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by 11기김가희기자 posted Jun 17, 2019 Views 2018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물론이고, 바다에 버린 쓰레기 때문에 죽은 고래의 사체에서 비닐 무더기가 나오기도 하고 거북이의 콧구멍에 빨대가 꽂힌 사진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런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미 쓰레기가 발생하였다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바로 '업사이클링'이다. 업사이클링이란 'upgrade'와 'recycle'의 합성어로 버려진 자원이나 쓸모없는 제품을 더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최근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과 자신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업사이클링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스위스 회사 '프라이탁'이 만드는 가방으로 이 가방은 버려진 트럭 방수 천을 이용해 만들었다.


 그렇다면 업사이클링에 대해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이를 알기 위해 2018년 11월 5일 월요일부터 11월 9일 금요일까지 2018년 기준 S고 1, 2학년 재학생 92명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학년은 54명, 2학년은 38명이 조사에 응해주었다.


그래프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가희기자]


 업사이클링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들어봤다는 대답이 31%, 들어보지 않았다는 대답이 68%로 들어봤다는 대답이 반을 넘지 못하였다.


그래프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가희기자]


 업사이클링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냐는 질문에 있다는 대답이 7%, 없다는 대답이 35%, 업사이클링 제품을 본 적이 없다는 대답이 56%로 반이 넘었다. 업사이클링의 제품을 구매한 사람의 구매 이유는 "환경을 위한다는 취지가 좋아서"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그 외에 "제품의 디자인이 예뻐서"는 2%, "필요한 물건이라", "아이디어가 신선해서"는 각각 1%가 응답하였다. 업사이클링 제품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업사이클링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이다. 그 외에 "별로 필요하지 않은 물건이라"가 5%, "제품의 디자인이 별로여서", "가격이 비싸서"에 각각 2%가 응답하였다.


그래프3.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가희기자]


 "업사이클링에 대한 홍보가 잘 이루어지고 있냐"는 질문에 부정적인 응답이 총 83%나 된다. 그 외에 긍정적인 응답은 2%, "보통이다"의 응답자는 1%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청소년 주위에서 업사이클링에 대해 접할 기회가 많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업사이클링과 관련된 행사나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1기 김가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168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935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2535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8638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8443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401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7911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361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668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13991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9573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394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9868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169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7902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008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3683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9698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510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9456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5096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433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079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148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007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15876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4433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5951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9886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9493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0820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352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0729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29443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226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3584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175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5755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2100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0622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0812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152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265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2921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9853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1707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029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394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9664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377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2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