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1세기 가장 성공한 밴드의 역사, 책 한 권에 담아내다

by 10기오동택기자 posted May 23, 2019 Views 198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영국에서 1963년 이후 비틀스가 탄생하면서 '브릿팝'이라는 하나의 음악 장르이자 문화가 만들어졌다. 그 이후로 작년, 우리나라에서 흥행을 이끈 '보헤미안 랩소디'의 주인공이었던 밴드 '퀸', 90년대 브릿팝을 대표했던 90년대 최고의 밴드 '오아시스' 등 많은 걸출한 밴드들이 노래의 판도를 이끌었다. 2000년대 이전 유명한 밴드였던 비틀스, 퀸, 라디오헤드, U2, 오아시스 등은 당시 전성기를 누리며 각자의 성공을 누렸다. 하지만 힙합, EDM 같은 다른 장르들이 인기를 끌면서 브릿팝의 인기는 식을 수밖에 없었다. 


 이때, 혜성처럼 등장한 '콜드플레이'는 가뭄이 들었던 브릿팝의 땅에 단비를 내려주었다. 1998년 영국의 대학 UCL에서 결성된 이 밴드는 피아니스트이자 보컬인 크리스 마틴, 기타리스트 조니 버클랜드, 베이시스트 가이 베리맨, 드러머인 윌 챔피언으로 이루어진 얼터너티브 록밴드이다. 이들은 1집의 'Yellow'를 시작으로 프랑스 혁명의 이야기를 담은 'Viva La Vida' 등 많은 히트곡을 만들어내면서 음악적, 상업적으로 성공한 밴드가 되었다. 1998년 결성된 이후 불화나 논란 없이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콜드플레이는 지난 2018년 10월 밴드의 역사를 담은 책을 출간했고 한국 번역본은 2019년 4월 9일에 출시되었다.


콜드플레이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오동택기자]


 제목은 <Life in technicolor- A celebration of coldplay> [저자 뎁스 와일드·맬컴 크로프트] 밴드의 20년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책이다. 밴드 결성 과정, 이전 밴드 이름이었던 '트롬 벨리즈', '스타피시'에서 현재의 '콜드플레이'로 오기까지의 여정이 잘 담겨있다. 우울함과 희망이 주요 정서였던 1집 'Parachutes'부터 기쁨과 긍정적인 에너지가 넘치는 7집 'A head full of dreams'의 노래들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에피소드들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런던의 작은 펍에서 20명 앞에서 공연부터 세계 각지의 스타디움에서 수만 명 앞에서 공연하기까지의 과정도 담겨있다. 자세히 보면, 밴드의 프론트맨인 크리스마틴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심리와 가치관을 보는 것도 이 책의 즐길거리 중 하나이다. 당시 멤버들의 생생한 증언을 들여다보면서 마치 밴드의 시작과 밴드의 현재를 함께 한 것 같은 기분까지 들게 한다. 


KakaoTalk_20190512_22193724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오동택기자]


 이 책은 단순히 밴드의 업적을 보여주려고 만들어지지 않았다. 콜드플레이는 좋은 노래뿐만 아니라 구성원들과의 끈끈한 우정으로 잘 알려져 있다. 멤버들의 첫 만남에서 시작해 잠깐 밴드의 구성원이 삐걱거렸던 일화, 다 같이 머리를 맞대고 노래를 만든 이야기, 그리고 현재의 멤버들의 우정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다. 20년 이상 함께해왔던 그들이기에 베이시스트인 가이는 친구, 가족 어쩌면 이상의 관계라고 말한다. 저자는 "콜드플레이의 의미는 오직 크리스, 조니, 가이, 윌을 의미한다."라는 말을 통해 이들의 끈끈한 팀워크와 우정을 말하고 있다. 밴드 멤버 외 매니저, 데뷔 때부터 함께 해온 악기와 장비 담당 직원, 밴드의 여러 지인들의 말도 들을 수 있어 그들의 인간적이고 따뜻한 면을 느낄 수 있다.


COLDPLAY.png

▲책의 목차, 시간 순서로 구성되었고 각 챕터 사이에 각 멤버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오동택기자] 


 콜드플레이 데뷔가 20년이 지난 이후 팬들은 이 책을 읽으며 밴드의 발자취를 따라갈 수 있다. 2017년 4월 내한 공연 이후 국내 팬들에게 '콘서트 후유증'을 준 콜드플레이는 이 책으로 한국 팬들을 달래준다. 나른한 오후에 콜드플레이의 노래를 들으며 이 책을 읽어보면 밴드와 함께 시간 여행을 한 느낌을 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0기 오동택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537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289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2745
폭력적인 언어에 노출된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6 이인애 25241
포항테크노파크, 어려운 지역사회에 도움 한스푼 file 2020.08.31 최은영 12986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7470
포항시 포은도서관 ‘Fun! Fun! 만화축제!’ 성료 file 2016.04.25 이유수 19278
포항 지진에 수능 연기…재난·재해 인한 연기는 처음 (2보) 2 file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5085
포포페스타서 열린 영등포사회복지관의 '아동 놀권리' 캠페인 file 2023.11.24 조혜영 6417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8200
포켓몬 고, 성공 비결은 캐릭터? 13 file 2017.02.11 장서연 17276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2640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7091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3921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3962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5653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0851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IT 기업의 재택근무 file 2020.11.26 류현우 13057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7356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5085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1320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4297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8008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5475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190
평화의 길을 달리다 'PEACE ROAD'의 출발 file 2017.08.21 윤묘출 13164
평택시 청소년들, 국제교류 자원봉사로 외국인과 소통하다 5 file 2017.10.20 황연희 15011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5749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8496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5932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4850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6664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5755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5856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6432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4645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5076
평창 올림픽의 꽃 자원봉사자 면접을 가보다! file 2017.03.19 김채현 14553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4442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6543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252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5735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5024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6712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5350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4527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5598
평생 늙지도 죽지도 않는 법, 텔로미어 file 2021.06.02 백우빈 16392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4635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7930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193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