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by 12기정은재기자 posted Sep 25, 2019 Views 89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90923_21574197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2기 정은재기자]


OCN이 최근 유력 용의자가 밝혀진 '화성 연쇄살인 사건'을 다룬 영화 '살인의 추억'을 긴급 편성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사상 최악의 장기 미제 사건으로 꼽히는 '화성 연쇄살인 사건'의 용의자인 이춘재를 검거하였다는 소식을 2019년 9월 18일 채널A가 단독으로 보도했다. 이후 하루 뒤인 19일, CJ ENM의 영화 전문 채널인 OCN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원래 방송 예정이던 영화 '곡성'에서 화성 연쇄살인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한 영화 '살인의 추억'으로 목요일 방송 편성 변경되었음을 안내했다. 이에 누리꾼들은 OCN에 비판을 멈추지 않았다. 그들은 왜, 무슨 근거로 OCN의 편성 변경을 비판하는 것일까?


-피해자를 향한 2차 가해

한 누리꾼은 '유가족이 고통받고 있고, 실존하는 피해자가 있는 사건'이라며 '한낱 시청률을 위해 범죄자가 비로소 특정된 이 타이밍에 방영할 영화가 아니다.', '편성을 재고하여야 한다.'라는 멘션(OCN의 트윗에 답변하는 글)을 남겼다. 정슬아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사무국장 역시 PD저널과의 통화에서 "과거 <살인의 추억>을 비롯해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들이 해결에 실마리가 되거나 사회적으로 사건 해결의 필요성을 알리는 분위기 환기를 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다"면서도 "다만 용의자가 막 특정된 현시점에서 <살인의 추억>을 편성했다는 것은 고통받은 피해자들을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고 OCN의 편성 변경을 지적했다. 화제성과 시청률을 위해 실제 피해자가 있는 사건을 단순 상업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도의적으로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살인의 추억'의 제작 목적과 상반되는 방영 의도

영화 제작 당시 봉준호 감독은 화성 연쇄살인 사건으로 영화를 제작한 것에 대해 "사람들이 모든 일을 너무 쉽게 잊어버리는 게 안타깝다", "제목의 '추억'이라는 단어 역시 범행의 미화가 아닌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응징의 시작임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며 그의 영화가 장기 미제 사건을 잊지 말자는 의미를 담은 것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와 대비되게 상업적인 이득을 위한 용도로 영화 방영을 결정한 OCN의 행동에 누리꾼들이 분노한 것으로 보인다.


많은 누리꾼의 비판과 전문가들의 만류에도 불구, OCN은 결국 '살인의 추억' 방송을 강행했다. 이에 누리꾼들은 OCN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일부에서는 채널 불매 운동까지 벌이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2기 정은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정예람기자 2019.10.04 10:32
    OCN이 조금 더 생각하고 행동했어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못했군요 다른 사람을 생각하는 습관 기르지 못한 참사라고 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5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09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460
공공의대 설립, 정부와 의사 간의 팽팽한 논쟁, 그 승자는? file 2020.09.21 김가은 12426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7602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7800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9257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2908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9556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7485
“저도 학교 가고 싶어요”… 끝이 보이지 않는 원격 수업의 연장선 3 file 2020.09.07 이지민 11225
게놈, 코로나19를 종식시킬 수 있는 키 file 2020.09.07 김정원 7349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7756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1937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6913
시위 확산된 벨라루스... 정부와 시위대의 줄다리기 file 2020.09.03 박재훈 7355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7729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134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스타벅스도 비껴가지 못했다 file 2020.09.03 윤지영 7331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file 2020.09.03 나은지 8041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7411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7877
수도권 고3 제외한 유, 초, 중, 고 원격 수업 file 2020.09.01 박정은 7437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7912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7684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8556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7903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7898
전 세계에 창궐해있는 코로나19, 그 이후의 세계는? 2 2020.08.31 유서연 9603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7868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7642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7866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210
75주년 광복절 & 태평양 전쟁 패전 75주년 1 file 2020.08.27 차예원 8433
저버린 이성, 다시 확산된 코로나 2020.08.26 박성현 7245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043
코로나19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file 2020.08.25 이하은 9115
방역 갈림길에 선 대한민국, 코로나 환자 급증 file 2020.08.25 오준석 8231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4511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7769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8452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074
<정치와 법> 교과서로 알아보는 미래통합당의 21대 총선 패배 이유 file 2020.08.25 남우현 9630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182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8037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8874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643
난민 문제, 과연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file 2020.08.24 이수연 9750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064
전국에 내려진 폭염경보, 건강관리는 어떻게? 2020.08.24 윤소연 8212
물티슈 한 장에 지구가 신음하는 소리를 들었다 file 2020.08.24 이예빈 89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