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판매량이 많은 문제집에서 이 지수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교육 도서에서 이 지수를 사용했을 것으로 예측된다. 성불평등지수가 사용된 사례도 있었으나 성 격차 지수의 사용 사례보다 그 수가 훨씬 적었다. 


교과서1.jpg

미래엔 출판사의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박지훈기자]


여러 언론과 정부 기관은 성 격차 지수를 부정확하다고 비판하였다. 신뢰성이 떨어지는 지수를 교육에 사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한국과 세계에 대한 편견을 심어줄 수 있는 만큼, 해당 지수의 신속한 교체가 시급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4기 박지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960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608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9336
공영방송, 이대로 괜찮은가? 6 2017.08.22 손다빈 11180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필요할까? 4 file 2017.02.20 이희원 16142
공익과 사익의 충돌_이해관계충돌방지법 file 2020.05.04 임효주 20571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5073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1618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7897
공포에 떠는 우리 곁의 야옹이들 file 2018.07.10 이승현 9609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622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216
과연 우리가 사는 곳은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19.07.15 신여진 12117
과연 초콜릿은 달콤하기만 할까? 4 file 2017.10.30 임수연 11087
과연 한반도의 봄은 다가올 것인가? file 2018.03.27 이지훈 11172
과열되는 거주민들의 분노, 이러다 주민 없는 유령도시 된다… 관광산업의 그늘 file 2017.08.25 신유진 15315
과자 포장속 빈공간 비율이 약 83%? 과대포장 문제가 심각하다! 7 file 2016.05.29 신수빈 22437
과자양이 갑자기 줄었다...슈링크, 스킴플레이션 현상 file 2023.12.30 박채원 3565
과학, 왜 어렵게 느껴질까? file 2019.05.31 박현준 10690
관광객 인기 일본의 APA 호텔, 위안부 부정 극우 서적 비치 논란 3 file 2017.01.20 정유리 18053
관심 대상의 창원시 성산구 보궐선거 file 2019.04.01 김현우 10062
광명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7명, "소년법 개정 필요하다" 2 file 2019.01.14 류주희 13365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492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879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14800
광복절, 현충원에 가다 file 2017.08.25 이기혁 10220
광복절은 영화만 보는 날? 4 file 2017.08.22 성유진 10785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file 2022.01.24 김명현 13666
광주광역시 비둘기 폐사체 7구 발견 3 file 2017.02.05 김소희 19574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7386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2017.09.04 조영지 10623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472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0890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3942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8983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8698
교권이요? “선생님 수업하실 때 선생님 성함 제일 크게 외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도 하고요…” 5 file 2017.07.23 신아진 17086
교복이 마음에 드나요? 10 file 2016.04.03 유승균 20001
교사들의 유튜브 영상 1223개...불법은 아닐까? 2 file 2020.04.28 배선우 9601
교원능력평가 익명성 믿을 만한가? 4 file 2017.10.16 이혜승 21456
교육강국 한국의 후진국적 교육방식, 지금은 개혁이 필요할때! 1 file 2016.05.31 김지현 15375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9485
교육청의 과실? 언론사의 오보? 그 진실이 궁금하다. 2 file 2017.02.09 서경서 22890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418
교칙, 은근한 차별과 편견... 1 file 2018.10.18 유하늘 11015
교칙, 학생 자유 침해 92.6%···인권위, 학생 인권 증진 권고 1 file 2018.03.02 이형섭 15972
구)공주의료원 어떻게 활용될까? 1 file 2018.10.04 김예경 12855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2066
구둣방천사 2 file 2016.05.28 김준석 15674
구로 콜센터 확진자 100명 넘어...서울 최대 집단 감염 사례 file 2020.03.25 배선우 9788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file 2017.09.25 김유진 99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