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크라이나의 '개그맨' 출신 대통령

by 10기이서준기자 posted May 22, 2019 Views 134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520, 우크라이나 대선에서 정치 경험도 없는 코미디언 출신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우크라이나 드라마 <Servant of the People>에서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그 드라마에서 30대 고등학교 역사 교사가 정부의 부패를 비판하는 영상에 출연한다. 그 뒤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는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이다

fe52bda82547cb33a1d5a6e7ed7ec0fd.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사단 10기 이서준기자]


그는 2명의 후보와 경쟁하였는데 첫 번째 후보는 페트로 포로셴코이다. 2014년부터 나라를 이끈 대통령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 후보는 율리아 티모센코로 두 차례 전직 총리를 재임하였다. 젤렌스키는 드라마를 통해 시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그리고 기성 정치인과의 단절을 공약으로 걸고 부정부패 척결, 우크라이나의 재벌 집권층을 분해하겠다고 약속했다. 소속사 동료들은 3월 드라마의 이름과 같은 <Servant of the People> 정당을 만들어 젤렌스키를 도왔다


그가 출구조사에서 당선 확률 70%로 나타나자 전 대통령 페트로 포로셰코는 패배를 인정했다. 당선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최연소 대통령이 41세의 젤렌스키로 바뀌었다. 당선되자마자 지지자들에게 절대 여러분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겠다며 고마움을 표하였다. 그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우릴 통해 알 수 있다고 구소련의 모든 나라에 말하고 싶다"고 선언했다. 우리는 그를 통해 안 되는 일은 없으므로 절대 포기하지 않는 마음을 기르고 꾸준히 노력하는 태도를 갖고 살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젤렌스키는 당선이 확정되었고 531일 취임 예정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0기 이서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961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610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9355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308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50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910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050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852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686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047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601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730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563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513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824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881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116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139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221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973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061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465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816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478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74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04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997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193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880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056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251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633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03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076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633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183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303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832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923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124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432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121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306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7931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590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315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295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074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172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364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6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