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작은 키가 어때서? 나는 작아서 좋아요!

by 11기김민경기자 posted Jul 18, 2019 Views 177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청소년들 사이에서 현존하는 남녀노소, 시대를 불문한 절대불변의 고민거리 중 하나가 무엇인 줄 아는가? 그것은 바로 문제이다. “난 딱 너만큼만 컸으면 좋겠다.”, “난 한약도 먹고 줄넘기도 열심히 하는데 왜 키가 작은 거야.” 등 키에 관한 한탄이 우리 주변에서 적지 않게 들려온다. 그만큼 많은 대중들이 가지고 있는 고민거리가 아닐까? 대한민국 평균 남성의 키는 2016 8월 기준 173.5cm101개국 중 46위이며 여성의 키는 161.1cm103개국 중 46위이다


  키1-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민경기자]


분명 자신의 키가 평균 키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한탄을 하는 단신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어떨까? 지금부터 단신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자.

 

1) 귀엽다.

키 작은 사람이 귀여운 것은 사회적인 통념이다. 물론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장신이 귀여운 경우도 허다하다. 연예인 강호동은 182cm의 거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주체할 수 없는 귀여움이 그 예가 된다. 하지만 아담한 체구는 귀여움을 증폭시킨다.


  키2-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민경기자]


2) 림보에 용이하다.

모두가 굽어가는 림보 경계 아래서 두 목 꼿꼿이 당당하게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리스크만 적어지는 것뿐 단계가 심화될 때 통과할 수 있는가는 자신의 유연성에 달려있다.


  키3-1.jpg

[이미지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민경기자]


3) 이불이 가로든 세로든 상관없다.

이불은 세로가 좀 더 길다. 그리고 사람들은 자기 전 가로 세로를 맞춰 놓고 잔다. 하지만 키 작은 단신들은 그렇지 않아도 된다! 세로든 가로든 길이에 상관없이 다리가 짧기 때문이다.


  키4-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민경기자]


4) 햇빛을 피하기 쉽다.

키 큰 친구 뒤에 생기는 그림자에 그야말로 안성맞춤이다. 요즘 같은 더운 날 키 큰 친구 뒤에서 이색 피서를 즐겨보는 건 어떨까?


 키5-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민경기자]


