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by 10기배연비기자 posted May 27, 2019 Views 243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정신적인 고통, 사라진 희망과 같은 절박한 현실로 인하여 사람들은 종종 죽음의 길을 택한다. 이와 같은 요즘 시대의 상황엔 안락사(euthanasia), 일명 '아름다운 죽음'의 허용 여부에 관한 토론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안락사에 대한 찬성 측에서는 무의미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고, 반대하는 사람들 사이에선 인간의 존엄성 훼손에 대한 문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안락사 찬성 여부에 관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서울 신문에서 올해 2월 13~14일에 진행된 여론 조사 결과 80.7%는 안락사 제도 도입을 찬성했고 실제로 18명이 한국에서 스위스 기관에서 안락사를 신청했다. 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이고 한국에선 안락사를 찬성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dea361a8ececf39f51e4de6fdd90dc09.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배연비기자]


반면 4월 23일 27년간 코마 상태로 있던 UAE(아랍에미리트) 여성 무니라 압둘라가 연명치료를 지속적으로 받다가 코마 상태에서 깨어나게 된 사건이 있었다. 이 여성은 자신이 타고 있던 승용차와 버스의 충돌에서 자신의 아들을 구하고 뇌에 손상을 입어 식물인간 판정을 받게 되었다. 그 후 아들은 무니라 압둘라를 포기하지 않고 치료를 해주었는데 여성은 자신의 아들과 주치의의 다툼 소리에 일어났다고 한다. 여성의 첫마디는 아들의 이름인 "오마르"였다. 많은 네티즌은 정말 감동적이라는 견해를 표현했다. 이 사건은 국제적으로 사람들이 연명치료와 안락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7688528396d310d5c286159807ee0cf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배연비기자]


소극적 안락사를 허용하는 국가로는 스위스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프랑스, 캐나다, 미국, 콜롬비아 등의 국가가 있고 적극적 안락사를 허용하는 국가로는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프랑스, 캐나다, 콜롬비아와 미국 몇 개 주가 있다. 


안락사의 허용 여부는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에서 수년간 끊임없이 토론됐던 주제이다. 그만큼 우리는 우리가 지금 안락사에 대해 내리는 결정이 얼마나 중대한 것인지 알 필요가 있다. 섣불리 결정을 내리기 전, 현재 안락사를 허용하는 국가들이 얼마나 선진 되어 있는 환경에서 허용하는지, 환자의 의사는 충분히 반영되고 있는지의 사안을 모두 고려해봐야 한다. 또한, 안락사를 원하는 사람들이 한국에서 금지를 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곳에서 안락사를 받을 수도 있고 더욱 극단적인 죽음을 선택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우리는 지금 최고의 결정을 내리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0기 배연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132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75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101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6544
엑소 콘서트 티켓팅, 과한 열기로 사기 속출 19 file 2016.02.25 김민정 20611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8 file 2016.02.25 한서경 16555
日 첫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 6 2016.02.26 송채연 17829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029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4695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8762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에서 진행 5 file 2016.02.27 황지연 16488
[취재&인터뷰] 청소년, 정부에 시위로 맞서다. 16 file 2016.02.28 3기박준수기자 17129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441
우리의 교과서에 '위안부'가 사라진다 18 2016.02.28 하지희 19359
스릴 넘치는 롤러코스터, 미국 대선 8 2016.02.29 송채연 33546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219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575
"함께 손잡고 정의를 되찾자" 삼일절 맞아 서울서 한일합의 무효집회 열려 6 file 2016.03.02 박채원 17420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8527
박근혜 대통령, 제48회 국가조찬기도회 참석 3 file 2016.03.07 구성모 15829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107
총선 투표율, 이대로 안녕한가? 3 file 2016.03.12 고건 17389
일본 「억지 독도의 날」 주장 범국민 규탄결의대회, 포항에서 열리다! 3 file 2016.03.12 권주홍 17540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3727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 2 file 2016.03.13 백승연 16145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1920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Alpa Go) 9 file 2016.03.13 서지민 18344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8317
국경일 태극기 게양실태가 심각하다 5 file 2016.03.17 신수빈 25562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245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보호, 무엇이 우선인가 3 file 2016.03.18 박가영 16998
여성가족부,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출범 4 file 2016.03.18 장태화 18152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333
외국어 간판이 ‘갑’, 쫓겨난 한글 간판 8 file 2016.03.19 반나경 38136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677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2454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5355
알아야 할 권리와 잊혀야 할 권리 3 file 2016.03.19 김영경 16934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4883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9235
주민들의 불청객이 되버린 관광버스 4 file 2016.03.20 김관영 17719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3 file 2016.03.20 정아영 44982
대한민국에 다시 돌아온 바둑 열풍 7 file 2016.03.20 유지혜 17346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272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7549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2873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4740
[이달의 세계인] 알파고의 아버지, 데미스 하사비스. 그는 누구인가? 12 file 2016.03.23 정가영 17552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075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3647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0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