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by 18기이유정기자 posted May 06, 2020 Views 78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White-Background-Wallpaper-iPhone-72+-images-.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이유정기자]


지금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는 코로나19라는 신종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모든 생활이 멈추게 되었다. 매일 차로 꽉 막혔던 도로가 뚫렸고, 항상 사람들이 가득 차 있던 시설이나 거리에서는 더 이상 많은 사람을 볼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은 학교도 가지 못하고 있고, 어른들도 직장을 잃거나 재택근무를 하게 되었다. 이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했고, 사람들은 모두 신종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다. 육체적, 정신적으로뿐만 아니라 사람의 목숨까지 앗아가는 심각한 상황을 조금이라도 더 빠르게 막고자 여러 나라, 기업에서 백신을 연구 중이지만, 아무리 빠르게 진행이 된다고 해도 앞으로 최소 1년에서 2년이 걸린다고 한다. 여기까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이다. 그렇다면, 코로나19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뭘까? 


요즘 자연은 코로나19 덕분에 숨을 쉬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바이러스가 발생하면서 많은 공장 문들이 닫고 격리 조치로 인해 자동차 운행도 줄어들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급격하게 줄고 대기오염이 개선되고 있다.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에 따르면, 2월부터 3월까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최소 25%나 줄어들었고,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미국의 대도시권에서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50% 이상 감소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도 많이 감소하였는데, 4월 초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초미세먼지 농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7%나 감소하였다고 한다. 코로나19 때문에 사람들이 외부활동을 최소화하고 집에서 머물자, 환경이 반사이익을 얻은 것이다. 


이는 대기오염뿐만이 아니라, 생태계와 동물들에게도 포함이 된다. 그동안 인간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보금자리를 빼앗긴 동물들이 다시 돌아오기 시작한 것이다. 현재 가장 유명한 예 중 하나는 인도 동북 오디샤주 간잠 지역 루시쿨야 해변으로 돌아온 올리브 바다거북 80만 마리이다. 원래 올리브 바다거북은 매해 알을 낳기 위해 루시쿨야 해변으로 찾아가곤 했지만, 그동안 수많은 관광객으로 인해 해변에 쓰레기가 너무 많아지고 오염이 심해지자, 2002년, 2007년, 2017년에는 오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해변 출입이 통제되자, 바다거북들이 다시 알을 낳으러 돌아온 것이다. 현재 세계 각국의 환경단체는 이가 환경이 되살아나는 징조라고 말하며 굉장히 긍정적인 평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코로나19는 인간에게는 장애물 역할을 하고 있지만, 환경에는 백신 역할을 하며 푸른 하늘과 깨끗한 자연환경을 돌려놔 주고 있다. 어쩌면 코로나19는 인간에게 바쁜 일상과 환경 오염을 멈추고 조금은 천천히 가라는 계시가 아닐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4기 이유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694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554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8848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0813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0804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0788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0786
소녀상 농성, 그 400일의 분노 file 2017.02.06 윤은서 20755
약국에 가지 않아도 일부 약을 살 수 있다, <안전상비의약품약국 외 판매제도>에 대해서 1 file 2017.02.19 차은혜 20723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0712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0646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20636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635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이번엔 국내 유명 청소년 행사인 ‘한국청소년학술대회’ 표절·베끼기 의혹 (종합 2보)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20577
對(대하다)北제재 아닌 對(대화하다)北을 향한 길 7 file 2016.02.24 김선아 20553
엑소 콘서트 티켓팅, 과한 열기로 사기 속출 19 file 2016.02.25 김민정 20548
종교가 우선인가, 안전이 우선인가? 더 커진 '부르카' 착용 논란 file 2017.11.01 이윤희 20539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0539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528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0467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0448
쓰레기 무단투기...양심도 함께 버려진다 2 file 2020.04.29 정하늘 20418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0391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371
없어져야 할 문화, 할례 2 file 2019.04.27 이승환 20310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286
요즘 뜨고 있는 비트코인...도대체 뭘까? file 2017.12.18 임채민 20254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250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233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227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215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213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213
공익과 사익의 충돌_이해관계충돌방지법 file 2020.05.04 임효주 20208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187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179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071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067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056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045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19968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19960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19959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19952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19939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19871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853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19848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19844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844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8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