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는 손 세정제

by 15기최윤서기자 posted Apr 28, 2020 Views 137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이 마스크와 손 세정제를 찾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한 번에 찾다 보니 마스크와 손 세정제 모두 품절 대란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지속하는 이 상황에 손 세정제와 마스크 구매 비용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다. 그래서 손 세정제를 아주 쉽게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손 세정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준비물은 모두 4가지다. 손 세정제를 담을 공병, 글리세린, 정제수, 소독용 에탄올이 준비물이다. 글리세린, 정제수, 소독용 에탄올은 모두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이다.


먼저, 소독용 에탄올을 40mL 부어준다. 이때, 소독용 에탄올을 꽉 막힌 공간에서 사용하면 두통이 올 수 있으므로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손 세정제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다음에 정제수 10mL 글리세린 20mL를 차례대로 부어주고 섞어주면 끝이다. 꼭 40mL, 10mL, 20mL가 아니어도 된다. 소독용 에탄올, 정제수, 글리세린의 비율이 4:1:2가 되게 만들면 된다. 그리고 공병에 넣어줄 때는 공병 안을 꼭 에탄올로 소독해 주어야 한다. 소독해 주지 않으면 공병 안에 세균이 있는 상태로 손 세정제가 담기기 때문에 다 만든 손 세정제를 버리는 꼴이 돼버린다. 이 상태는 액체 상태이므로 펌프형 공병보다는 스프레이형 공병이 훨씬 적합하다.


untitle.PNG

△ 위 방법대로 직접 만든 손 세정제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최윤서기자]


액체 상태인 손 세정제가 아닌 젤 형태의 손 세정제를 만들고 싶을 때는 이 방법을 따라 하면 된다. 준비물은 위와 같고 거기에 수딩젤만 더 준비해주면 된다. 먼저 에탄올과 젤을 6:4 비율로 넣어 섞어준다. 그리고 정제수와 글리세린을 넣어주면 된다. 요약하자면 에탄올:젤을 6:4 비율로 넣어주고 에탄올+젤:정제수:글리세린을 4:1:2 비율이 되게 넣어주면 된다.


이렇게 손 세정제를 집에서 쉽게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봤다. 이 방법으로 만들면 돈도 절약되고, 코로나19 감염 예방도 될 것이다. 한편 코로나19 전염 방지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은 5월 5일 어린이날까지 연장되었다. 모두가 긴장하고 지금처럼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을 한다면 코로나19의 유행은 사그라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최윤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320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9085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10397
2017년 첫 천만 영화 ‘택시 운전사’ 1 file 2017.09.12 박현준 13601
'페이스 북 = 영화공유소'? 7 file 2017.03.19 김다현 13601
무더운 여름, 실내 냉기로부터 나를 지켜라! 3 file 2017.07.21 한윤정 13599
기억해야 할 날들 file 2020.05.04 최윤서 13597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3597
북한 결식 아동을 돕는 '2017 지구촌교회 해피란 모금 행사' file 2017.05.14 박소윤 13597
새학기 증후군, 규칙적인 생활습관으로 극복하자! 2 file 2017.03.29 김수연 13596
하나되는 내일을 꿈꾸다, 느티나무 가족봉사단 file 2017.03.22 오가연 13594
너희 없는 3번째 봄, 너희를 담은 시간 展 1 file 2017.04.18 안옥주 13593
부평구 청소년운영위원회 기프트, 위안부 캠페인 실시 file 2017.05.25 박소윤 13592
'감독' 없는 인천, 울산과의 경기에서 1대 1 극적의 무승부를 이루다 file 2018.05.31 김도윤 13586
당장의 미래, 청소년의 대선투표 1 file 2017.05.10 김윤정 13584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05.24 김지현 13583
무기한 연기? 달라진 우리의 문화생활 2 file 2020.09.17 최진서 13582
전 세계 사람들의 의미있는 순간을 담았다! [LOOK SMITHSONIAN:스미스소니언 사진展] 1 file 2018.02.20 엄윤진 13582
우리도 떠난다! 우리만의 여행! file 2016.08.18 이봉근 13576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3574
제18회 '성남시 자원봉사 박람회' 개최 file 2017.11.01 박소윤 13568
중국인 없는 제주. 지금은 위기 아닌 기회! 1 file 2017.04.09 김민진 13564
WBC 개최국 한국, 1라운드 탈락 확정...한국야구의 현주소는? 3 file 2017.03.12 하재우 13564
세계문화유산, 하롱베이를 찾아서 file 2019.08.27 정다솜 13557
전북, 가시와레이솔 징크스 깨며 짜릿한 역전승 1 file 2018.02.21 6기최서윤기자 13557
남녀 모두가 좋아하는 달고나 커피 file 2020.03.26 윤예솔 13553
2018년도 10월달에 열린 제3회 충북과학교육축제에 가다! file 2018.11.12 조서현 13551
3회 연속 아시안게임 동메달을 차지한 대한민국 여자축구국가대표팀 귀국 file 2018.09.03 허기범 13551
'MBN Y 포럼 2019' 당신은 무엇을 시작하시겠습니까 file 2019.02.15 진해심 13550
지구를 과학관 안에 담다 file 2018.11.16 백광렬 13547
온종합병원과 필리핀 소년의 아름다운 콜라보 4 file 2017.02.26 김수진 13542
요즘 팬덤 문화의 핫이슈 '포카'를 들어보셨나요? 1 file 2022.01.27 정하윤 13540
만해의 숭고한 정신, '2016 만해축전'에 가다 file 2016.09.19 김민서 13540
새로운 팬덤문화의 열풍 2 file 2017.04.24 윤선애 13539
따듯함과 복이 흘러 넘치는 천생연분 마을 2017.05.25 김동주 13536
손 소독제, 뭐가 좋을까? 2 file 2020.04.28 김기용 13534
그 달콤함의 유혹 6 file 2017.04.22 장서윤 13532
우리마을 척사대회 file 2017.04.16 김태호 13530
함평군 4.8 만세운동 재연통해 애국정신을 기르다 file 2017.04.16 정상아 13530
세부, 안전한가 ? file 2017.08.04 김명빈 13528
[MBN Y FORUM 2017] 우리의 사전에 더 이상 '불가능'이란 없어졌다. file 2017.02.27 김민준 13528
사라져가는 돈, 박물관에서 보게 되는 날이 오고있다 2 file 2017.03.17 이세희 13525
'복면가왕' 8연승의 주인공 부뚜막 고양이의 정체는..하이라이트 양요섭 file 2021.01.19 오혜인 13524
카네이션도 법에 걸린다고요? 3 file 2017.05.15 강예원 13524
지금까지 코로나19같은 전염병은 없지 않았다? 1 file 2020.12.24 정승우 13521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519
해운대 바닷가에서 열린 정월대보름 행사 file 2017.02.24 신유나 13516
제 2, 제 3의 유관순을 찾아서... 제 16회 유관순 횃불상 워크숍 4 file 2017.02.21 강인주 13514
전세계 IT기기의 만남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file 2017.08.22 박수민 13511
제1회 ICT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공모전 개최 file 2020.08.18 김하진 13508
일 년 중 달이 가장 밝게 빛나는 정월대보름 4 file 2017.02.12 최지오 135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