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19 세계 뇌주간] 창의성의 비밀, 뇌과학은 알고 있다

by 10기김규린기자 posted Mar 27, 2019 Views 226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창의성이란 무엇일까?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이 우리의 뉴스에 1면을 장식하고, 담임선생님의 훈화 말씀 속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제는 우리 생활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자주 강조되는 능력이 바로 이 ‘창의성’이다. 하지만 아마도 창의성에 대하여 정확히 정의 내릴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낱말의 정의에는 참뜻이 숨겨져 있고, 그 뜻을 알아야 행할 수 있는 법이다. 그래서 우리는 질문한다. ‘창의성은 과연 무엇인가?’

 KakaoTalk_20190316_20042425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김규린기자]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뇌과학으로 풀어가는 강의가 지난 16일 카이스트 양봉순 빌딩에서 열렸다. 이날 1시가 되자, 어린아이부터 40대 중순으로 보이는 중년 남성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한 강의실에 모였다.

 

뇌과학을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지정된 세계 뇌주간을 맞이하여 열린 이날 강의에서는 김대수 박사, 정재승 박사, 백세범 교수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뇌는 어떻게 만들어지나’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북적거리는 사람들로 착석용 의자 외에 계단과 무대 옆쪽을 채워 앉아야 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그중에는 학교에서 단체로 온 학생들도, 미래의 뇌과학자를 꿈꾸는 누군가도, 서울에서 왔다는 사람도 있었다. 각 교수님들은 각기 다른 키를 통해,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해 뇌로 본 인간 창의성에 대하여 강의했다.

 

창의성이란 무엇일까? 그 기원은 무엇일까? 아이들은 왜 장난감을 좋아할까? 이 질문들에 답해주기 위해 김대수 교수님이 선택한 키워드는 바로 오브제였다. 그의 강연에 따르면 오브제는 사회적인 것과 비사회적인 것이 있고, 사회적인 것은 아는 이와 모르는 이로 다시 나뉘며, 비사회적인 것은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나뉜다고 한다. 그리고 또 움직이는 것은 먹는 것과 먹히는 것, 움직이지 않는 것은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뉜다고 한다. 오브제는 단순하게 영어사전에 object를 치면 나오는 한국어 단어들이 아니다. 오브제는 뇌가 인식하고 이름을 부여한 무언가다. 우리 뇌는 오브제를 인식하고 행동하며, 그렇기에 또 오브제는 오브제가 된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우리 뇌가 ‘이름’을 부여하고, 연결하고, 물건의 가치를 찾아내는 기능을 가졌으며, 창의성이란 바로 이렇게 사물에서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는 능력이라고 말했다.

 

그럼 창의적인 뇌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걸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해주신 교수님은 바로 정재승 교수님이었다. language map, 즉 우리에게는 언어 지도가 있다. 우리의 뇌는 수많은 단어들을 서로 관련된 것들끼리 묶어 저장한다. 하지만 창의성이 발현되는 그 순간, 그러니까 유레카 모멘트는 여러 영역이 활성화되어있는 상황에서 멀리 떨어진 언어 영역이 서로 연결되는 때이다. 예를 들어 저 멀리 떨어진 영역의 바다라는 단어가 컴퓨터에 관련된 지식들끼리 연결되어있던 영역의 어떤 단어와 갑자기 연결되었을 때 반짝! 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종종 멍 때릴 때, 즉 교수님의 표현으로 말하면 마음을 거닐 때 anterior superior temporal gyrus activation이 활성화되며 생긴다. 그래서 그가 말한 창의성은 바로 연결하는 능력이다.

 

마지막으로 백세범 교수님은 인공지능과 뇌과학, 창의성을 연결하여 강의했다. 그는 인공지능의 메커니즘이 결국 인간과 비슷하며,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 뇌과학이 필요했던 이유가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고의 변천을 설명하고 다다른 결론은 결국 인공지능이 발전해온 방법은 인간의 창의성을 모방하는 것이었고, 창의성이란 알파고 ZERO가 그랬듯이 질문을 던져보고, 이상하더라도 시도해보다가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승 교수는 말한다. 그렇게 연결한 수많은 아이디어 중에 생산적인 것은 5%에 불과하다고 말이다. 결국 혁신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아니라 남다른 경험을 자신의 뇌에 많이 집어넣고, 상관없는 개념을 자발적으로, 의도적으로 이어보는 노력을 한 사람, 그리고 그 5%를 위해 19번 실패해도 1번 더 해보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 아닐까? 뇌과학은 이야기한다. 당신의 뇌는 이미 충분히 창의성을 발현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이다. 그리고 교수님들은 이러한 뇌의 속삭임을 이렇게 해석한다. “창의성을 원한다면 연결하라, 그리고 시도하라.”

