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20년 상반기 게임 소식

by 14기정근혁기자 posted May 15, 2020 Views 141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년 하반기 특히 4분기는 게임의 암흑기였다. 세상의 수많은 게이머들이 게임 신작 부족 상황에 울부짖었다. 2019년도 게이머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 게임은 11월 '데스 스트랜딩'이 마지막이었다. 그리고 2020년 현재 상반기 중 제1분기. 특히 이번 달이었던 3월에는 수많은 게이머들의 심금을 울리는 게임들이 등장했다. 


1. 오리와 도깨비불 (Ori and Will of the Wisps) 

KakaoTalk_20200515_12372698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정근혁기자] 


3월 11일에 출시한 '오리와 도깨비불'은 전작이었던 2015년에 발매한 '오리와 눈먼 숲'의 후속작이다. 오스트리아의 게임회사인 '문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게임이다. 문 스튜디오는 전작이었던 '오리와 눈먼 숲'으로 2016년 '게임 디벨로퍼스 초이스 어워드'에서 신인 기업상을 받았을 정도로 당시에 파장이 엄청났다. 아름다운 그래픽과 빛 표현의 배경 표현과 나레이션식 스토리 진행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그래픽과는 별개로 매우 높은 살인적인 난이도로 유명하기도 했다. 2017년 E3에서 후속작 발표가 있고 난 뒤 매년 E3에서 게임을 더욱 기대하게 만드는 트레일러를 공개하며 게이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오리와 도깨비불은 분명히 게이머들의 마음 한편에는 자리를 잡고 있었을 게임이었다. 

그리고 2월 11일, 게이머들의 기대에 부합하는 게임이 출시했다. 출시 전 평론가 점수 10점 만점에 9.8점 출시 이후 메타크리틱 점수 90점을 달성했고 오픈크리틱에서는 무려 평론가 추천도 99%를 달성했다. 전작과 트레일러에 의해 한층 올라간 유저들의 기대에 잘 보답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점수이다. 업그레이드되어 잘 짜인 게임의 플레이 구성, 전작부터 이어져 온 분위기와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귀가 즐거운 OST와 그래픽이 이 게임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2. 모여봐요 동물의 숲 (Animal crossing: New Horizons)

KakaoTalk_20200515_12385269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정근혁기자] 


2020년 현재까지 가장 큰 파장을 가져온 게임이 아닐까 싶다. 사실 닌텐도 스위치 자체가 가장 암울하고 게임이 적었던 시기인 2018년 중반기에 발표되었기에 당시의 파장은 더욱 컸다. 2018년 9월의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동물의 숲은 3DS 버전인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 이후 7년 만의 신작이 나오는 발표였다. 하지만 이후 2019년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출시일은 2020년으로 미룬다는 발표를 했는데, 그 이유는 바로 크런치 모드의 우려였다. 개발은 2012년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 이후 바로 시작했지만 개발상의 문제와 닌텐도 스위치라는 새로운 기기의 탄생으로 개발에 차질이 있었고 그로 인해 개발자 과부하. 즉 크런치 모드가 우려되기에 2019년 출시 예정이었던 동물의 숲이 2020년 3월 20일로 연기되었었다.  

2월 20일 있었던 닌텐도 다이렉트 '모여봐요 동물의 숲' 섹션에서 발표되었고 3월 12일부터 '닌텐도 스위치 모여봐요 동물의 숲 에디션'이 1초 만에 인터넷 예약 판매가 끝나는 등 여파가 대단했다. 우리나라에서만 다운로드+패키지 구매량이 80만 장이 넘었다. 

3월 25일 기준 메타크리틱 점수 91점, 오픈크리틱 평론가 점수 92점에 추천도 100%라는 말도 안 되는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 중이다. 전작에 비해 많아진 콘텐츠, 상향된 그래픽, 스위치 특성상 편리화된 인터넷 등등 여러 가지 요소가 동물의 숲 시리즈의 향수에 목마른 유저들에게 발화점을 붙여 버린 것이다. 


3. 둠 이터널(Doom Eternal)

KakaoTalk_20200515_12372720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정근혁기자] 


둠 시리즈는 게임계에서 정말 오래된 롱러너이다. 1993년 첫 프랜차이즈인 둠을 필두로 현재까지 DLC 포함 10작품 이상 될 정도로 사랑받는 게임이다. 동물의 숲과 같은 날짜인 3월 20일에 등장한 둠 이터널은 2016년 이후 개발을 시작해서 2018년, 2019년 E3에서 개발에 관련한 떡밥을 뿌렸다. 원래 2019년 11월 22일 출시로 2019년 세기말 복병으로 불렸으나 게임 안정화, 보완작업으로 인해 3월 20일로 미뤄졌고 동물의 숲과 같은 날짜에 출시하게 되었다. 

