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by 13기정혜인기자 posted Nov 25, 2019 Views 99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위안부 기사사진 (청소년기자단용).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정혜인기자]


지난 10월 유니클로가 위안부폄하 논란이 일었던 광고를 게재하면서 위안부의 진실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번 쏟아졌다하지만 그와 함께 인터넷상에서는 위안부에 대한 오해와 유언비어들이 떠돌아다녔다그중 여러 사람이 오해하고 있는 총 네 가지의 오해와 유언비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안부’ 피해 여성은 대한민국뿐이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위안부는 중국인도네시아 등의 일본이 점령한 지역에서 만든 위안소라는 그 당시 일본이 군인과 군무원을 대상으로 설립한 시설에서 강제로 성을 착취당한 여성을 말한다이의 희생자는 점령지의 여성들뿐만 아니라 일본의 여성들도 있던 것으로 밝혀졌다일본군에 의하여 끌려간 여성의 숫자는 약 40,000~200,000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대부분의 여성이 유괴인신매매혹은 일자리를 구한다는 말에 따라나섰다가 위안부의 피해자가 되었다피해 여성들의 나이대는 다양했으며 주로 가난한 집안이나 농촌 등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의 여성들이었다고 한다현재 우리나라의 위안부’ 피해 생존자 여성은 20명 정도이고이는 3년 이후에는 생존자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안부라는 명칭을 사용해도 된다?

보통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위안부라는 명칭이 주로 쓰이곤 한다하지만 이는 속뜻은 일본 군인들에게 성적인 위안을 주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음으로 부적절한 단어 선택이다또한 이는 일본 군인(당시 가해자)의 입장에서 쓰인 용어이다이 때문에 UN 인권소위원회 특별보고관의 보고서나 서양국가들에서는 일본군 성노예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하지만 이 둘 다 적절하지 않은 단어 선택이다현재로서는 위안부의 이야기를 할 때 작은따옴표(‘’)를 사용함으로써 이 단어를 고유명사로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위안부에는 강제동원이 없었다?-일본 보수 정치지도자 측의 주장

현 일본의 아베 신조 정권은 위안부가 일본군에 의해 강제 동원된 점은 사실이 아니라는 발언을 내뱉었다일본군이나 관련 기관이 강제동원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자료가 없으며헌병대가 강제동원을 한 것이 아니라 민간업자가 동원하였다는 것을 근거로 발언하였다하지만 이 발언이 국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비판 여론이 들끓자 총리는 일본제국의 군대가 강제동원하였음을 인정하였다하지만 아베가 자신의 의견을 철회한 것은 아닌데당시 관방장관인 시모무라 하쿠분이 군 위안부의 존재가 일본군의 관여는 아니며일부 부모들이 딸을 팔았던 것으로 본다는 발언을 하였다하지만 위안부’ 피해 생존자 여성에게서도 강제동원하여 수송했다는 증언이 나오며 뿐만 아니라 공식기록의 공개그리고 많은 나라의 증언으로 뒷받침되었으므로 일본이 마땅히 사과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 세계적으로 다수이다.

 

일본은 단 한 차례도 위안부’ 피해 생존자 여성들에게 사과한 적이 없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통념은 일본 정부가 단 한 차례도 사과한 적이 없다.’이다하지만 이는 견해에 따라 다르게 볼 수도 있다처음 1992년 관방장관 가토 고이치가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운영감독에 관여했다고 인정하였다하지만 위안부의 강제동원 사실을 명확하게 인정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자 1993년의 고노 담화가 있었다고노 담화에서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의 강제동원과 일본군의 개입을 인정했으며 사과했다이와 비슷한 일본 정부의 여러 수상의 개별적인 사과가 있었지만일본 정부혹은 국회는 정식으로 사과하지 않았으며 고노 담화도 국회에서 채택되지 않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3기 정혜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930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578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8989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270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911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480
깊어지는 이준석 갈등, 국민의힘 분열되나 file 2021.08.20 윤성현 8292
코로나19 치료제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효능효과 확대 및 투여시간 단축" 등 허가변경 심사 착수 2021.08.17 이주연 10171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393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1737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347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611
떨어지면 죽는 거라던 중국 로켓은 어디로 갔나 file 2021.07.27 유예원 8810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017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14225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1792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10814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734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9971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7559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7945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1630
이스라엘 한국과 화이자 70만 회분 교환 협약 맺어 file 2021.07.07 고은성 9233
코로나19 이후 늘고 있는 아동학대 file 2021.07.02 조서림 15725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7764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8445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7562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7247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12098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938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7547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7194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391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468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479
가사근로자법안 발의, 환영의 목소리만 있을까 file 2021.05.31 하수민 7076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175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118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6812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196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880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7684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9106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8682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050
美 보건당국, 실내 '노마스크' 허용 file 2021.05.24 양연우 7298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9909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열흘 만에 휴전 합의 맺어 file 2021.05.24 고은성 6455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155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file 2021.05.24 이수현 7053
신소재 그래핀과 보로핀의 산업화 해결 과제 file 2021.05.21 김률희 116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