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by 11기최예주기자 posted Jun 07, 2019 Views 1039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다뉴브강은  독일 남부에서 시작하여 루마니아 동쪽 해안을 통해 흑해로 흘러가는 길이 2,860km의 강으로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다뉴브라는 명칭은 영어식 명칭이며 독일어로는 '도나우(Donau)', 헝가리어로는 '두너강(Duna)'라고 부른다. 다뉴브강은 독일 남부의 브레게강과 브리가흐강이 합류하면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흘러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대평원을 지나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에 이른다. 다뉴브 강가에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헝가리의 국회의사당이 자리 잡고 있다. 역대 통치자 88명의 동상과 1년 365일을 상징하는 첨탑이 있는데 이를 바라보는 야경이 대단히 아름다워 부다페스트 관광객들에게는 야간 유람선을 타고 국회의사당과 다뉴브강의 경치를 감상하는 투어가 필수코스로 여겨졌다.


다뉴브.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최예주기자]


지난 5월 29일, 국내의 한 여행사를 통해 부다페스트 여행을 떠난 관광객들이 야간 유람선을 타고 관광을 하던 중 유람선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국인 관광객들 태운 소형 유람선 허블레아니는 현지 시각으로 29일 밤 9시 5분(한국 시각 30일 오전 4시 5분)께 대형 크루즈선 바이킹 시귄에 추돌한 뒤 7초 만에 침몰했고 이 사고로 최소 7명의 한국인 사망자와 19명의 실종자가 발생했다. 현지인들은 다뉴브강을 가로지르는 마가레트 다리에 촛불을 켜고 조화를 올려놓는 등 애도를 표하고 있으며 부다페스트 가톨릭 교회수장인 페테르 에르되 추기경은 위로 서한을 보내왔다.


이번 사고는 여행을 떠났다가 배가 침몰해 사고가 난 점, 폭우로 인해 강물이 불어 유속이 빨라져 위험이 예상되었음에도 운행을 강행한 점, 70년이나 된 낡은 배를 점검조치 없이 운행해 온 점, 구명조끼조차 마련되지 않아 인명사고 예방을 하지 못한 점등 지난 세월호 사고와 겹쳐 더욱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사고 소식 이후 유람선 침몰 사고 대응을 위해 헝가리로 떠났으며 헝가리 외교부 장관과 사고 현장을 둘러보고 수색 진행 과정과 파견된 대응팀 활동을 점검했다.


헝가리 법원은 유람선 추돌 크루즈 선장 구속 영장을 발부하고 헝가리 경찰 역시 사고조사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반복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선장의 과실이나 기상변화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는 데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대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1기 최예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524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222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5481
위안부 수요 집회, 자유와 평화를 향해 외치다 2 2017.08.29 황유선 23664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648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585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537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529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504
태극기 휘날리면 촛불은 꺼진다? 2 file 2017.03.04 김재정 23434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370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327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281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268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229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207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197
페미니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file 2017.02.24 유승균 23189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126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116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075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062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3043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033
교육청의 과실? 언론사의 오보? 그 진실이 궁금하다. 2 file 2017.02.09 서경서 22995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2957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2922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2890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2872
편의점, 의약품 판매의 아이러니 9 file 2016.02.24 유승균 22864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2858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2837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2759
의료 서비스의 특징이자 맹점, 공급자 유인 수요 file 2018.11.22 허재영 22678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2678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669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605
‘하기스 퓨어 물티슈’ 등 10개 제품, 메탄올 기준치 초과.. 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 13 file 2017.01.16 김해온 22602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597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555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553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529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520
과자 포장속 빈공간 비율이 약 83%? 과대포장 문제가 심각하다! 7 file 2016.05.29 신수빈 22514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490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486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474
해군, ‘아덴만 여명작전’ 6주년 기념식 열어 6 file 2017.01.24 김혜진 22455
비어있는 임산부 배려석 찾기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6 file 2017.02.25 박유진 22439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374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3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