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연예 기사 댓글 폐지, 지속되어야 할까?

by 14기서하연기자 posted May 18, 2020 Views 895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카카오와 다음의 댓글 폐지 이후 국내 최다 사용자를 보유한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가 3월에 연예 관련 기사의 댓글을 폐지했다연예인을 향한 인신공격들과 이유 없는 욕설, 근거 없이 쏟아져 나오는 루머 등 연예 기사에 달리는 수많은 악플들을 없앰으로써 연예인들이 상처받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내린 조치인 것이다.

 

 연예인들의 목숨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악플의 실상을 인식한 많은 사람들이 댓글 폐지를 이전부터 요구해온 만큼, 연예 기사의 악플 폐지가 너무 늦은 시점에 이루어졌다는 여론도 있다. 이제야 이루어진 조치이긴 하지만 연예 기사 댓글 폐지는 많은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었다. 그뿐 아니라 악플로 인해 직접적으로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는 연예인은 특히 연예 기사 댓글 폐지 조치를 적극 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43, KBS FM ‘박명수의 라디오쇼에서 개그맨 박명수는 댓글 폐지를 좀 더 빨리했으면 하는 안타까움을 드러내면서 이제는 마음 편하게 기사를 보게 되었다고 전했다.

 

 또한, 가수 핫펠트도 423일 정규 앨범 ‘1719’ 발매 전 인터뷰에서 자신에 대한 어떤 기사가 났을 때, 기사를 보기가 두려웠지만 연예 기사 댓글 폐지 이후 기사를 기사 자체로만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며 연예 댓글 폐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

 

연애기사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4기 서하연기자]

 

 댓글 서비스가 폐지된 지 두 달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연예 기사의 댓글 폐지가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막고, 사람들의 반응을 기사를 통해 알기 어렵다는 점에서 불편함을 야기시키고 불만의 목소리를 불러일으킨다는 문제점이 분명 있지만, 연예 댓글 폐지로 인해 연예인의 인권이 존중되고, 연예인뿐 아니라 댓글을 읽던 사람들에게까지 입히던 상처를 줄여주며, 기사를 기사 그 자체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 등 연예 기사 댓글 폐지로 인한 효과를 고려할 때, 연예 기사 댓글 폐지는 앞으로도 쭉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4기 서하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5기윤현서기자 2020.05.19 12:55
    '표현의 자유' 라는 명목 하에 남에게 화살을 쏘는 것과 같은 댓글들을 쓴다면, 그게 과연 옳은 표현인지, 또 정말 옳은 자유인지 되돌아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유에는 책임이 따르니까요. 이 기사 보면서 댓글도 하나의 말과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559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25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5867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589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592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593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599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600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605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605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606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607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607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610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613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625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626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630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637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641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647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648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648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648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649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0658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 무기 판매 file 2017.10.10 이종은 10668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670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671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671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673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673
4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작년 촛불시위와 비교해봤을 때⋯ file 2018.08.13 김진진 10680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0683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0684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686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0686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687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692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693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694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695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2017.09.04 조영지 10696
해외 거주 가족에게 마스크 묶음 배송이 가능해지다? 3 file 2020.04.09 이윤우 10696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705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0705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706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710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711
홍콩의 외침, 송환법을 반대한다! file 2019.08.30 박고은 10714
여름철을 맞아 횡단보도 그늘 쉼터를 마련한 정자동 주민센터 1 file 2017.07.18 박소윤 107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