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정말 물가는 내렸을까? 우리가 몰랐던 비밀

by 10기김의성기자 posted Mar 04, 2019 Views 181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통계청은 지난해 4분기, 2%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 지수가 12월엔 1.3%까지 내려간 것으로 발표했다. 또한 한국은행은 당초 1.7%로 예상했던 올해 물가상승률을 (지난달 24) 1.4%로 전망된다고 발표하였다.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면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일반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달랐다. (45세 서울시 상도동), "계속 올라가고 올라가는 느낌인데.”, (51세 서울시 갈현동), "어떤 물가 기준인지 모르겠지만, 소위 밥상물가는 올라간 것 같아요", 전라남도 여수에 사는 신(55), "여수 일반 음식점 가격이 1년 새 엄청 올랐어요.”라고 말한다.


KakaoTalk_20190225_22083242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김의성기자]

 

필자는 여러 사람에게 오히려 물가가 상승했다는 말을 듣고, 통계청의 조사 내용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다. 일반인들이 물가 변동 폭에 대해 하루아침에 느낄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일한 말을 하고 있다면 분명 어떤 문제가 존재한다고 추론하는 게 합당하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신선 식품 지수 등 밥상 물가라고 하는 여러 지수들을 분석한 결과 물가는 내려간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통계청은 자료 이용 시 유의 사항으로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것으로 가격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지는 않음. -따라서 지역별로 기준시점(2015=100)의 가격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소비자 물가를 이용하여 지역 간 상대적인 물가수준 차이를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함}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뉴스와 신문을 보며 의문을 품었던 것에는 다 이유가 있었다.

유의사항에서는 소비자물가지수가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것이지 가격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아니라고 말했다. 이것이 우리가 알지 못한 비밀이다.

 

대한민국은 지역 간 물가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들 수 있다. 서울에는 대한민국의 1/5이 살고 있고 수도인 만큼 임대료가 높고 지방으로부터의 수송비가 많이 든다. 따라서 서울의 식품 물가 등 밥상 물가는 다른 지역에 비해 비싸다. 한마디로 지역의 특성에 따라 물가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이 통계에 적용되었을 것으로 생각한 많은 국민들이 통계 발표를 듣고 실제 체감과는 거리가 멀다고 느낀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이번 기회를 통해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물가 통계에 대한 아이러니를 풀기 바란다.

 

*소비자 물가지수:가구에서 일상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한 지수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10기 김의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60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304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6355
제로 음료수의 시대, 설탕을 대신한 감미료들 file 2023.07.15 이주하 4941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699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정당별 총평편 file 2018.07.23 정민승 964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시장편 2 file 2018.06.25 정민승 1127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도지사편 file 2018.07.12 정민승 10386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갈수록 커져가는 지식 재산권의 남용, 법적 분쟁의 해결책은? file 2018.07.24 송민주 10736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집회 "몰카 범죄 피해자 여성일 때도 강력히 수사해야" 5 file 2018.07.09 노영석 11777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723
제34회 글로벌청소년과학탐구대회 '운지벌레' 논란 3 file 2016.04.25 박성수 19534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702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411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7106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9231
제19대 대선 총 투표율 80% 못 미쳐… 77.2% 기록 4 file 2017.05.10 이가영 10777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386
제14차 광화문 촛불집회... 아직 꺼지지 않는 촛불 2 file 2017.02.11 김동근 14103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4997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4049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544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613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653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423
제 1316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아픔을 기억하겠습니다 file 2018.01.05 김민하 12702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4662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10171
정치인에게 책이란? 4 file 2017.02.23 강민 14927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 1 2017.02.16 김유진 13218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0789
정의연은 과연 누구를 위한 단체인가? file 2020.06.23 이예빈 9548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9547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516
정시 확대, 조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2019.11.11 정혜원 10054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881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대책과 토지공개념 도입 file 2018.03.30 신유진 11221
정부의 단호한 '8*2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우려 1 file 2017.09.27 고다정 10385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5626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줄줄 새는 혈세 7 file 2016.02.24 정현호 20054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767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2937
정부,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다 file 2020.03.02 전아린 8520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7009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file 2022.01.07 이지은 28390
정부 VS 시민단체 "노동자상은 어디에?" 2 file 2018.05.25 서고은 9754
정부 '위드 코로나' 본격 검토 2021.09.14 안서연 11904
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 2017.11.13 신수현 31372
정보 사회 도래에 따른 성공적인 산업 및 기업의 변화 file 2018.10.15 서지환 10469
정말 물가는 월급 빼고 다 상승하는 것일까? 1 file 2019.06.03 송수진 10178
정말 물가는 내렸을까? 우리가 몰랐던 비밀 file 2019.03.04 김의성 181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