메타크리틱 점수 90점 오픈크리틱은 89점 그리고 평론가 추천도 97%로 둠의 팬들의 둠만의 액션과 시원시원한 핵앤슬래시 FPS의 갈증을 해결해준 것으로 보인다. 


4. 하프라이프: 알릭스(Half-life Alyx)

KakaoTalk_20200515_12372672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정근혁기자] 


하프라이프, 현대의 게임 발전을 논할 때 항상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게임 중 하나이다. STEAM의 개발사인 Valve 사의 게임으로 1998년 처음으로 등장했다. 하프라이프는 그 인기에 힘입어 하프라이프 2, 하프라이프 2의 확장판인 에피소드 1과 에피소드 2를 보면 마지막 출시가 2007년 즉 13년이 지난 이후 처음으로 밸브가 직접 제작한 하프라이프 시리즈이다. 사실 하프라이프도 그렇고 밸브 사의 다른 게임인 포탈도 그렇고 3편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일종의 인터넷 밈이 존재한다. 그렇기에 유저들이 기대를 해도 현실적으로 포기했던 하프라이프 공식 후속작이 밸브에서 등장하니 모든 게이머들은 즐거움을 표출했다. 하지만 하프라이프: 알릭스의 출시는 하프라이프 3을 원하는 유저들을 위한 게임개발 의도는 아니었다. 밸브는 게임 VR 시장에 뛰어들어 Valve index라는 기기를 출시했는데 가장 큰 VR 플랫폼인 스팀 VR을 가지고 있는 밸브라도 자사의 아이덴티티가 되는 VR 게임이 필요했다. 그러다 하프라이프와 포탈이 후보에 올랐고 하프라이프가 그 후보에 간택되어 개발 진행이 이어진 것이다. 

처음 게이머들의 반응은 반반이었다. 하프라이프 3는 아니지만 어쨌든 하프라이프 후속작 발표라는 기대에 차올랐던 유저들과 결국 시장을 확장하기 위한 작은 실험 게임이라는 입장으로써 바라보는 회의론도 존재했다. 하지만 하프라이프: 알릭스의 인게임 화면, 플레이 화면의 공개로 모든 게이머들을 대기자로 바꾸어 놓았다. 역대 VR 게임 중 가장 높은 자유도, 몰입도, 게임성, 그래픽으로 호평을 받았고 밸브가 누누이 주장한 '하프라이프 후속작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그 명성 때문이다. 우리는 창의적, 기술적, 게임성 모두 갖춰야 한다.'를 충족했다고 보였다. 

발매일인 3월 23일 메타크리틱 점수 92점, 오픈크리틱 92점 평론가 추천도 95%, 스팀 내 평가 압도적으로 긍정적 98%로 매우 좋은 점수를 달리고 있다. 


