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디어, 가벼운 매체가 가진 무거운 영향력

by 12기김우리기자 posted Oct 30, 2019 Views 98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모든 사회 조직에는 조직 특성에 맞는 윤리가 존재하며, 윤리란 조직으로서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의무의 규범이다. 최근 연예계 비보가 알려지며 미디어들의 언론 윤리가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고인과 유족들을 존중하지 않은 자극적인 미디어들에 언론인으로서의 기본적인 윤리 강령을 문제로 지적한 것이다. 아래는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자살예방협회’가 공동 제정한 <자살 보도 윤리강령>과 <자살 보도 권고기준>의 일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KakaoTalk_20191022_23214620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2기 김우리기자]


<자살 보도 윤리강령>

.

.

6. 언론은 자살 사건의 보도 여부편집보도 방식과 보도 내용은 유일하게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에 입각해서 결정하며흥미를 유발하거나 속보 및 특종 경쟁의 수단으로 자살 사건을 다루어서는 안 된다.

7. 언론은 자살 보도에서 자살자와 그 유족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자살 보도 권고기준 3.0 - 5가지 원칙>

1. 기사 제목에 자살이나 자살을 의미하는 표현 대신 사망’, ‘숨지다’ 등의 표현을 사용합니다.

2. 구체적인 자살 방법도구장소동기 등을 보도하지 않습니다.

3. 자살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모방 자살을 부추길 수 있으므로 유의해서 사용합니다.

4. 자살을 미화하거나 합리화하지 말고자살로 발생하는 부정적인 결과와 자살예방 정보를 제공합니다.

5. 자살 사건을 보도할 때에는 고인의 인격과 유가족의 사생활을 존중합니다.

 

 윤리강령과 권고기준에서 알 수 있듯 언론은 고인의 인격을 살아있는 사람처럼 존중하며 사망 보도를 해야 한다그러나 최근 보도된 유명인의 사망 보도들 중 일부는 구체적인 자살 방법과 자세한 경위를 묘사하고 비공개 빈소 위치까지 공개되었다이는 화제성을 높이기 위한 지나치게 자극적인 미디어로고인과 유족을 존중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다특히나 유명인의 사망 보도는 막대한 파급력을 가지고 있기에 더 주의하여야 한다흔히 베르테르 효과라고 칭하는데, 1974년 미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필립스가 정의한 이 사회현상은 유명인 또는 평소 존경하거나 선망하던 인물이 자살할 경우그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해서 자살을 시도하는 현상을 말한다유명인의 경우 그의 사망 소식이 언론에 반복적으로 쉽고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자신이 그 인물과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을 때 그 현상이 더욱 극심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실제로 이번 사건 이후 각종 SNS에 자신의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일부 누리꾼들은 베르테르 효과를 우려해 자살 방지 핫라인 배포에 앞장서고 있다이러한 시점에서 언론은 사망 보도의 사회적인 책임을 비롯해 파급력을 인지하고 신중하고 분별력 있는 보도를 통해 그 역할을 해내어야 한다더는 고통받는 사람이 생겨나지 않도록 많은 이들에게 경각심이 촉구된다혹여 사망 보도를 접한 후 깊은 우울감손 떨림답답함 등의 고통에 힘겨워하는 이들이 있다면 아래의 각종 상담 기관들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자살예방 핫라인(1393)

보건복지부 24시간 콜센터(129)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1577-0199)

한국 생명의 전화(1588-9191)

청소년 helpcall(1388)

한국자살예방협회(02-413-0892)

한마음 한 몸 자살예방센터(1599-3079)

중앙자살예방센터(02-2203-0053)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2기 김우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89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5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758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329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749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637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317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4742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442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133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8256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137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211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1901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412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431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659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9869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264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3378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285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3615
국회의원 체포 동의안. 방탄국회 만드나 2 file 2018.05.31 함현지 10590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070
국제우주정거장의 민영화 file 2019.07.15 이민재 13505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9810
국제 금값 2천 달러 돌파…연일 고공행진 이어가는 금값 file 2020.08.06 이민기 14922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053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152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4736
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반응은 여전히 '싸늘' file 2017.02.02 유근탁 15547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644
국정 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2 file 2017.02.04 정주연 17015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9981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353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329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418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0874
국민이 묻고 대통령이 직접 답한다! 대국민 보고대회 - 대한민국, 대한국민 file 2017.08.31 이수현 10543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7880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415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180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266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6879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143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203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9810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210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3662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102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99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