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로나19 예방하는 마스크! 알고 쓰자

by 15기윤혜림기자 posted May 04, 2020 Views 1045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하여 사상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모든 학교가 온라인 개학을 하게 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예방을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다. 코로나19에 의해 많은 사람의 마스크 수요가 증가하여 일명 마스크 대란까지 일으켜 마스크 5부제까지 도입하게 되었다. 마스크의 종류에는 면 마스크, 일회용 마스크 등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마스크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일까?


마스크.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윤혜림기자]


 일반 마스크와 황사 마스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섬유 조직이다. 일반 마스크의 섬유 조직은 일반 섬유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섬유 사이의 틈이 넓어 작은 입자까지는 차단할 수 없고, 황사 마스크의 섬유 조직은 부직포 재질로 섬유가 무작위로 얽혀 있어 틈이 작아 작은 입자까지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섬유 조직을 촘촘히 만들 수 있는 핵심 공법은 멜트블로운이다. 멜트블로운이란 녹이다는 뜻의 Melt와 날려 보낸다는 뜻의 Blown을 합쳐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멜트블로운은 부직포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을 녹인 후 나노 크기의 미세한 구멍으로 실을 뽑아내 섬유가 촘촘하게 엉겨 붙게 하는 공법을 말한다.

 

 마스크가 입자를 차단하는 원리에는 섬유 조직도 있지만 2이하의 아주 작은 입자를 거르기 위해서는 촘촘한 섬유 조직의 필터로는 한계가 있고, 섬유 사이 틈이 적을수록 마스크 사용자가 숨을 쉬는 데 불편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바로 정전기이다. 정전기란 전하가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상태의 전기를 말한다. 황사 마스크가 아주 작은 입자까지 차단할 수 있는 이유는 마스크의 필터 사이에 정전기 필터를 넣어 아주 작은 입자까지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그렇다면 우리는 코로나 19를 예방하기 위해 마스크를 어떻게 써야 할까


 우선, 마스크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알고 써야 할 것이다. 황사 마스크에도 기능에 따라 나뉘게 된다. 우리가 자주 말하는 KF80, KF94 KFKorean Filter의 약자로 정부가 공인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이 있는 마스크를 의미한다. KF80은 평균 입자크기 0.680% 이상, KF94는 평균 입자크기 0.494% 이상, KF99는 평균 입자크기 0.499% 이상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마스크를 말한다.

 

 다음으로, 마스크를 잘 관리해야 한다. 마스크 재사용은 CDCWHO 모두 불가하다고 권고하고 있지만, 마스크 부족 현상으로 인해 마스크 재사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불가피한 상황에서 마스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세탁해서는 안 된다. 마스크를 세탁하게 되면, 섬유 조직의 형태가 망가지고, 필터 내의 정전기가 사라져 입자의 차단 성능이 급격히 하락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를 재사용하려면 세탁하지 말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햇볕을 쬐어 1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 시키는 것이 좋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감소하는 추세에 공적 마스크 구매 수도 2개에서 3개로 늘어나게 되었고, 오프라인 개학도 기대하는 추세이지만 바이러스는 언제 퍼져나가고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예방하고 조심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윤혜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646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19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7416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072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file 2017.06.10 김민진 14082
'있어빌리티'는 이제 그만 file 2019.05.07 신아림 14101
마약밀매(DRUG TRAFFICKING)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file 2017.03.16 정수빈 14108
미세먼지,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9.04.09 박현준 14108
스마트폰에 밀려버린 키즈산업…토이저러스 파산 위기 2 file 2017.10.20 김나현 14109
위조 신분증 이제는 해결할 수 있다? file 2017.08.28 임소현 14114
미투 운동 후 1년, 우리에게 묻는다 1 file 2019.04.02 신예린 14121
경기도 6개 시 vs 정부, 치열한 공방전 file 2016.05.24 김지율 14126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2 2017.03.26 홍수민 14127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14128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130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131
블라인드 채용 법 발의 5 file 2017.07.09 송선근 14149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157
소통하는 정부로의 첫 걸음, 대국민 보고회 '대한민국, 대한국민' 2 file 2017.08.24 서정민 14159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4159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162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2.24 박다혜 14168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196
거듭된 욱일기 사용 논란, 우리가 예민한 걸까? file 2018.09.27 서호진 14199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204
주황리본, 제2의 세월호 file 2017.11.30 안옥주 14209
안전을 덮는 위장막, 이대로 괜찮은가? 2018.11.08 김근욱 14213
미국 대선은 트럼트와 반트럼프 2 file 2016.03.25 황지원 14218
연세대학교 이관형 교수 연구진, 원자 한 층 두께에 전자회로를 그리다 file 2018.11.07 백광렬 14219
탈코르셋, 페미니스트... 왜? file 2018.10.05 김혜빈 14226
신생아 낙상사고 후 3년간 사실 은폐... 의료윤리는 어디로? 2019.06.24 한웅희 14228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 file 2019.08.16 백지수 14230
“허위사실 유포 강경 대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명예훼손으로 A청소년언론 대표 고소 file 2017.12.12 디지털이슈팀 14232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4244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월드컵과 경제 그리고 대한민국 2 file 2018.07.20 김민우 14252
장 마감 직전 10분 동안 급락한 신풍제약…코로나19 이후 과열된 주식 시장 file 2020.07.31 이민기 14259
만화를 현실로, 포켓몬 GO 3 file 2016.07.25 유한나 14271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283
사드 배치, 황강댐 ‘수공’ 레임덕 완화 도구 1 file 2016.07.18 이민구 14285
성남시청소년 연합회, 다케시마의 날 철회를 위한 규탄 결의 대회 참석 file 2017.02.26 이가현 14290
김영란법에서 구제역까지, 축산업계 울상 file 2017.02.25 정현호 14291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4293
소년법, 처벌의 강화가 최선인가? file 2017.09.27 양은향 14301
전북 전주 고준희 양 실종 한 달째····경찰 수사 역경에 처해 3 file 2017.12.20 허기범 14302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305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4308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311
무엇이 피해자를 숨게하나 2 file 2016.05.26 김민주 14314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314
인천 초등생 살인 사건.. 13년으로 감형? 불만 표출 1 file 2018.05.09 이승원 14314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3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