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by 18기이수미기자 posted Feb 19, 2020 Views 105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시대에는 혼자 사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고 그에 따라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다. 그 외로움과 관련된 우리 사회의 문제로는 고독사가 있다.

 

고독사는 임종을 지켜주는 사람 없이 혼자서 사망하는 것을 말한다.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 나 홀로 죽음이 급증하면서 생긴 신조어로, 2011년부터 방송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주로 독거노인이나 독신자, 실직자, 비정규직, 외동자녀, 무연고자 등 우리 주위에 흔히 있는 이들에게 자주 일어난다. 이혼 혹은 가족과의 연락 두절, 성격 차이, 가치관 차이, 종교 문제, 정신질환으로 인한 고립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IMG_20200215_15161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이수미기자]


사례로는 강원도 춘천에서 일어난 50대 남자의 고독사가 있다. 2020130일 오후 430분쯤 춘천시 약사동의 한 주택에서 홀로 살던 B(50)씨가 숨져있는 것을 요양보호사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고 경찰은 정확한 사인을 조사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위험한 선택과 안타까운 고독사를 막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있다.

첫 번째 방안으로는 인공지능 AI를 활용한 스피커가 있다. AI 스피커는 사람과 대화하고 감정을 공유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우울증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홀로 시간을 많이 보내는 노인이나 1인 가구에게 AI 스피커는 외로움을 달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대화가 가능한 AI 스피커를 통해 누군가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 어르신들이 정서적으로 안정되는 느낌을 받는다면 불안감이나 고독감이 상당히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방안으로는 미국에서 이미 시행 중인 NORC 프로그램이 있다. NORC란, Naturally Occurring Retirement Community(자연발생적 은퇴 공동체)의 약자로, 일종의 협동조합 형태의 지역 공동체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65세 이상의 은퇴 후 홀로 지내는 노인 인구가 비교적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거주자들의 건강 상태나 식사 여부 확인 및 관리는 기본이고, 다양한 활동을 통한 친목 도모까지 할 수 있어서 외로움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방안은 일본의 고독사 제로 운동이다. 이 운동에서는 배우자가 없거나 이웃이나 친구, 가족이 없는 자를 고독사 예방 관리 대상자로 선발하여 이들을 위한 공동체 소통 공간을 운영하고, 고독사 예방 상담 전화 설치 등 다양한 관리 제공을 하고 있다.

 

고독사는 결코 가볍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모두가 노력해 하루빨리 고독사를 줄이는 것이 시급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4기 이수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680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54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8708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043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037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027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013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8999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8980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8971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8955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8954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8933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8932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8922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8919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8910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890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884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882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870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885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847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8844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8791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8785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8775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767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8757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72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705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704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8696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8694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693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8671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8663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662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613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8593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587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578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578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570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8555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8530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528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522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509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8480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4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