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시원한 걸 원해? 노치, 구멍 없는 풀 스크린 스마트폰

by 10기홍창우기자 posted Apr 30, 2019 Views 1287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10일 삼성전자는 태국에서 처음으로 '갤럭시 A80'을 공개하였다.

플래그십 스마트폰이 아닌 보급형 스마트폰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는 이유는 특이한 카메라 방식에 있다.

20190411-pr-galaxya80-9.jpg

[이미지 제공=삼성전자 뉴스룸,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갤럭시 A80'은 유튜브를 통한 실시간 방송과 같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최적화됐다. '갤럭시 A80'에서 사용하는 '팝업식 카메라' 방식은 기존의 전면부, 후면부 카메라 한 개씩 존재하는 게 아닌 셀프 촬영을 위해 모드를 전환하면 후면 상단이 위로 올라가면서 카메라가 전면 방향으로 전환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New Infinity Display'를 구현하여 풀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고 셀프 모드에서도 후면 카메라와 동일한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고화질의 사진촬영이 가능해졌다. 또한 '갤럭시 S10'에 적용된 '슈퍼 스테디' 기능을 적용하여 흔들림 없이 동영상 촬영도 가능하다. 여기에 '3D 심도 카메라'와 초광각 카메라로거의 완벽한 구성의 트리플 카메라라 할 수 있다


 모델명

 삼성 갤럭시 A80

 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곤 730G

 RAM

 8GB

 STORAGE

 128GB

 Display

 6.7인치 FHD+(1080x2400)

 카메라

 메인 4800만 화소 F2.0(IMX586), 초광각 800만화소 F2.2, ToF 카메라

 배터리

 3,700mAh

색상

 팬텀 블랙, 엔젤 골드, 고스트 화이트

 특징

  Sound On Display,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25W 고속충전, 이어폰잭 제거, 마이크로SD 미지원

 가격

 미정

▲'갤럭시 A80'의 상세스펙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홍창우기자]


이중 눈에 띄는 점은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25W 고속 충전 기능을 지원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힐 수 있지만 '이어폰 단자를 제거했다'는 점, '마이크로SD 카드로 저장 공간을 넓힐 수 없다'는 점을 아쉬움으로 꼽을 수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기존의 저가 시리즈 '갤럭시J'를 '갤럭시A'로 통합했다. '갤럭시 A80'을 비롯한 갤럭시A는 혁신 기술을 탑재한 중가 시리즈로서 동남아시아 등 신흥 시장 공략에 앞장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0기 홍창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140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83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166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719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018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8954
마스크를 착용할 때 이것만은 알고 가자 2 file 2020.04.22 박지환 13091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7802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113
마약밀매(DRUG TRAFFICKING)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file 2017.03.16 정수빈 14068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399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251
마침내 그날이 왔다, 광화문 거리 한복판에서 터지는 축하의 폭죽 file 2017.03.17 최예헌 11120
마카롱에 숨겨진 비밀 1 file 2019.06.12 이주희 13647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0779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8840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0826
만 18세도 유권자! file 2020.03.27 지혜담 8345
만화를 현실로, 포켓몬 GO 3 file 2016.07.25 유한나 14252
많은 곳에 위안부소녀상이 세워져있지만 모르는 사람이 훨씬 더 많아... 왜? 3 file 2017.08.30 이혜승 11435
말 많은 국정 역사 교과서, 연구 학교 신청 3곳... 3 file 2017.02.21 최다영 15698
말 한마디 없이 광고의 의도를 전달한다고? 2019.06.24 김여진 12476
말로만 '소방 안전 확인', 아직도 문제 개선 의지 없어 2018.12.11 노영석 9733
매년 10월 25일 독도를 천명하다. file 2017.11.10 이윤빈 10446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067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1 file 2018.03.05 구희운 11882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5492
매장 내 일회용 컵 규제, 현장 반응은? 2 file 2018.08.27 손지환 9854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286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210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370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10627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513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159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258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8496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4515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1913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207
몰래카메라 범죄 완전 근절 외치는 정부, 그러나 현실은 3 file 2017.08.26 박한비 15656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343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243
못 다 핀 한 떨기의 꽃이 되다, '위안'부 8 2016.02.24 송채연 27509
무개념 팬들의 SNS 테러에 얼룩지는 축구계 1 file 2019.06.05 이준영 10730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121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022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270
무더위 속 할머니들의 외침 2 file 2018.08.17 곽승준 11334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209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052
무업기간의 안정망 ‘니트생활자’ 니트컨퍼런스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49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