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by 11기박수혁기자 posted May 22, 2019 Views 102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모니터2.jpg

▲리눅스 운영체제의 구동 모습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박수혁기자]


마이크로소프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친숙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리눅스 커널을 자사 운영체제인 윈도우에 탑재한다고 선언하였다. 리눅스는 핀란드의 개발자 리누스 토발즈가 최초로 개발을 시작한 무료 운영체제이며, 사물인터넷과 네트워크 기기의 운용부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구동시키는 데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지난주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행사에서 발표된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Windows Subsystem for Linux) 2.0 버전은 개발자들의 편의를 위해 리눅스 커널을 자체 탑재하였다. 커널은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여 기기를 구동시키는 데 가장 기초가 되는 요소이다. 이를 통해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반응시간 단축으로 인해 실제 개발에 소요되는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터미널 서비스도 공공에 공개하였다. 터미널은 글자로 명령을 입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인데, 기존 명령 입력기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윈도우 터미널은 탭 지원과 사용자 입맛에 맞는 테마 설정 기능 등을 추가하였고, 다양한 명령 해석 환경을 탑재하여 개발자들의 협업 능력을 강화시켰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구 행보와는 대비된다. 2001년에 마이크로소프트 CEO였던 스티브 발머는 "리눅스는 마치 암세포와 같이 지식재산권에 달라붙는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또한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을 지지해 오던 자유오픈소스 개발자들과도 빈번하게 충돌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행보에 대해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환영하는 입장이다. 윈도우 개발 플랫폼 관리자인 크레이크 로웬은 "이번 개선으로 인해 파일 집약적 작업의 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할 것이며, 최대 20배 이상의 속도 개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는 개발과 수정 및 배포가 자유로운 리눅스 운영체제 자체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서비스 형태로 전락할까 봐 우려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사용자만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편의 기능을 탑재한 점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기업은 모두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1기 박수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56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86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152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360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358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358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352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342
해외 거주 가족에게 마스크 묶음 배송이 가능해지다? 3 file 2020.04.09 이윤우 10338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332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328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322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318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317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0315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315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315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312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309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303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302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300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297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295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294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292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288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288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287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285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관련 청원, 국민청원 100만 돌파 file 2018.10.26 정아영 10284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0283
리벤지 포르노, 단순한 복수가 아닌 엄연한 범죄 file 2018.10.17 이채언 10282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276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275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275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275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270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269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0268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6 file 2018.02.23 신지선 10265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264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259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259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258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1 file 2017.09.04 김하늘 10258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10256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255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10254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254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