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변화되어야 하는 종교

by 14기최준우기자 posted Mar 31, 2020 Views 1237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하나의 이야기로 시작해 보자. 한 남성이 강간당한 여성을 죽이는 것은 중범죄이지만 수많은 남성이 강간당한 여성을 죽인다면 그때는 문화가 되고 합법이 된다. 이는 중동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일명 명예살인이라고 불리며 피해를 본 여성을 오히려 처벌하는 관습이 자행되고 있다. 이를 종교만의 문제로 보기는 힘들지만, 종교를 악용한 사례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 대표 종교.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최준우기자]


 현재 한국은 헌법 제20조 1항에 종교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고 종교와 정치를 분리하는 정교분리의 원칙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중동과 같이 종교가 정치의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과연 그럴까? 종교는 그 국가의 사회문화역사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종교는 문화를 만들고 그 문화가 삶의 형태를 바꾸어준다. 


 종교의 영향력은 2018년 통계청 기준 약 2,200만 명의 종교인이 있고 종교는 교육, 사회복지 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어느덧 종교는 국제적 영향력을 주도하기까지 이르렀다. 신흥종교단체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이하 신천지)에서 시작된 HWPL은 교육, 국제법, 종교연합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LP 프로젝트에서 진행하는 '지구촌 전쟁 종식 평화 선언문(이하 DPCW)'은 전쟁에 종식을 목적으로 강제력 있는 국제법 추진에 나서고 있다. 이런 사회적 순기능만 있지는 않다. 


 종교의 영향력이 커진 만큼 그에 대한 책임도 늘어나야 한다. 하지만 종교의 책임을 따지는 일은 정부 기관도 쉽사리 손대기 어렵다. 최근 코로나 19의 주요 확산요인으로 뽑히는 신천지를 비롯한 종교단체들의 방역수칙 미준수, 전광훈 목사의 폭력집회를 포함한 불법 집회 감행 등 종교단체가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종교 관련 청원이 빗발치는 지금 인권을 짓밟는 포교행위, 종교단체에 의존된 정보전달 등을 개선해야 한다. 


 하지만 종교는 사회를 안정시키고 문화를 가꾼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스파케티 괴물교는 종교를 이용하여 기독교와 갈등을 빚고 있는 진화론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였다. 현대의 종교의 장점을 이용하여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듀드주의 등 다양한 패러디 종교들이 파생되고 있다. 이제는 종교에 대한 흑백논리를 펼치는 것이 아니라 종교를 이용하여 더 폭넓은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교의 문제점에 대한 책임을 묵인하지 않고 더 넓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4기 최준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8844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606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5635
볼만한 인디영화 '우리들' 인디플러스 포항에서 상영 중 file 2017.08.24 박해환 14692
본질은 잃고,미래를 얻자? 8 file 2017.01.22 신해인 16820
본격적인 전기차 세상 시작...이면엔 실업자 있어 file 2021.03.03 우규현 13000
복잡한 사회에 심플한 삶, '미니멀라이프' file 2019.03.28 김현정 18092
복세편살~ 신조어에 대해 알아보자! 2 file 2018.10.29 현주희 16288
보험업계의 뜨거운 바람, 블록체인 file 2017.10.10 이나현 14006
보통의 시민들이 만들어가는 ‘어바웃 서부’ 시민기획단 file 2021.09.24 조희진 9361
보육원의 식사, 건강할까? 1 file 2017.07.11 유지예 15022
보령시 청소년 문화의집, 보령시 청소년 운위영위원회 위촉식 진행 file 2017.03.25 이지민 13354
보라매청소년센터 ‘생명사랑센터 개소 10주년 토크콘서트’ 17일 개최 file 2023.01.02 이지원 7022
보라매 청소년 프리마켓 청개구리에 놀러 오세요! file 2017.07.24 김승연 12079
보들별 잔치 (시간, 그들에게 묻다) file 2016.05.13 3기전재영기자 14384
보다 많은 청소년에게 대한민국 유일무이 모의유럽연합대회 참여의 기회를, MEUK 2017 2 file 2017.05.28 박수아 18462
보다 따뜻한 말, 함께 읽어요 file 2021.07.28 한수진 9932
보건복지부 청년수당 최종동의 3 file 2017.04.10 김승연 15923
병역, 이제 남자만 고민해야 할 것이 아니다? file 2020.10.29 오준석 13899
별이 빛나는 밤, 『솔빛관측회』에서 우주를 엿보다 file 2017.10.12 박광천 14997
별이 된 시인, 윤동주 서거 72주기 13 file 2017.02.16 전초현 13645
별들의 축제,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개막식 1 file 2018.11.09 김민정 14784
별들의 전쟁, 챔피언스리그의 신호탄 file 2018.12.20 서성준 16257
별들의 전쟁 20-21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팀 확정..8강 대진 추첨은 19일 file 2021.03.19 이대성 21516
별내동 청소년 미디어 제작단 영상 시사회가 열리다. file 2017.07.24 양우석 14956
별과 함께 빛난 학생들의 열정, 제13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file 2019.11.25 윤혜림 13457
별(別)의 별(Star) 세계로 가봅시다~ file 2017.10.18 오지석 17198
별 하나에 윤동주의 삶을, 윤동주 문학관을 탐방하다 1 file 2017.03.25 황새연 14282
별 그대와 책의 바다로, 강릉 독서대전 2 file 2017.09.19 이형섭 16274
변화하고 있는 필리핀 골프문화 1 file 2021.12.31 최윤아 12839
변화를 향한 목소리!,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폐막 file 2016.05.26 신재윤 14807
변화를 위하여 내딛는 첫걸음, QISSMUN file 2019.04.30 박정현 15226
변화되어야 하는 종교 file 2020.03.31 최준우 12377
변질된 페미니즘, 그리고 페미니즘 의무교육 3 file 2018.04.02 김민서 16896
벤투호, 이강인 제외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명단 발표 , ‘ 손흥민 햄스트링 부상 가능성…’ file 2021.08.24 정혜원 14635
벤투가 뿌리내린 한국, 결실을 맺을 수 있을까 1 file 2018.10.24 강민재 13885
벤투 선장의 성공적인 첫 출항 2018.09.11 서성준 15219
베트남의 호찌민 - 경주세계문화엑스포 SNS 서포터즈를 소개합니다! 1 file 2017.09.05 홍여준 20295
베트남의 오토바이 문화 file 2016.03.25 박진영 21894
베트남의 스타벅스, 콩카페 1 file 2019.09.23 정다솜 17715
베트남서 "한국어 제1외국어로 채택될 것" 1 file 2020.12.03 김유진 14410
베트남과 대한민국은 쌍둥이 1 file 2018.09.28 이지현 15530
베트남, 전라북도에서 평화통일을 이야기하다! 3 2019.01.22 김아랑 14842
베트남 어디까지 가봤니? 1 file 2020.02.25 문연주 12990
베트남 사파를 아시나요? file 2020.01.14 정다솜 21098
베트남 사람들이 한류에 열광한다구요? file 2016.04.17 김유민 19776
베트남 냐짱이 요새 각광받고 있다고? file 2019.04.29 최상선 15727
베일에 싸여있던 THBU 영상제. 그 막을 열다. 4 file 2017.02.12 임승은 14746
베이킹소다의 변신! 천연세탁세제 file 2017.10.30 홍유빈 17749
베이킹소다와 식초의 사용, 이대로 괜찮을까? 2017.10.16 오정윤 19397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3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