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by 16기전순영기자 posted Jan 20, 2020 Views 87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00117_013034.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전순영기자]


 지난 2019년 12월 19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탄핵안이 제기되었다. 이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벌어진 엄청난 일이었는데, 이에 대해 세계 각국은 여러 가지 추측과 이 사건이 자국에 영향을 끼칠 요인들에 대해 가늠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어마어마한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시작 배경과 사건 진행 과정까지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미국의 의회 구성부터 알아보아야 한다. 미국의 의회는 크게 상원과 하원으로 나누어지는데, 상원은 주로 공화적인 정치적 성향을 가진 인물들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이고, 하원은 이와 반대로 민주적인 정치적 성향을 가진 인물들이 주로 있는 곳이다. 트럼프 탄핵안은 12월 19일에 공화당인 트럼프와 반대 입장에 서 있는 민주당 인사들이 대부분인 하원에서 가결되었다. 하원에서 가결된 이 안건은 현재 상원에 제기되어 있는데, 과연 공화당 인사들이 자리 잡고 있는 상원에서 통과될 수 있을지가 미지수이다. 그럼,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이 트럼프 탄핵안은 도대체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이 모든 일은 '조 바이든'이라는 한 인물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조 바이든은 오바마 시기 행정부의 부통령 직책을 맡았으며, 2020년 대선에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물이다. 그는 오바마 통치 때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때 그의 아들 '헌터 바이든'을 불법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유명 회사인 '부리스마'의 이사진이 되도록 했다. 이에 대해 부리스마의 대표는 조사를 받게 되는데, 조 바이든은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에 자기 아들과 관련된 사건을 맡은 담당 검사의 해임을 요구한다. 결국 이는 받아들여졌고, 그와 그의 아들과 관련된 비리 사건은 서서히 여론 속에서 묻혀갔다.


 그런데, 지난해 2019년 7월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부자와 관련된 사건에 대해 우크라이나에 재수사 요구를 했다. 이는 2020년 대선에 출마하는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를 견제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재수사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지원을 중단하겠다고 협박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이에 관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 내역을 공개하며 '나는 군사 지원 문제를 가지고 그에게 협박한 적이 없으며, 그저 재수사 요청을 했을 뿐이다'라고 주장했으며, 우크라이나 외교부도 이에 관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어떠한 군사적인 요구도 하지 않았음을 증언했다. 하지만 이에 관해 민주당 인사 중 내부고발자 2명은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 중단 협박에 관해 '사실이 맞다.'고 주장하며 현재 청문회를 진행 중이지만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는 상태이다.


