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현실로 다가온 미래 기술

by 11기박현준기자 posted Apr 22, 2019 Views 163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모두 한 번쯤은 영화 '아이언맨'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 한 가지 요소를 고르라고 한다면 당연히 미래적인 기술(기계)을 고를 것이다. 그중에서도 슈트를 입은 '토니 스타크'를 꼽을 수 있는데, 무심코 지나쳤던 수많은 장면에서 아이언맨은 말과 손짓으로 모든 명령을 전달한다.


이런 기술들이 우리 주변에 실존하고 있을까? 

결과부터 말하자면 실존한다. 대표적으로 멀티호버링 기술과 제트팩을 예로 들 수 있다.

'멀티호버링 기술'이란, 허공에서 손짓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최근 'LG'사에서 발표한 'G8 ThinQ'는 '에어 모션'을 적용하여 물이 묻거나, 반죽이 묻은 손으로도 허공에서 손짓 한 번이면 동영상이 재생이 되거나 볼륨을 조절하고 전화를 받는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니 멀티호버링 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엘지전자1.jpg

[이미지 제공=LG전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또 제트팩은 한순간에 고온 고압의 폭발력을 노즐을 통해 방출하며 생기는 힘으로 작동한다. 뉴턴 제2법칙 작용-반작용 법칙이라고 볼 수 있다. 제트팩은 비싼 가격 탓에 실용화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해 시연 영상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렸다. 


이 외에도 홀로그램 기술, 원격조종기술, 특수합금 등의 여러 기술들이 현실에 존재한다.

상상만 했던 영화 '아이언맨' 속 기술들, 이제 더 이상 SF에 그치는 것이 아닌 우리 눈 앞에 펼쳐질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1기 박현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559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25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5864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403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586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989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125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939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782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140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683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832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660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598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923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963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206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202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296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058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169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559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902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56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84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13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091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250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983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140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330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732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120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161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717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303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414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916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038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223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499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196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396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03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652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413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374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152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250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442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7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