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by 11기최예주기자 posted Jun 07, 2019 Views 101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다뉴브강은  독일 남부에서 시작하여 루마니아 동쪽 해안을 통해 흑해로 흘러가는 길이 2,860km의 강으로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다뉴브라는 명칭은 영어식 명칭이며 독일어로는 '도나우(Donau)', 헝가리어로는 '두너강(Duna)'라고 부른다. 다뉴브강은 독일 남부의 브레게강과 브리가흐강이 합류하면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흘러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대평원을 지나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에 이른다. 다뉴브 강가에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헝가리의 국회의사당이 자리 잡고 있다. 역대 통치자 88명의 동상과 1년 365일을 상징하는 첨탑이 있는데 이를 바라보는 야경이 대단히 아름다워 부다페스트 관광객들에게는 야간 유람선을 타고 국회의사당과 다뉴브강의 경치를 감상하는 투어가 필수코스로 여겨졌다.


다뉴브.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최예주기자]


지난 5월 29일, 국내의 한 여행사를 통해 부다페스트 여행을 떠난 관광객들이 야간 유람선을 타고 관광을 하던 중 유람선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국인 관광객들 태운 소형 유람선 허블레아니는 현지 시각으로 29일 밤 9시 5분(한국 시각 30일 오전 4시 5분)께 대형 크루즈선 바이킹 시귄에 추돌한 뒤 7초 만에 침몰했고 이 사고로 최소 7명의 한국인 사망자와 19명의 실종자가 발생했다. 현지인들은 다뉴브강을 가로지르는 마가레트 다리에 촛불을 켜고 조화를 올려놓는 등 애도를 표하고 있으며 부다페스트 가톨릭 교회수장인 페테르 에르되 추기경은 위로 서한을 보내왔다.


이번 사고는 여행을 떠났다가 배가 침몰해 사고가 난 점, 폭우로 인해 강물이 불어 유속이 빨라져 위험이 예상되었음에도 운행을 강행한 점, 70년이나 된 낡은 배를 점검조치 없이 운행해 온 점, 구명조끼조차 마련되지 않아 인명사고 예방을 하지 못한 점등 지난 세월호 사고와 겹쳐 더욱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사고 소식 이후 유람선 침몰 사고 대응을 위해 헝가리로 떠났으며 헝가리 외교부 장관과 사고 현장을 둘러보고 수색 진행 과정과 파견된 대응팀 활동을 점검했다.


헝가리 법원은 유람선 추돌 크루즈 선장 구속 영장을 발부하고 헝가리 경찰 역시 사고조사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반복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선장의 과실이나 기상변화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는 데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대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1기 최예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89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39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736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075
12년의 결실, 대학수학능력시험 2 file 2016.11.25 최시헌 18068
올랜도의 충격 1 file 2016.06.16 조은아 18066
'표현의 자유'의 정당성에 관하여 13 file 2016.02.19 김지현 18058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8043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8038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027
'자발적인 청소년 정책 참여의 첫걸음' 제 1회 청소년정책학술회, 성공리에 개최 그러나 10 file 2016.02.14 박가영 17978
트럼프 反이민 행정명령, 등 돌리는 사람들 file 2017.02.07 권윤주 17971
일본 수출 규제와 한국의 불매운동 5 2019.07.19 양지훈 17966
돈 없이도 가능한 해커 : 피해 급증하는 랜섬웨어 1 file 2017.02.13 김지환 17942
청학고 새월호 참사 2주기 추모행사 3 file 2016.04.23 문채하 17931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7916
관광객 인기 일본의 APA 호텔, 위안부 부정 극우 서적 비치 논란 3 file 2017.01.20 정유리 17889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7834
북극해를 둘러싼 갈등 file 2018.07.30 김지은 17828
日 첫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 6 2016.02.26 송채연 17821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7818
"중국은 조금이라도 작아질 수 없다" 빅토리아,페이까지...대체 왜? file 2016.07.24 박소윤 17813
한파 속 뒤늦은 '포켓몬고' 출시…'안전 주의보' 4 file 2017.02.18 주용권 17812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7790
'장미대선'을 앞둔 안철수의 교육정책,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다 file 2017.03.22 홍정민 17780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7780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7762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3 2017.01.22 안유진 17758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7756
노점상, 생계를 위한 불법? 1 file 2016.03.24 김현승 17750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774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은 실현될 수 있을까? 1 file 2017.02.21 류명관 17741
코로나19 진단법, 정확히 알아보자! file 2020.03.30 김상규 17734
보이지 않는 공포 몰래카메라 3 file 2018.07.02 김영환 17734
주민들의 불청객이 되버린 관광버스 4 file 2016.03.20 김관영 17717
대한민국 국민... 광화문에서 대통합하다? 3 file 2016.11.25 김예지 17716
4월13일 총선에 대해 알아보자. 5 file 2016.04.10 천주연 17711
볼펜도 만드는 중국... 위협적인 존재? 6 file 2017.01.25 김희수 17709
불법주차 개선위한 대책마련 시급 1 file 2016.11.17 김지현 17698
日 "독도는 일본땅, 평창올림픽 홈페이지에서 독도 빼라." …또 만행 4 2017.01.25 이승민 17695
끝나지 않은 위안부 문제, 시민들이 바라는 해결책은? 11 file 2016.02.21 김미래 17674
언론출판의 자유 2 file 2016.11.03 유승균 17667
"문법 어긴 안내 문구, 싫어요!" 2017.11.30 한윤정 17661
할머님, 저희랑 함께해요! file 2017.11.30 안옥주 17658
인공 조명을 통한 광합성 file 2018.07.10 이승민 17650
정말 물가는 내렸을까? 우리가 몰랐던 비밀 file 2019.03.04 김의성 17646
[종합] 광화문광장, 100만 촛불 들어서다 file 2016.11.12 이지원 17643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17610
유엔, 미얀마 정부에 '인권 청소'를 즉시 중단할 것을 명해... 2 file 2017.02.13 김채원 17586
남북한 정치 차이 과연? 2019.03.27 최가원 17572
[이달의 세계인] 알파고의 아버지, 데미스 하사비스. 그는 누구인가? 12 file 2016.03.23 정가영 175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