 민주당은 미국 대선 기간 동안, FBI와 손을 잡고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유세를 감시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그 당시 FBI와 CIA는 러시아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해킹으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도록 한 것이라며 주장하고 있지만, 2년간의 복접한 조사 절차를 거친 뒤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판명 났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건을 조작한 배후를 적발하기 위해 특별 조사팀을 꾸려 FBI와 CIA, 그리고 이에 연루된 민주당 지도자들을 찾아내려고 노력하고 있어 이는 위기를 느낀 민주당이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하나의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은 하원에서 권력 남용과 의회 조사 방해 혐의를 내세우며 각 혐의 당 찬/반 230표 대 197표, 229표 대 198표로 가결되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주로 공화당 인사들로 이루어진 상원에서도 가결될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최근 상원의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에 대해서는 현재 지지할 생각이 없다'라고 주장해 이 안건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표명하지 않을 것을 밝혔다. 또한, 탄핵안이 최종적으로 가결되려면 상원 의원 중 3분의 2 이상이 탄핵안에 대해 찬성해야 하는데, 공화당 의원이 대다수인 상원에서는 이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결국 이번 탄핵안은 부결될 것임을 예고했다. 이번 탄핵안은 트럼프 대통령 지지층의 결속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거나 혹은 반사적 효과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오히려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다가오는 21일부터 진행될 탄핵 심판이 어떻게 진행될지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3기전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59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48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670
[현장취재]가게 옆 거대눈사람이 품은 따뜻한 이야기 10 file 2016.02.13 박다온 15610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2795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8589
‘4.27 판문점 선언’에 복잡한 속내를 감추지 못하는 중국 1 file 2018.05.03 박현규 12383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243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322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413
‘n번방 사건 영화화’ 논란되자 제작 취소 file 2020.05.26 유시온 9845
‘고령화 사회’ 중심의 서있는 대한민국,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4 file 2017.02.21 황현지 18436
‘공관병 갑질 논란’ 박찬주 대장 검찰수사 입건, 남편이 장군이면 부인도 장군인가 1 file 2017.08.10 김진선 13039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접속하니 사기 사이트로 연결돼..해당 사이트 클릭 주의해야 file 2017.07.16 온라인뉴스팀 24012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342
‘만 18세 선거권’, 그 양날의 검 2 2017.05.24 김윤혁 12556
‘박항서 효과’로 인한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1 file 2019.01.28 이유성 12361
‘북극곰의 날’을 아시나요? 2 file 2017.03.01 노태인 15755
‘불이 났어, 기다리지마.’ 14년 전 오늘을 기억하자 9 file 2017.02.18 오시연 17184
‘사형 선고’ 이영학, 판결불복 항소에 이어 재판부에 반성문 제출 1 file 2018.03.20 이정은 10906
‘생리대 발암물질’ 논란 속에서 방법은 ‘생리컵’ 인가? 4 file 2017.08.28 박지민 11793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399
‘쓰레기’에 몸살 앓는 여의나루 한강 공원 1 file 2016.06.25 김선아 23966
‘어디 1호선이 운행 중단됐다는 거야?‘···전국 폭우와 함께 되돌아보는 ’서울 공화국‘ 2 file 2020.08.18 박지훈 11607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7905
‘이슬람포비아’에 잡아 먹힐 건가, ‘이슬람포비아’를 뛰어넘을 것인가? file 2018.09.28 이혜림 9658
‘청소년 정책 총괄’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에 진선미 의원 file 2018.08.30 디지털이슈팀 10473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의 일장일단(一長一短), 그리고 알지 못했던 주휴수당 file 2018.08.17 송지윤 9852
‘코로나19 시대에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기에 청소년들이 겪는 생활실태’ 주제로 서울특별시 청소년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20 이지원 7355
‘코로나19’ 시대 속에서 대한민국이 강국이 된 배경은? 1 file 2020.12.24 정예람 17338
‘포켓몬 고’ 따라 삼만리, 각종 부작용 속출 file 2017.02.08 박현규 16453
‘하기스 퓨어 물티슈’ 등 10개 제품, 메탄올 기준치 초과.. 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 13 file 2017.01.16 김해온 22371
‘학폭 미투’ 지울 수 없는 기억, 돌이킬 수 없는 과거 file 2019.06.04 장예주 9370
‘후보 000입니다…’ 문자, 선거법 위반인가 27 file 2016.02.14 전채영 21748
“Return to MAX” 2021.01.22 이혁재 8196
“남자가 그럴 수 있지”, 피해자 가슴에 비수 꽂는 한마디 file 2018.04.16 김고은 13624
“다시 시작하는 대한민국” 2 file 2017.05.13 한지선 9311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1 file 2021.04.28 김태환 10214
“사람이 다스리지 말고 법이 다스리게 하라” 1 file 2017.03.20 이윤영 10869
“세계 화장실의 날”을 아시나요? - 세계 25억 명, 위생상태 나쁜 화장실 사용 1 file 2016.11.21 노태인 24093
“여자들이 나를 무시해서 그랬다.” 4 file 2016.06.14 장은지 14664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10276
“저도 학교 가고 싶어요”… 끝이 보이지 않는 원격 수업의 연장선 3 file 2020.09.07 이지민 11266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file 2017.09.06 김욱진 23495
“청년층 취업난, 고용 정보 획득의 어려움도 큰 원인” file 2022.12.02 이지원 4899
“탄핵 다음 탈핵이다” 핵 사용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의 나비행진 4 file 2017.03.12 양현진 13411
“학교 가기 무서워요” 위험천만한 세종시 보람초의 등굣길 2 file 2016.07.24 정현호 16985
“허위사실 유포 강경 대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명예훼손으로 A청소년언론 대표 고소 file 2017.12.12 디지털이슈팀 14221
“헬기에서 총 쐈지만 전두환은 집행유예?” 비디오머그 오해 유발 게시물 제목 1 file 2020.12.07 박지훈 8310
中 "北, 괌에 미사일 발사시 중립 지켜야"…美 "北 건국일(9월 9일)에 공습하겠다" 1 file 2017.08.16 양승철 11773
中 환경규제, 기회를 잡아야 file 2017.11.13 김욱진 9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