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by 10기이서준기자 posted Jun 21, 2019 Views 1616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69일 홍콩시민의 1/7인 약 100만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그들은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을 정부에서 추진하는 것에 대한 반대를 표현하기 위해 시위를 하였다. 이 시위의 시초는 지난 331일에 홍콩시민 만 2천명이 모여 루어드 로에서 시민광장까지 행진하면서 범죄인 이 본토로 인도되면 홍콩은 어두운 감옥이 된다고 악법제정을 그만두라고 촉구하였다. 그럼 범죄인 인도법이 무엇이길래 약 80일간 시위를 하는 것일까?

1906.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이서준기자]

범죄인 인도법은 홍콩 정부가 중국 등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범죄인들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 법을 반대하는 이유는 대만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이 직접적인 계기이다. 대만에서 홍콩남자가 자신의 여자친구를 살해하고 홍콩으로 도망왔다. 대만은 이 용의자를 대만으로 인도하라는 요청을 하였다. 그러나 홍콩은 대만과 범죄인 인도조약을 체결하지 않았고 속지주의 적용하는 홍콩 법상 범인을 사형시킬 수 없었다.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으로 범죄자를 쉽게 송환시킬 수 있도록 법을 제정한다. 국민들은 중국으로 송치되기 쉽도록 쓰여질 것이라며 불만을 표시하였다. 홍콩은 1997년 자치권을 획득한 이후 중국 정부가 부정한 정치 탄압으로 홍콩의 반중인사, 인권운동가들이 중국 본토로 송환 당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중국을 범죄인 송환국에서 철저히 배제시켜 왔으나 이번 사건으로 홍콩은 중국에 용의자를 넘겨줄 수 있게 된다

시민들은 과거 홍콩 입법회의 민주당파 정치인을 중국 공산당에서 납치해가서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고문당한 사건을 다시 회상하며 시진핑과 같은 중국 공산당의 정치인들을 욕하면 중국에 송환 당할 것을 두려워한다. 그리고 현재 홍콩 정부는 친중파인 보수당이 정권을 잡고 있어 평화로운 시위를 폭력시위로 여겨 경찰을 25만명을 대기시키고 이 법안을 개정을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시민들은 위 법안을 완전 철회, 캐리 람 행정장관 사퇴, 홍콩 입법회의 보통선거와 평등선거, 중국 공산당의 개입없는 행정장관 순수 직선제와 중국 공산당이 홍콩을 간섭하지 말라고 주장한다

현제 시위는 주체 측에서는 100만을 넘은 200만정도가 되었다고 하며 홍콩 행정장관도 시민들에게 공개적인 사과를 하고 범죄인 인도법도 잠정중단 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0기 이서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62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25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495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217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9002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정우 美 송환 불허한 법원, 가라앉지 않는 비난 여론 2 file 2020.07.22 김수연 10532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316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7780
'이천 수간 사건' 국민청원 게시 file 2019.05.27 허서인 12310
'임금 체불 의혹' 웨이브에이전시 송모 사장, 보조 출연자들에 폭언 일삼아 file 2023.11.05 김진원 5158
'있어빌리티'는 이제 그만 file 2019.05.07 신아림 14111
'잊혀질까 봐, 흔적도 없이 사라질까 봐...' 나비의 1219번째 날갯짓 10 file 2016.02.24 김민지 21213
'자발적인 청소년 정책 참여의 첫걸음' 제 1회 청소년정책학술회, 성공리에 개최 그러나 10 file 2016.02.14 박가영 18014
'자율주행 자동차' 무인화 시대 다가오다 file 2019.02.28 이승민 11512
'장미대선'을 앞둔 안철수의 교육정책,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다 file 2017.03.22 홍정민 17889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0817
'전 국민 고용보험시대'의 시작 file 2020.05.26 박병성 8065
'전안법' 시행, 누구를 위한 법인가? 7 file 2017.01.25 김연우 18274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062
'정당한 권리'라는 빛에 가려진 '주어진 권리를 성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라는 그림자 3 file 2017.02.17 이우철 15706
'정준영 사건' 2차 가해, 당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 file 2019.03.25 전유진 12853
'제2의 조두순'사건에 분노하는 국민들..아동 성범죄 처벌 강화해야.. 6 file 2018.01.10 이정은 12709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329
'존댓말 없는 사회' 실험...어린이가 성인에 반말하는 봉사활동에 가다 file 2023.11.08 조혜영 4862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이제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1 file 2018.03.02 이단규 11496
'촛불 vs 태극기' 정월 대보름의 탄핵찬반집회 1 file 2017.02.13 김태헌 24743
'촛불'이 일궈낸 대선, 대선이 일궈낼 더 나은 대한민국 4 file 2017.05.07 김유진 10275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303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7660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000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8834
'투'덜대지 말고, '표'현하세요. 6 file 2017.05.05 이주은 10927
'트럼프 대학' 소송 2500만 달러로 서둘러 종결 1 file 2016.11.22 백재원 17541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618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2275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1 file 2018.08.07 이선철 10924
'표현의 자유'의 정당성에 관하여 13 file 2016.02.19 김지현 18099
'하얀 계란' 아직 생소하신가요? 14 file 2017.01.25 정수아 29515
'학교폭력 의혹' 서수진, 연예계 문 다시 두드린다 file 2023.10.21 이가빈 5017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028
'학원 집 학원 집...'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file 2018.11.22 박서현 11737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332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333
'행정구역 쪼개기'로 불편함 겪는 위례신도시 하남 주민들 file 2016.05.25 최민지 17460
'호남 민심 잡기' 나선 야당 주자 문재인 4 file 2017.01.22 김다현 17325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16145
'회복되는 남북관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 2018.04.04 마준서 9599
100만원짜리 콘서트 5 file 2016.03.25 장채연 16383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472
1020 정치참여, '젊은 정치' 가능할까? 10 file 2017.02.11 최은지 27870
10년 만에 다시 재조명된 ‘장자연 사건’...청와대 국민청원 3위 기록 1 file 2019.04.05 안서경 130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