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by 15기윤혜림기자 posted Oct 28, 2019 Views 1497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9월 발생한 제13호 태풍 링링(LINGLING)’이 대한민국을 지나갔다. 이런 태풍과 장마 등이 지나가면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하여 피해가 속출한다. 우리나라에서 이런 태풍과 장마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 있는데, 바로 사방댐을 설치하는 사방사업이다.

 

 ‘사방댐(Debris barrier)'이란?

우리가 하천 등에서 볼 수 있는 댐의 한 종류로, 홍수와 산사태 등의 피해를 줄여주며 상류에서 내려오는 토석류를 막는데 효과적인 댐이다. 아래 사진은 강화도 석모도 자연휴양림에 있는 사방댐의 사진이다.


강화도 석모도 사방댐.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윤혜림 기자]


 사방댐은 방식, 재료 등으로 종류를 나눌 수 있다. 먼저 방식에 따른 종류는 크게 투과형, 부분 투과형과 불투과형으로 나뉜다. 투과형댐은 평상시 퇴적된 토석류를 천천히 하류로 흘려보내는 댐이다. 예로는 슬릿댐과 격자형댐이 있다. 불투과형댐은 강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토석류를 막아 최대한 흘러 내려보내지 않는 댐이다. 예로는 강제틀댐과 파형강판댐이 있다. 부분 투과형댐은 투과형댐과 불투과형댐의 형태를 합쳐놓은 모습으로, 부분적으로만 토석류를 투과시키는 댐이다. 재료에 따른 종류는 전석댐, 통나무댐, 콘크리트댐 등으로 나뉜다.


 예전에는 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댐을 많이 건설하였다. 하지만 이런 콘크리트댐은 자연환경과 조화롭지 못할뿐더러 생태와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콘트리트댐 대신 통나무나 전석 등으로 설계한 댐을 설치하여 주변과도 조화로운 자연 친화형댐이 늘고 있다. 또한 단순히 산사태와 홍수만을 막는 단순한 사방댐이 아닌 다목적 사방사업을 추진함으로 산사태 등의 피해만 막아주는 댐이 아닌 물놀이를 할 수 있는 물놀이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90년대 이후 자연재해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방 사업을 실시했다. 이렇게 설치된 사방댐들은 2005년 태풍 나비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 2012년 태풍 산바로부터 약 8700명을 보호하는 등 많은 재해 방지 효과를 보여주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는 현재, 많은 기상이변들이 일어나고 이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면서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들이 고안되고 있다. 그러나 사방댐은 하류로 내려가는 토석류를 방지해주며, 산사태와 홍수의 피해를 줄여주는 등 재해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기 때문에 매년 사방댐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는 사방사업을 실시하는 방법도 있지만, 산사태 위험 지역을 알고 조심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산사태정보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하면, 현재의 산사태 예보발령 지역, 산사태 시 행동 요령, 산사태 예측 정보와 많은 산사태 통계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방사업의 종류와 효과 등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나와 있다. 산사태의 인명 피해를 줄이려면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산사태에 대해 알고 예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3기 윤혜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615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9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7152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090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6605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377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2925
청소년들을 좌지우지 할 대선 후보들의 교육정책 3 file 2017.05.07 김서영 11094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3651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8301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7081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091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4335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4643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13781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2807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0522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1674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139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3840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1883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2818
청소년 투표권,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12 file 2017.01.17 신호진 37139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6418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0490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2398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1425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29868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3017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074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8921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327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140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3220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030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19319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5504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586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116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1743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309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232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070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248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1915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283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7025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728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352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022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4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