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by 11기박수혁기자 posted May 22, 2019 Views 105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모니터2.jpg

▲리눅스 운영체제의 구동 모습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박수혁기자]


마이크로소프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친숙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리눅스 커널을 자사 운영체제인 윈도우에 탑재한다고 선언하였다. 리눅스는 핀란드의 개발자 리누스 토발즈가 최초로 개발을 시작한 무료 운영체제이며, 사물인터넷과 네트워크 기기의 운용부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구동시키는 데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지난주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행사에서 발표된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Windows Subsystem for Linux) 2.0 버전은 개발자들의 편의를 위해 리눅스 커널을 자체 탑재하였다. 커널은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여 기기를 구동시키는 데 가장 기초가 되는 요소이다. 이를 통해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반응시간 단축으로 인해 실제 개발에 소요되는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터미널 서비스도 공공에 공개하였다. 터미널은 글자로 명령을 입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인데, 기존 명령 입력기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윈도우 터미널은 탭 지원과 사용자 입맛에 맞는 테마 설정 기능 등을 추가하였고, 다양한 명령 해석 환경을 탑재하여 개발자들의 협업 능력을 강화시켰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구 행보와는 대비된다. 2001년에 마이크로소프트 CEO였던 스티브 발머는 "리눅스는 마치 암세포와 같이 지식재산권에 달라붙는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또한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을 지지해 오던 자유오픈소스 개발자들과도 빈번하게 충돌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행보에 대해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환영하는 입장이다. 윈도우 개발 플랫폼 관리자인 크레이크 로웬은 "이번 개선으로 인해 파일 집약적 작업의 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할 것이며, 최대 20배 이상의 속도 개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는 개발과 수정 및 배포가 자유로운 리눅스 운영체제 자체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서비스 형태로 전락할까 봐 우려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사용자만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편의 기능을 탑재한 점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기업은 모두를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1기 박수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049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708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0379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960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250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9184
마스크를 착용할 때 이것만은 알고 가자 2 file 2020.04.22 박지환 13424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8042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396
마약밀매(DRUG TRAFFICKING)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file 2017.03.16 정수빈 14268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626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567
마침내 그날이 왔다, 광화문 거리 한복판에서 터지는 축하의 폭죽 file 2017.03.17 최예헌 11339
마카롱에 숨겨진 비밀 1 file 2019.06.12 이주희 13931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0917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9013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1059
만 18세도 유권자! file 2020.03.27 지혜담 8533
만화를 현실로, 포켓몬 GO 3 file 2016.07.25 유한나 14396
많은 곳에 위안부소녀상이 세워져있지만 모르는 사람이 훨씬 더 많아... 왜? 3 file 2017.08.30 이혜승 11668
말 많은 국정 역사 교과서, 연구 학교 신청 3곳... 3 file 2017.02.21 최다영 15914
말 한마디 없이 광고의 의도를 전달한다고? 2019.06.24 김여진 12885
말로만 '소방 안전 확인', 아직도 문제 개선 의지 없어 2018.12.11 노영석 9929
매년 10월 25일 독도를 천명하다. file 2017.11.10 이윤빈 10706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295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1 file 2018.03.05 구희운 12085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5682
매장 내 일회용 컵 규제, 현장 반응은? 2 file 2018.08.27 손지환 10047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489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394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624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10822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669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344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437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8660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4811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2214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401
몰래카메라 범죄 완전 근절 외치는 정부, 그러나 현실은 3 file 2017.08.26 박한비 15933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529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476
못 다 핀 한 떨기의 꽃이 되다, '위안'부 8 2016.02.24 송채연 27824
무개념 팬들의 SNS 테러에 얼룩지는 축구계 1 file 2019.06.05 이준영 10974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294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239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422
무더위 속 할머니들의 외침 2 file 2018.08.17 곽승준 11555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403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287
무업기간의 안정망 ‘니트생활자’ 니트컨퍼런스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51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