이처럼 키가 작아도 좋은 점은 많다. 오히려 장신 중에서는 단신을 원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사람들은 개개인의 콤플렉스를 가지고 산다. 지금 시점, 대중매체와 인터넷의 발달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개성시대에 는 그저 나의 수많은 개성 중 하나일 뿐이다. 이러한 자신의 개성에서 좋은 점을 찾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바른 자아존중감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1기 김민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736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497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4724
두 마리 토끼 잡는 에너지 충전소 file 2017.02.28 최지민 16259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8683
연세대, 제 7회 KSCY 성공적인 개최 6 file 2017.02.28 최서진 13783
비트코인, 편리함 뒤에 가려진 진실 1 file 2017.02.28 이수빈 14882
여행에 빠지다. 일본 1 file 2017.02.28 이다봄 16064
환경운동연합 <350 캠페인> file 2017.02.28 양정윤 16090
크라우드 펀딩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다 file 2017.02.28 정세호 19356
'첨성대·동궁과 월지' 등 경주 문화유적지,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 file 2017.02.28 박지홍 23888
다양한 분야의 원서로 즐거운 영어 학습이 가능한 곳 ! ' 영어특성화도서관 '을 아시나요? file 2017.02.28 김채원 16921
2017 경향하우징페어 In 킨텍스 file 2017.02.27 장지민 14221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2017.02.27 임촌 13627
영화, 부천시 소향관에서 무료로 보세요. 1 file 2017.02.27 어지원 15414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을 통해 본 한국 쇼트트랙의 성과와 과제 file 2017.02.27 김혜리 14847
MBN Y 포럼, 여러분은 아직 ‘~ing'입니다. file 2017.02.27 김현재 13592
즐라탄, 맨유를 EFL컵 정상에 올려놓다 file 2017.02.27 최민규 14458
성추문의 케이시 애플렉, 우리는 그저 그를 축하해야 하는가? 1 file 2017.02.27 한지나 15066
딸기와 함께 봄의 입구를 걷다! file 2017.02.27 전예인 13277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가 1 file 2017.02.27 박혜민 16180
논란과 화제의 중심. Mnet '고등래퍼' 4 file 2017.02.27 최진혜 24684
살기 좋은 과천의 기자단, 과천시 소셜시민기자단 간담회 file 2017.02.27 이연진 13637
[MBN Y FORUM 2017] 우리의 사전에 더 이상 '불가능'이란 없어졌다. file 2017.02.27 김민준 13239
드림스프링스, 청소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1 file 2017.02.27 김보경 546783
근현대 민족의 수난과 아픔을... 서대문형무소역사관 9 file 2017.02.26 이동준 14310
희망을 파는 그들, 꿈다리 컴퍼니. 4 file 2017.02.26 박환희 17276
임기자의 매3문: NCT DREAM 의 마지막 첫사랑 뮤직비디오 논란 4 file 2017.02.26 임정연 15555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로봇공학자, 한재권 교수를 만나다. 1 2017.02.26 정보경 20238
질보단 양으로, Give and Take 식 청소년의 생일문화 6 file 2017.02.26 전은서 13740
온종합병원과 필리핀 소년의 아름다운 콜라보 4 file 2017.02.26 김수진 13213
단 두 권으로 과학상식의 질을 높일 수 있다. 5 file 2017.02.26 이주형 13772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공개 코앞으로 다가와...너무 많은 브라우저, 어떤게 좋을까? 2 file 2017.02.26 윤혁종 19101
C++과 게임개발의 밀접한 관계 C++ Korea와 함께하는 제3회 마이크로소프트 멜팅팟 세미나 4 file 2017.02.26 하민준 19427
'선행돌' 비원에이포(B1A4)가 이끌어가는 바람직한 팬덤문화 2 file 2017.02.26 이지원 16325
서울대학교와 함께하는 공학도의 꿈, 공(工)드림 캠프 2 file 2017.02.26 최승연 14881
일본 애니메이션 사자에 상에 나타난 여성차별 3 file 2017.02.26 김민경 27458
외계인과의 소통, '컨택트'의 물리학적 해석 6 file 2017.02.26 유승민 18447
말라리아 잡는 종이 원심분리기, 페이퍼퓨즈 4 file 2017.02.25 강단비 28992
"오로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독식 없는 시상식, '가온차트' 1 file 2017.02.25 황새연 13386
랜덤채팅, 채팅 앱 속 유흥업소 5 file 2017.02.25 박유은 24132
100m 안에만 3군데… 그 이유는? 9 file 2017.02.25 정세은 15289
삼봉 정도전, 그의 탁월한 안목 1 file 2017.02.25 천예원 13591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시민들과 소통하는 방법 - 재판 방청 프로그램 2 2017.02.25 최다영 15716
글로벌 리더의 시작, 고려대학교 주최 모의 유엔 대회 KMUN 열려 2 file 2017.02.25 김성미 14772
[MBN Y 포럼] 꿈을 꾸는 청년들이여, 불가능을 즐겨라! file 2017.02.25 김다빈 13577
제 1회 한국 국제 기억력 스포츠 대회 3 file 2017.02.25 박마리 14306
인천어린이과학관, 바이러스 특별전 개최 1 file 2017.02.25 남지민 16853
해킹머신시대 해킹으로 막아야 2 file 2017.02.25 박세정 17019
수원 화성에 사용된 과학기술 file 2017.02.25 장민경 33084
(현장취재) National Assembly 알고보면 국민에게 가까운, 대한민국 국회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17.02.25 박재범 150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