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by 16기전순영기자 posted Jan 20, 2020 Views 89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00117_013034.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전순영기자]


 지난 2019년 12월 19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탄핵안이 제기되었다. 이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벌어진 엄청난 일이었는데, 이에 대해 세계 각국은 여러 가지 추측과 이 사건이 자국에 영향을 끼칠 요인들에 대해 가늠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어마어마한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시작 배경과 사건 진행 과정까지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미국의 의회 구성부터 알아보아야 한다. 미국의 의회는 크게 상원과 하원으로 나누어지는데, 상원은 주로 공화적인 정치적 성향을 가진 인물들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이고, 하원은 이와 반대로 민주적인 정치적 성향을 가진 인물들이 주로 있는 곳이다. 트럼프 탄핵안은 12월 19일에 공화당인 트럼프와 반대 입장에 서 있는 민주당 인사들이 대부분인 하원에서 가결되었다. 하원에서 가결된 이 안건은 현재 상원에 제기되어 있는데, 과연 공화당 인사들이 자리 잡고 있는 상원에서 통과될 수 있을지가 미지수이다. 그럼,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이 트럼프 탄핵안은 도대체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이 모든 일은 '조 바이든'이라는 한 인물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조 바이든은 오바마 시기 행정부의 부통령 직책을 맡았으며, 2020년 대선에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물이다. 그는 오바마 통치 때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때 그의 아들 '헌터 바이든'을 불법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유명 회사인 '부리스마'의 이사진이 되도록 했다. 이에 대해 부리스마의 대표는 조사를 받게 되는데, 조 바이든은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에 자기 아들과 관련된 사건을 맡은 담당 검사의 해임을 요구한다. 결국 이는 받아들여졌고, 그와 그의 아들과 관련된 비리 사건은 서서히 여론 속에서 묻혀갔다.


 그런데, 지난해 2019년 7월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부자와 관련된 사건에 대해 우크라이나에 재수사 요구를 했다. 이는 2020년 대선에 출마하는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를 견제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재수사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지원을 중단하겠다고 협박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이에 관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 내역을 공개하며 '나는 군사 지원 문제를 가지고 그에게 협박한 적이 없으며, 그저 재수사 요청을 했을 뿐이다'라고 주장했으며, 우크라이나 외교부도 이에 관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어떠한 군사적인 요구도 하지 않았음을 증언했다. 하지만 이에 관해 민주당 인사 중 내부고발자 2명은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 중단 협박에 관해 '사실이 맞다.'고 주장하며 현재 청문회를 진행 중이지만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는 상태이다.


 민주당은 미국 대선 기간 동안, FBI와 손을 잡고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유세를 감시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그 당시 FBI와 CIA는 러시아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해킹으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도록 한 것이라며 주장하고 있지만, 2년간의 복접한 조사 절차를 거친 뒤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판명 났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건을 조작한 배후를 적발하기 위해 특별 조사팀을 꾸려 FBI와 CIA, 그리고 이에 연루된 민주당 지도자들을 찾아내려고 노력하고 있어 이는 위기를 느낀 민주당이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하나의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은 하원에서 권력 남용과 의회 조사 방해 혐의를 내세우며 각 혐의 당 찬/반 230표 대 197표, 229표 대 198표로 가결되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주로 공화당 인사들로 이루어진 상원에서도 가결될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최근 상원의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에 대해서는 현재 지지할 생각이 없다'라고 주장해 이 안건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표명하지 않을 것을 밝혔다. 또한, 탄핵안이 최종적으로 가결되려면 상원 의원 중 3분의 2 이상이 탄핵안에 대해 찬성해야 하는데, 공화당 의원이 대다수인 상원에서는 이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결국 이번 탄핵안은 부결될 것임을 예고했다. 이번 탄핵안은 트럼프 대통령 지지층의 결속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거나 혹은 반사적 효과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오히려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다가오는 21일부터 진행될 탄핵 심판이 어떻게 진행될지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3기전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19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884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2052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7411
뜨거운 감자 기본소득제, 정말 불가능한 정책일까? file 2021.09.01 최서윤 7417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439
[기자수첩] 미국 청소년들도 빠져든 K팝...한국 문화 영향력 커져 file 2023.09.16 이승주 7440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2020.10.08 박재훈 7484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491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496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과정 밝혀내... file 2021.04.14 한건호 7499
[기자수첩] 서현역, 신림역 칼부림 사건..."법정 최고형 구형해야" file 2023.08.10 김진원 7504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521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530
‘코로나19 시대에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기에 청소년들이 겪는 생활실태’ 주제로 서울특별시 청소년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20 이지원 7531
애플페이, 교통카드 국내 도입 테스트 중...ios17부터 도입될까 file 2023.07.26 신지윤 7534
70% 더 빨라진 전파력, 영국에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 file 2020.12.22 박수영 7551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7561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7562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스타벅스도 비껴가지 못했다 file 2020.09.03 윤지영 7571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572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579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7597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7604
저버린 이성, 다시 확산된 코로나 2020.08.26 박성현 7606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7606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616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7616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1 file 2020.11.19 임윤재 7620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624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7629
게놈, 코로나19를 종식시킬 수 있는 키 file 2020.09.07 김정원 7631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631
우리의 일상을 바꿔놓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왔다? 1 file 2020.08.18 권혁빈 7635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7639
트럼프 대통령의 비난과 억지뿐인 결과 뒤집기 2020.12.23 김하영 7641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642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644
8월에 주의해야 할 재난·안전사고 1 file 2020.08.10 김현수 7649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7651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7651
시위 확산된 벨라루스... 정부와 시위대의 줄다리기 file 2020.09.03 박재훈 7664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664
욕망과 자유 사이 '리얼돌'에 관하여... 2021.01.27 노혁진 7669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7672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7673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674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676
성숙한 시민의식 1 file 2020.03.17 전혜은 7687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687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76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