 

한편 이날 이루어진 2019 세계 뇌주간 강의는 다양한 주제들로 카이스트 외 DGIST, GIST,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총 13개의 대학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0기 김규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8715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473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4211
GS25, 도어투성수에 ‘크로우캐년’ 팝업스토어 선보여 file 2023.02.01 디지털이슈팀 7143
시립중랑청소년센터 청소년 동아리, ‘중랑 우리 동네 미술관’ 연계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진행 file 2022.10.19 이지원 7160
클래식 내려놓고 재즈 취하기...쇼팽 in 뉴욕 클래시컬 재즈 나잇 file 2023.06.13 김진영 7183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장애 인식 개선 콘텐츠 ‘아름다운 소통 13’ 제작 및 배포 file 2023.01.09 이지원 7184
화성3·1운동만세길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 ‘길 위의 도슨트’ 시민 참가자 모집 file 2022.10.11 이지원 7198
2022 출판도시 인문학당 '하반기 책방거리 프로그램' 진행 file 2022.09.16 이지원 7203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이중섭..."이건희컬렉션 두 번째 전시" file 2023.04.11 이도연 7225
서울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와 한강 달빛 야시장 file 2023.06.15 홍혜린 7236
2023 해운대 모래축제 개최...전국 유일 모래 소재 전시회 file 2023.05.30 진혜원 7239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교양총서 ‘투 유 당신의 방향’ 출간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7258
서울식물원, 기획 전시회 '빛이 깨울 때' 선보여 file 2023.08.11 윤예림 7258
이상일 작가와 함께한 '여인과 인생' 특별전 file 2023.04.06 이재은 7304
英 코벤트리대, 전설적인 음악가 ‘델리아 더비셔’ 개관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7321
한국청소년연맹,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 철원서 실시 file 2022.11.22 이지원 7324
“지구야 ESG마, 우리가 ESG게” 성동청소년센터, 청소년 주도 ESG 활동 성료 file 2022.11.04 이지원 7336
감성과 건축을 생각하다...'헤더윅 스튜디오: 감성을 빚다'전 file 2023.09.11 박예찬 7351
[포토] 테디베어의 이야기가 담긴 '제주 테디베어 뮤지엄' 1 file 2023.08.30 장서윤 7358
서대문청소년센터, 2022년 서대문 그린데이 환경축제 개최 file 2022.09.26 이지원 7387
2022 서울시청소년어울림마당 4회차, 7월 9일 서울어린이대공원서 개최 file 2022.07.08 이지원 7404
10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하는 여유로운 가을 산책 file 2022.10.24 이지원 7416
[포토] '뒤샹의 후계자'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5.06 이정연 7440
요진건설, 설 명절 맞아 한국보육원에 ‘사랑의 선물’ 전달 file 2023.01.25 디지털이슈팀 7445
화성시문화재단 도서관 ‘도서관 영향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실시 file 2023.01.04 이지원 7453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2022 자원봉사 국제포럼 11월 3일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7467
기술의 무대가 열리다, 2023 서울모빌리티쇼 file 2023.04.06 정윤서 7475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7476
“다시, 새콤달콤한 설렘을 이어가요” 2022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개막 file 2022.12.02 이지원 7506
미추홀도서관, 2022 多북多북 인천 페스티벌 10월 1일개최 file 2022.09.28 이지원 7515
사회연대은행-한화생명, 자립준비청년 지원 나섰다 file 2023.02.15 디지털이슈팀 7526
천왕동청소년문화의집, 서울오케스트라와 업무협약 체결 file 2023.03.07 디지털이슈팀 7556
연극 ‘소년대로’, 보호종결아동들의 위태로운 삶 그렸다 file 2023.05.06 최승현 7557
'스즈메의 문단속'이 흥행했던 이유 file 2023.05.06 최지민 7597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2’ 참여 프로그램 사전 접수 진행 file 2022.09.02 이지원 7601
한국청소년연맹, ‘K-POP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file 2022.07.04 이지원 7625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7656
스포넥트, ‘2022년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 시작 file 2022.08.23 이지원 7662
한국문화원연합회, 재미와 유익함 동시에 잡은 콘텐츠로 지역문화 홍보 file 2023.01.02 이지원 7675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도시재생과 로컬, 닮음 속에서 다름을 찾다’ 세미나 개최 file 2022.11.09 이지원 7698
[포토] 미국 디즈니월드 불꽃놀이 축제 '해필리 에버 애프터'에 가다 file 2023.08.11 박예찬 7713
서울문화재단, 예술 사각지대 지원하는 ‘서울예술인희망캠페인’ 시작 file 2022.06.28 이지원 7719
세븐, 이다해 결혼식...YG 패밀리 한 자리에 file 2023.06.01 박태양 7720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개관 40주년 기념 ‘장애인복지관 디지털 전환’ 온라인 세미나 개최 file 2022.11.29 이지원 7725
제2회 ‘추억이 방울방울 망원동 방울내길 축제’ 개최 file 2022.09.13 이지원 7737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 나눔보따리 스무 번째 새해 나눔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7737
생명보험재단, 11월 워크숍 ‘커뮤니티 기획법’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file 2022.10.24 이지원 7745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 16년 한눈에 살피는 ‘2022 서울예술교육축제’ 개최 file 2022.10.22 이지원 7754
스타벅스, '스타벅스 청년인재' 졸업생 16명 배출 file 2023.02.28 디지털이슈팀 7754
서울시립미술관,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 개최 file 2023.06.29 이민주 77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