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영국, 12월 12일 조기 총선 실시 확정

by 13기김지민기자A posted Nov 07, 2019 Views 99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영국 국기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김지민 기자].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김지민기자]


지난 31일(현지 시각), 영국에서 조기 총선 실시를 위한 '단축 법안'이 여왕 재가를 거치며 정식 법률의 효력을 갖게 되었다. 이 법안은 당초 의회 고정임기법에 따라 2022년으로 예정되어 있던 총선을 올해 12월 12일로 앞당기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지난 29일 하원에서 찬성 430표대 반대 20표로 가결된 바 있다. 이로써 영국은 2년 6개월 만에 또 다른 총선을 실시한다. 영국 의회는 11월 6일 해산되며, 그 후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다. 11월 14일에는 ITV가 주관하는 TV 토론이 열린다. 이번 선거는 1923년 이래 96년 만에 12월에 열리는 선거이다.


현재 영국 의회는 어떠한 정당도 과반 의석을 갖지 못하는 '헝 의회'이다. 이로 인하여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의 사안이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보리스 존슨 총리가 이끄는 여당 보수당은 이번 선거를 통하여 과반수 의석을 얻고 2020년 1월 말까지 브렉시트를 처리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존슨 총리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지난 10월 31일까지 브렉시트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하원의 반발로 실패하였고, 이로 인하여 유럽연합과의 브렉시트 합의 기한을 3개월 추가 연장한 바 있다.


한편, 영국의 야권은 제각각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제레미 코빈 대표가 이끄는 제1야당 노동당은 정권교체를 통하여 '믿을 수 있는' 브렉시트를 추진하고 영국이 브렉시트 이후에도 유럽과의 관세 동맹에 남도록 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반면, 제2야당인 SNP(스코틀랜드 국민당)는 새로운 국민투표를 추진하여 브렉시트 여부를 다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s)은 더 나아가 브렉시트를 취소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영국의 여론조사 업체 유고브(YouGov)가 10월 30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보수당이 36%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2위인 노동당은 15% 뒤지는 21%를 기록하였다. 다만, 합의 없는 유럽연합 탈퇴(노딜 브렉시트)를 주장하는 극우 정당 브렉시트당의 돌풍으로 인한 보수 지지층 분열 등 여러 변수가 남아 있어 현재로서는 결과를 예단하기는 어렵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3기 김지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008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781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0941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4686
함께 지켜나가요, 소녀들의 평화 file 2017.04.16 김효림 11503
세월호 참사 3주년 기억식 2 file 2017.04.16 최다영 11586
"Remember 0416" 세월호 3주기 추모 행사 file 2017.04.15 윤하은 13438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1550
[의혹검증] 세월호 인양 지연은 의도적일까···? 2 file 2017.04.15 김정모 13963
미국 의회 북한 돈줄 차단 시작 1 file 2017.04.12 조채은 11512
아베에게 닥친 커다란 위기, '아키에 스캔들' 2 file 2017.04.11 박우빈 11785
세월호 인양, 시민들의 생각은? 2 file 2017.04.10 김동현 10249
기억해야할 4월 13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일 3 2017.04.10 고선영 12799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041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263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1595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1659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4457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3815
올바른 역사 교과서? 올(ALL)바르지 않은 역사 교과서!! 2 file 2017.03.31 전은지 11226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5419
일본, 대만, 노르웨이까지… 과거 중국의 경제 보복 4 file 2017.03.31 남희지 13674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507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1877
공병보증금 인상으로 소비자권리 되찾아 주겠다더니, 술값만 인상? 1 2017.03.28 정지원 13631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181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115
끝나지 않는 '금수저 선생님' 채용 논란, 그와 맞선 한 교사의 용기 있는 발언 2 file 2017.03.27 최서영 15904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350
기획보도-탄핵 소추부터 파면까지 1. 대통령 박근혜 탄핵 소추안 1부 2 file 2017.03.27 선종민 11148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3692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2 2017.03.26 홍수민 14191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9384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018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0500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379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209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0742
유엔인권 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 무표결 채택 file 2017.03.26 이승민 10236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147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380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file 2017.03.25 전세희 21538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237
유가족의 간절한 기도, 떠오르는 세월호 1 file 2017.03.25 김수희 10807
김정남 사건, 해외반응은 어떠한가 file 2017.03.25 여수빈 10880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403
끝나버린 탄핵심판...포기하지 않은 그들 file 2017.03.25 이승욱 10913
로봇으로 대체되는 인간의 삶, 더욱 필요해진 로봇세 file 2017.03.25 임선민 13330
민주주의의 심장 런던 겨눈 차량테러… "세계에 대한 테러다" file 2017.03.25 안호연 10625
세월호 인양, 장미대선의 새로운 변수가 될 것인가 file 2017.03.25 최푸른 13362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10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