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by 14기정다은기자 posted Jan 06, 2020 Views 111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진 최종.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2기 정다은기자]


  1230일 오전 0032분경, 잠들어 가는 도시에서 갑자기 사나운 경보음이 울린다. 깜짝 놀라 무슨 일인지 고개를 들어 일어나는 순간 세상이 크게 흔들린다. 핸드폰을 열어 인터넷에 들어간다. 실시간 검색어로 지진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많은 사람들은 실시간 채팅창에 '지진인가요?', '지진 났어요. 집이 흔들렸어요.' 등 두려움이 가득한 댓글을 올린다. 곧바로 속보 뉴스가 올라오고 사람들은 여진의 두려움에 눈을 뜨고 밤을 지새우며 아침을 기다린다.


  이번 지진은 밀양 동북동쪽 14Km 지역에서 규모 3.5로 발생했다땅속 20km 지점에서 발생했기에 강하진 않으나 제법 강한 정도로 진도 3.0 - 3.9 사이는 많은 사람들이 느끼며, 피해는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두 차례 정도의 여진이 발생했으나, 피해 신고는 없었으며 더 이상 큰 지진은 일어나지 않았다.


  2016년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 2017년에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일어났었으며, 그로 인해 사람들은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란 것을 깨달았다. 또한 하루 전날인 29일에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2.3의 지진이 발생했었다. 이렇게 우리나라는 계속해서 크고 작은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면 왜 지진이 일어나는 것일까? 지진이란, 지구 내부에서 급격한 변동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지표로 전달되는 현상이다. 주로 지층이 끊어져 어긋나는 대규모 단층에 의해 발생하며, 화산 폭발이나 지하 동굴의 붕괴 등도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일본은 해양판인 태평양판과 필리핀판, 대륙판인 유라시아판이 서로 충돌하는 경계에 위치하기에 우리나라보다 지진이 잦고 강도가 심하다.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서 떨어져 있는 편이라 상대적으로는 안전하나 점점 지진 발생 횟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그렇다면 지진이 일어나면 우리는 어떻게 행해야 할까? 크게 실내와 실외로 나누어보자. 먼저 실내에서는 진동을 느끼면 탁자나 책상 밑으로 피해야하며 머리를 보호한다. 당황하지 말고 사용하던 전열기나 가스레인지 등을 꺼야 한다. 또한 문이 뒤틀려 열리지 않을 수도 있기에 재빨리 문을 열어 탈출구를 확보해야 한다. 실외에서는 좁은 길이나 담 근처로 피하지 않고, 간판 등의 떨어짐을 주의하며 넓은 공터나 운동장으로 향해야 한다. 대피할 때는 가방이나 담요 등으로 머리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산 근처에 있다면 산사태 발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산에서 멀리 떨어져야 하며 해안가 근처에 있다면 지진 해일의 발생 위험성이 있기에 해안가에서 벗어나야 한다. 지진이 멈춘다면 대피할 때 차를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이동하며 주위 부상자를 확인하고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하며, 여진을 대비해 집에서 응급사항을 위한 소지품 즉 약, 담요, 겉옷, 간단한 먹거리를 챙겨서 나와야 한다. 또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재난 방송을 통해 지진 사항을 계속해서 확인해야 한다.


  아직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하는 정확한 시간이나 규모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건물이나 집이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를 하고, 평소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을 잘 익혀 두어야 한다. 그렇기에 국가와 학교에서 실행하는 지진대피훈련에 진지한 자세로 참여해야한다. 나아가 지진 예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2기 정다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985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636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9642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292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6900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580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131
청소년들을 좌지우지 할 대선 후보들의 교육정책 3 file 2017.05.07 김서영 11259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3845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8472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7314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277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4545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4819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13961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3020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0713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1853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332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4004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036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2973
청소년 투표권,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12 file 2017.01.17 신호진 37344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6664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0687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2605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1772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30103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3316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245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174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485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339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3469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227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19529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5697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739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295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1966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478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494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252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475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2104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447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7215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916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510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219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6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