이렇게 올해 3월의 빅 게임들을 알아보았다. 많은 게이머 커뮤니티들은 3월에만 GOTY 후보가 무려 4개가 등장했고 메타크리틱 90점 오버 게임이 4개라고 환호하고 있다. 2019년에 비해 올해는 게임의 황금기이다. 이러한 작품들 말고도 너티 독의 '라스트 오브 어스 2' 소니의 '파이널판타지 리메이크', '바이오하자드 3 리메이크', '사이버펑크 2077'등 화제작들이 모여있는 해이다. 올해 GOTY(Game Of The Year)는 어떻게 될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4기 정근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5기김다윤기자 2020.05.17 16:09
    평소에 게임에 관심은 없었지만 기사로 자세히 설명하니 흥미로운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547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309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3768
시험 끝난 연휴, 프랑스 20세기 호화로운 일상 사진들로 마음 속 여유를 ! 1 file 2017.05.09 김나현 13767
투표는 만 19세 이상만 가능하다? 청소년들, 소중한 한 표를 던져보자! 2 file 2017.05.09 홍정민 23666
5월 영화 전주에서 즐기자! 전주 국제 영화제 3 file 2017.05.09 김수인 13765
청소년도 함께하는 제 19대 대통령 선거 1 file 2017.05.08 이윤영 15780
'하나의 모자가 한 생명을 살립니다' 세이브더칠드런 모자 뜨기 캠페인 file 2017.05.08 최윤경 13871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0513
순천만과 국가 정원, 순천 국제도시 만들기의 선두 주자! 2017.05.08 이소명 14373
“꽃보다 아름다운 할머니, 사랑합니다.” 나눔의 집에서 효 잔치 열려 2017.05.07 정예빈 16261
'2017고양국제꽃박람회'와 함께 연휴를 꽃피워봐요! 3 2017.05.07 인예진 15646
우리 집에 또 다른 누군가 살고 있다? - [ip카메라 해킹] 6 file 2017.05.07 신예진 16574
프로야구의 응원 변화! 1 file 2017.05.07 김지헌 16972
'안아키'라고 아시나요? 1 file 2017.05.07 정주연 14889
안산 거리극 축제를 즐겨~~ file 2017.05.07 어지원 16918
도깨비책방? 1 file 2017.05.06 박승미 14148
김해시 대학병원 유치 실현에 시동걸어 2 file 2017.05.05 김규리 16316
당신이 모르고 있었던 우리나라 어버이날의 유래 2 file 2017.05.05 이세영 24485
'로스트 인 파리' 도미니크 아벨-피오나 고든, 첫 내한 file 2017.05.04 이지원 16996
잊지 말아야 할 그날, 3월 26일 3 file 2017.05.04 민정연 13744
인간과 물 그리고 녹조 file 2017.05.04 최지민 14458
‘다시 4월, 기억하고 있어요’ 6 2017.05.03 최희정 13269
수지 사랑의 교복 나눔 행사 2 file 2017.05.03 이예찬 16650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적신호 4 file 2017.05.03 김나림 15384
청소년이 만들어가는 올바른 환경문화 - 숯내지킴이 1 file 2017.05.03 김지아 16939
두바이 분수쇼에서 K-POP의 미래를 생각하다 2 file 2017.05.02 정채영 15062
봄의 끝물에서 본 문수사 겹벚꽃 3 file 2017.04.30 서지은 15337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② ‘세컨더리 보이콧’을 아시나요? 2 file 2017.04.30 오경서 16184
'봄봄!! 책을 봄! 도서관을 봄!' 광주광역시립도서관, 도서관 문화마당 개최 1 file 2017.04.30 최영인 13983
영화 그들이 짜놓은 세상 조작된 도시로 알아보는 가짜 뉴스 1 2017.04.30 장하늘 13376
3월 21일, 국제 인종 차별 철폐의 날 file 2017.04.30 이슬기 16655
누구나 쉽게 참여하는 식량문제와 환경문제 캠페인 1 file 2017.04.29 4기기자전하은 15325
자원의 보물 창고!해양 자원 file 2017.04.29 오정윤 14720
아파트 주민들의 소통부터 기부활동까지! 3 file 2017.04.29 정지윤 14779
우리 함께 '우리 함께'를 보여주자. file 2017.04.29 김유진 12908
스트레스에 관한 간단한 고찰 file 2017.04.29 이영혁 18923
설레는 수학여행! 지나친 부담여행..? 1 2017.04.29 김영은 14379
우리의 미래, 아이들 부족함부터 배우다. file 2017.04.29 유성훈 13244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4895
강해져서 돌아왔다! 부활한 기아타이거즈 file 2017.04.28 서재성 13905
단맛과의 이별 위한 대책 '당류 저감 정책' file 2017.04.28 황서영 13259
푸르른 5월, 되돌아본는 시간을 갖으며... file 2017.04.28 박현지 12294
제32회 새얼백일장 1 file 2017.04.26 이다은 13302
IKEA는 역행하고 있다. 2 file 2017.04.25 홍은서 14549
사회 곳곳에 자리잡을 인공지능, 당신의 미래는 안녕하십니까? 1 file 2017.04.25 장영욱 16347
대형마트가 고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file 2017.04.25 현소연 16351
요우커 사라진 제주도..하지만 전체 관광객은 늘어 2 file 2017.04.25 박지호 13170
'내 가수를 위해서라면...' 더 다양해지는 팬 문화! 4 file 2017.04.25 김예진 19496
비상벨 울려도 모두 수업만......안전불감증 심각 2 file 2017.04.25 정무의 16812
행복 누리 축제로 초대합니다. file 2017.04.25 임성은 157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