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중국의 일대일로, 그들의 야망이 드러나다

by 11기김도윤기자A posted Jun 03, 2019 Views 87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EA460A8B-EFDE-4771-8C89-D82C77DBB11B.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도윤기자]


 전 세계 패권을 두고 미국과 다투고 있는 중국, 그들이 진행하고 있는 일명 일대일로라는 사업이 점점 거대해지며 유럽까지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일대일로란, 중국 주도의 ()실크로드 전략 구상으로, 내륙과 해상의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지칭한다. 35년간(20142049) 고대 동서양의 교통로인 현대판 실크로드를 다시 구축해, 중국과 주변국의 경제무역 합작 확대의 길을 연다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의미하기도 한다.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은 지난달 유럽을 순방하며 이탈리아에 항구 4개를 내어주는 것을 조건으로 외자를 주는 등의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프랑스에 방문해 에어버스 300대를 구매하겠다는 등 자금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또한 얼마 전, 아랍국가에도 일대일로에 관한 제안을 하는 등 그 세력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일대일로를 중국에서 한국에 압박을 가하고 있는데, 최근 중국이 제안한 것은 한중터널이다. 한중터널은 중국의 산둥반도와 한국의 인천항 또는 수도권을 연결하자는 대규모 사업으로, 이것이 성사된다면 한국은 중국 실크로드의 시작점이자 종착점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총 길이만 300km가 넘는 규모의 해저터널을 건설하는 것으로, 기술적으론 가능하나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지금까지 중국과 일대일로를 진행한 여러 나라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스리랑카의 경우 국가의 경제가 파탄이나 중국에 99년간 항구를 무료로 빌려주는 등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


 만약 중국의 제안에 동의하고, 여러 가지 난관을 헤쳐나간다 해도 결국 미국이 이를 반대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가 진행되는 것을 매우 꺼려하기에 계속해서 유럽에 압박을 가하고 있으며, 한미동맹을 맺고 있는 우리나라에 가해지는 그들의 압박은 깊게 생각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그러나 중국의 제안을 미국에 맞춰 거절한다면 전과 같은 사드보복이 발생할 우려가 크기에, 두 강대국 사이에서 진퇴양난의 위기에 처한 한국의 대처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1기 김도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09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03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215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102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310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764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38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695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545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0913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442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554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417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380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663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721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905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2980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097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769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0885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304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70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29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59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939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828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052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38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921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091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487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904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905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475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011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135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647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742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0939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290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0947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152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7786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461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158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162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4903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2974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179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5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