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정말 물가는 내렸을까? 우리가 몰랐던 비밀

by 10기김의성기자 posted Mar 04, 2019 Views 175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통계청은 지난해 4분기, 2%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 지수가 12월엔 1.3%까지 내려간 것으로 발표했다. 또한 한국은행은 당초 1.7%로 예상했던 올해 물가상승률을 (지난달 24) 1.4%로 전망된다고 발표하였다.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면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일반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달랐다. (45세 서울시 상도동), "계속 올라가고 올라가는 느낌인데.”, (51세 서울시 갈현동), "어떤 물가 기준인지 모르겠지만, 소위 밥상물가는 올라간 것 같아요", 전라남도 여수에 사는 신(55), "여수 일반 음식점 가격이 1년 새 엄청 올랐어요.”라고 말한다.


KakaoTalk_20190225_22083242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김의성기자]

 

필자는 여러 사람에게 오히려 물가가 상승했다는 말을 듣고, 통계청의 조사 내용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다. 일반인들이 물가 변동 폭에 대해 하루아침에 느낄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일한 말을 하고 있다면 분명 어떤 문제가 존재한다고 추론하는 게 합당하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신선 식품 지수 등 밥상 물가라고 하는 여러 지수들을 분석한 결과 물가는 내려간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통계청은 자료 이용 시 유의 사항으로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것으로 가격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지는 않음. -따라서 지역별로 기준시점(2015=100)의 가격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소비자 물가를 이용하여 지역 간 상대적인 물가수준 차이를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함}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뉴스와 신문을 보며 의문을 품었던 것에는 다 이유가 있었다.

유의사항에서는 소비자물가지수가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것이지 가격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아니라고 말했다. 이것이 우리가 알지 못한 비밀이다.

 

대한민국은 지역 간 물가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들 수 있다. 서울에는 대한민국의 1/5이 살고 있고 수도인 만큼 임대료가 높고 지방으로부터의 수송비가 많이 든다. 따라서 서울의 식품 물가 등 밥상 물가는 다른 지역에 비해 비싸다. 한마디로 지역의 특성에 따라 물가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이 통계에 적용되었을 것으로 생각한 많은 국민들이 통계 발표를 듣고 실제 체감과는 거리가 멀다고 느낀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이번 기회를 통해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물가 통계에 대한 아이러니를 풀기 바란다.

 

*소비자 물가지수:가구에서 일상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한 지수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10기 김의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759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618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9549
2018학년도 수능 연기, 땅이 준 기회의 7일. 2 file 2017.11.17 임하은 13364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7727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8888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201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1950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5119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228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5033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5090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6643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0676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196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581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073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180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6754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8636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7923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4270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6878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9790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063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385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308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363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044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8684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081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2452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1889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4430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407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0891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4547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6475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7654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9963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2256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3225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6675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6895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160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444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283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3613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6630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149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1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