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역대 최장 길이 '48.1cm' 비례대표 투표용지, 18년 만에 100% 수기 개표

by 15기김대훈기자 posted Apr 09, 2020 Views 140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기네스 기록감 가장 긴 투표용지 '48.1cm'

- 내가 행사하는 소중한 한 표의 가격, 9,324

 

작년 말, 속도 많고 탈도 많았던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만 18세 이하와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개정안 통과되면서 준연동형 비례대표 제도의 첫 무대인 4.15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군소 정당 진출의 희망이 보이자, 속속히 비례대표 출사한 정당이 많이 보여주고 있다.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창당 과정을 거치고 등록한 정당이 모두 50개라고 밝혔다. 만약 중에 모두 비례대표에 출사한다면 초유 사상 ‘60cm’ 넘는 투표용지의 상황이 나올 뻔했지만 다행히도 4.15총선 비례대표에 출사한 정당은 총 35개로  ‘48.1cm’로 줄여진 역대 최장 길이 투표용지가 탄생했다.

 

투표지 분류기를 이용한 기계식 개표를 도입한 2002년 지방선거 이후 18년 만에 100% 손으로 투표용지를 분류하는 수기 개표를 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투표지 분류기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길이는 34.9cm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표는 총 85000여 명의 개표사무원이 투입돼 밤새 손으로 진행하여 투표 다음 날인 16일 오전에야 개표가 마감될 것으로 보인다.

 

37개의 정당과 지역구 후보자 1,118, 비례대표 후보자 312명이 등록한 4.15 총선은 과연 내가 행사하는 소중한 한 표의 가치는 얼마일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선거 예산액은 4,102억 원이다. 4,3994,247명의 유권자로 나누면 한 표 당 값은 9,324원인 것이다.

 

또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출을 위해 모두 8700만 장의 투표용지를 인쇄한다. 투표용지를 한 줄로 이으면 지구 지름의 2배 거리에 해당한다. 또 투표용지를 쌓으면 면 8.7가 넘는다. 이는 에베레스트와 맞먹는 높이며, 백두산의 3.2, 한라산의 4.5배다. 그리고 투표용지, 선거공보벽보로 사용하는 종이는 총 13820톤이다. 이는 30년 된 나무 234900여 그루 베어지는 셈이다.

 

그러므로 대한민국 기본권 중의 하나인 참정권 행사와 투표하러 가기 전에 반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이트에서 후보자와 정당정책공약을 확인하는 것도 현명한 유권자의 권리이자 의무라는 것도 잊지 말자.


투표1.jpg

[이미지 제공=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5기 김대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이채원기자A 2020.04.10 13:22
    와우...이렇게 길다니..그만큼 우리나라에 당이 많다는 뜻이겠죠..?물론 많은건 알았지만 이번 투표때 사용하는 투표용지가 이렇게 길줄은 몰랐네요ㅎㅎ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14기김도연기자 2020.04.15 17:24

    저도 보고 굉장히 놀랐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 당과 국회의원들이 많은 편인데 가끔 이렇게 많아도 되는지 의문이 들 때가 많습니다. 오늘이 선거일인데 그동안 선거운동 하시느라 수고하신 후보님들 정말 수고하셨구요 저는 아직 19살이 아니라서 투표를 하지는 못하지만 선거 홍보물이 와서 자주 보는 편인데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닌 나라를 위해서 정치를 하시는 정말 좋은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
    15기서수민기자 2020.04.16 11:06
    투표를 하러 갔다가 용지가 제 팔만큼 길어 당황했던 기억이 있네요.. 이번이 특이하게 당이 너무 많았는데 그렇게 많을 필요가 있나 종종 생각이 듭니다. 투표가 가능한 나이가 되면 꼭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
    17기이혁재기자 2020.04.16 14:35
    와 정말 길군요. 저도 빨리 투표를 해보고 싶네요
  • ?
    17기조은우기자 2020.04.22 21:47
    국민들이 직접 투표함으로써 국가를 능동적으로 구성해나가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선거용지를 통해서도 드러나는 것 같다고 느껴집니다. 몇년 뒤 투표를 하게 될 나이가 되는 학생들에게 유익한 정보라고 생각듭니다!
  • ?
    15기김햇빛기자 2020.04.23 02:08
    직접 투표를 안 해봐서 몰랐는데 정말 기네요!!
    이렇게 한눈에 보니 다양한 당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됐어요.
    저도 나중에 투표권을 가지게 될 텐데 학생들에게도 유익한 정보 같아요!
  • ?
    19기이채영기자 2020.04.24 23:19
    헉 직접 투표를 안해봐서 잘 몰랐는데 당이 생각보다 훨씬 많아서 놀랍네요 ...!!
  • ?
    15기민아영기자 2020.04.25 14:18
    저도 곧 투표권을 갖게되는데, 이 기사를 읽으니 더욱 더 투표하고 싶어지네요~
  • ?
    14기조윤혜기자 2020.04.27 00:06
    아직 투표를 하지 못하는 나이라 정확히는 잘 몰랐는데 투표 용지가 정말 기네요.. 사람들마다 정치, 사회에 대한 각자의 가치관이나 생각 등이 다 달라 이렇게 당이 많은 거겠죠? 근데 너무 많아서 사람들에게 혼선을 줄 수도 있을 것 같아 걱정도 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61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99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7180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322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326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328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328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329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331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335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338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0338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339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345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345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348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351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353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356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359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360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368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376
해외 거주 가족에게 마스크 묶음 배송이 가능해지다? 3 file 2020.04.09 이윤우 10376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0385
홍콩의 외침, 송환법을 반대한다! file 2019.08.30 박고은 10386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391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392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395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0397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398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398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398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401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402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0402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0403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404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0404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file 2017.03.25 노태인 10405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0414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416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417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417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0418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0430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2017.09.04 조영지 10434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436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437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438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4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